[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홍콩 시위대와 중국 당국 사이의 충돌이 전시 상황처럼 격화하고 있다. 지난 6월 송환법 반대로 시작된 시위는 공산당과 중국 자체를 보이콧하는 경향을 띠고 있다. 중국 공산당은 시위대가 일국양제(一國兩制,한 나라 두가지 체제)를 부정하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며 무력 유혈진압 가능성까지 내비추고 있다. 충분히 명분이 쌓이고 여건만 조성되면 유혈진압도 불사한다는 태도여서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중국 일부 분석가들은 홍콩 시위 참여자들을 홍콩 독립 강경파와 온건한 독립주의자, 크게 두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극단적 홍콩 독립주의자들은 일국양제를 부정하는 것은 물론 중국 법 제도와 국가체계로 부터 홍콩을 분리해 별도의 국가를 세우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이들이 전체 시위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그리 높지 않지만 목소리 만큼은 작지 않다.
이들 강경파들이 주장하는 '홍콩 독립'은 중국 공산당 체제 입장에서 볼때 비록 큰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긴 하지만 근본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낮다고 전문가들은 본다. 정당성이 결여된데다 청춘기의 아이가 부모의 간섭을 거부하는 경향과 같아서 홍콩 전체 주민들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시위대의 다수인 온건 독립주의자들은 강경파들과 다소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들 역시 홍콩 정부와 경찰, 중국 공산당과 대륙인들 모두에 대해 불만은 있지만 폭력적 위법 시위는 반대하며 현재의 자유를 지키는 것을 우선시하고 있다. 독립에 대한 열망은 상대적으로 옅은 대신 일국양제에서 '일국' 보다 '양제'의 가치를 더 우위에 둬야한다는 주장을 편다.
이런 점에서 중국 공산당이 지난 1997년 7월 홍콩반환시 자본주의를 50년간 보장키로 하고, 최근들어 통합을 너무 서두르는 모습을 보여 홍콩의 혼란을 자초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오는 2047년까지 특별 행정구로서 자치 보장 시한이 아직 28년이나 남았는데 홍콩의 중국화를 앞당기려는 무리수를 둬 괜히 반중 정서만 자극했다는 것이다.
중국 정부는 선거와 이번 송환법 같은 사법 제도 문제 등 여러가지 민감한 분야에 까지 홍콩의 자치에 지나치게 개입, 홍콩 시위대와의 대립을 격화시키고 있다. 지난 2014년에도 중국은 홍콩 행정장관을 중국이 지정하는 인사중에서 뽑도록 하는 법안을 내놔 노란 우산 민주화 혁명을 촉발시킨 바 있다.
지난 6월 홍콩 송환법 시위가 발생한지 5개월째를 맞은 가운데 시위현장은 마치 전쟁터 처럼 험악한 상황을 띠고 있다. 홍콩의 혼란은 아주 위태한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 경찰은 시위대를 향해 실탄 사격을 가하고 시위대는 친중국 시민을 붙잡아 불을 태우는 등 극단적 저항을 일삼고 있다.
중국 당국은 홍콩을 수호하고 폭력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어떤 희생도 불사한다는 방침이다. 유혈사태를 전제로하는 무력 진압 가능성도 여러 경로를 통해 내비추고 있다. 다만 지금은 홍콩 및 국제 사회의 여론이 공산당에 유리해질 때를 기다리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중화권 인터넷 매체 둬웨이신문은 '지난 6월 송환법 반대 시위 초기 시위의 양상은 정서적으로 홍콩 반환시 약속한 일국양제의 자치를 요구하는 정도였다'고 소개한 뒤 '이들과 완전한 독립을 추구하는 강경파들은 부류가 다른 만큼 분리대응을 통해 혼란을 수습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중국 당국은 시위가 폭력화할수록 홍콩 주민들의 민의가 중국 쪽에 유리한 방향으로 바뀌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 같다. 상가가 불타고 생업이 마비되면서 장기화하는 시위에 대해 실제로 피로감을 호소하는 주민들이 늘었다는 소식도 들린다. 폭력이 가중될 수록 민의가 시위대로 부터 돌아서고 온건파가 과격파로 부터 이탈할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하지만 민주주의가 고도화하고 자본주의가 성숙한 홍콩을 어떻게 다뤄야할 지에 대한 중국 당국의 근본적인 성찰이 없다면 홍콩 사태는 쉽게 해결점을 찾을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홍콩 정국에 대한 중국의 오판과 잘못된 시위 대처는 자칫 다수 온건 독립파들의 민의까지 이반시켜 사태를 더 악화시킬 수도 있다. 중국으로서 오늘의 홍콩은 '위대한 중화 부흥'이라는 시진핑의 중국몽(中國夢)을 실현해나가는 데 만만치 않은 시련이 되고 있다.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