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뉴스핌] 남효선 기자 = '봉자페스티벌'. 백두대간 자락에 자리잡은 경북 봉화 서벽리의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이 해마다 여름과 가을에 펼치는 우리 자생꽃 축제이다.
페스티벌이라는 이름을 달았지만 다른 축제처럼 왁자하고 분주하지 않다. 조용하다.
그러나 자세히 귀기울이면 웅장한 오케스트라처럼 제마다의 소리로 세상을 울린다.
[봉화=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 봉화군 서벽리의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야생화정원'. 2022.07.31 nulcheon@newspim.com |
'봉자페스티벌'은 '봉화의 자생식물이 펼치는 축제'이다.
이름이 낯 익고 정겹다. 약간은 촌스럽기도 하다. 백두대간 울울한 산자락에서 열리므로 축제 이름으로서는 제격이다.
[봉화=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 봉화 서벽리의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이 품은 우리 자생식물. 2022.07.31 nulcheon@newspim.com |
1960~70년대, 이른바 산업화의 물결이 한반도를 뒤덮으면서 '봉자' '춘자' '영자' 등의 이름을 지닌 우리의 큰 고모와 큰 누이들은 서울로 부산으로 대구로 파도처럼 떼밀려 갔다.
신발공장으로, 직물공장으로, 청계천으로, 버스안내양으로. 전국에서 떼밀려 온 또래의 고모들은, 누이들은 '계란노른자만한 햇살'이 자그마한 창으로 들어오는 다락방에서 쪽잠으로 미싱을 돌리고, 흡사 파도처럼 출렁이는 시내버스 문고리에 종일 매달리며 집안을 일으켰다.
낡고 헤진 속옷을 몇 번이고 꿰매며 청춘과 꿈과 맞바꾼 노동의 댓가를 고향집으로 꼬박꼬박 송금하며 '장손 하나는 공부를 시켜야한다'는 질긴 숙명으로 집안을 일으키고 나라를 일으켰다.
[봉화=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 봉화군 서벽리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이 펼치는 '봉자페스티벌'. 2022.07.31 nulcheon@newspim.com |
7월 마지막 휴일인 31일. 한반도 남쪽에 5호 태풍 '송다'가 북상하면서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고됐다.
태풍 영향권에서 멀리 떨어진 경북 봉화의 하늘도 구름이 잔뜩 덮힌 채 심상치 않다.
'봉자페스티벌'은 특별히 정해진 장소나 무대는 없다.
약 5179ha, 1500만평의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전체가 축제 무대이다.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아시아에서는 최대이다. 전 세계에서도 남아공의 국립한탐식물원(6229ha)다음으로 큰 규모이다.
백두대간수목원은 희귀식물 312종, 특산식물 156종을 품고 있다. 수목원 너른 품 모두가 축제장이다.
끝내 백두대간이 비를 쏟는다.
털부처꽃, 두메부추, 갯패랭이꽃, 긴산꼬리풀, 벌개미취, 범부채, 벼룩이울타리, 솔체꽃, 제비동자꽃, 참좁쌀풀 무리 사이로 화들짝 우산꽃이 무리지어 펴진다.
알록달록한 우산색깔이 우리 꽃을 닮았다.
자생꽃을 만나던 사람들이 한떨기 꽃처럼 피어난다.
빗줄기가 제법 세다. 사람들은 재촉하지 않는다.
'봉자'라는 이름을 단 우리 꽃이 그랬듯 오롯이 비 속을 천천히 거닐며 제 마다의 향을 퍼트리며 속살을 여는 꽃 무리 속으로 걸어간다.
[봉화=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 봉화군 서벽리의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이 선사하는 자생식물 축제를 찾은 사람들. 2022.07.31 nulcheon@newspim.com |
무리지어 있는 모든 것들은 아름답다. 힘이 있다.
빗살이 잦아들자 한 무리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수목원의 적막을 깨운다.
축제장에는 뭐니해도 아이들이 있어야 제 맛이다.
아이들의 분주한 발길에 빗줄기에 몸을 사렸던 꽃들이 화들짝 깨어난다.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해마다 여름철, 봉자페스티벌 기간 느닷없이 쏟는 비를 반갑게 맞듯 알록달록한 무지개빛 우산을 비치해 놓는다.
[봉화=뉴스핌] 남효선 기자 = 국립백두대산수목원의 '봉자페스티벌' 프로그램인 '자생식물 씨앗나누기'. 2022.07.31 nulcheon@newspim.com |
수목원으로 들어가는 초입에서 수목원 측은 자생꽃 씨와 종근을 무료로 배부한다.
설문지와 간단한 퀴즈응답에 응하면 이름도 고운 자생식물 씨앗과 종근을 선사한다. 이들 자생꽃 씨앗과 종근은 모두 수목원이 자리한 서벽리 마을주민들이 애써 가꿔 얻은 열매들이다.
때문에 '봉자페스티벌'은 자생식물의 생물다양성 보존과 지역상생을 위한 ESG 축제이다.
백두대간수목원의 '호랑이숲'에는 멸종위기에 놓여있는 백두산호랑이 네 마리가 백두대간을 지키고 있다.
'한청' '우리' '한' '도'의 이름을 지녔다.
수목원은 지난 5월 3일부터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방문자센터 2층 특별전시실에서 한국국학진흥원과 공동기획한 '금쪽같은 호랑이' 특별전을 진행하고 있다.
호랑이해인 임인년을 맞아 멸종위기에 처해 있는 호랑이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마련했다.
올 여름 '봉자페스티벌'은 다음달 7일까지 이어진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