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잿값 상승과 공기 지연에 예상원가율 94%로 치솟아
매출원가 상승시 이익 감소로 직결...실적 개선에 발목
미분양 증가·SOC발주 감소 등도 불안..보수적 사업 불가피
[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원자잿값 상승과 공사지연 등으로 작년 실적 부진에 시달렸던 대형 건설사들이 올해도 90% 중반에 육박하는 매출원가율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원자재 가격이 정점을 지났다는 분위기가 확산했음에도 건설사의 매입 가격이 좀처럼 내려가지 않고 있다. 원자잿값 급등에 공사원가가 뛰어도 발주처로부터 온전히 보상받기가 어려운 게 현실이다. 여기에 부동산경기 침체에 따른 아파트 미분양 확산, 사회간접자본(SOC) 발주 감소도 건설사 실적 개선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높다.
◆ 올해 주요건설사 원가율 평균 94%로 치솟아...'원자잿값 상승·공기 지연' 영향
15일 NH투자증권 및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올해 현대건설, 대우건설, GS건설, DL이앤씨, 삼성엔지니어링, 아이에스동서를 비롯한 주요 건설사 매출원가율은 94.0%로 추정된다. 매출액이 1조원이라면 원가비용으로 9400억원이 지출된다는 얘기다.
매출원가율은 매출액에 대한 매출원가의 비율로 이 수치가 낮을수록 기업 수익성이 높게 나타난다.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것이 매출총이익이며, 여기에 판매비와 관리비를 제외하면 영업이익이 나온다. 매출원가율이 높아 매출총이익이 낮아지면 영업이익 개선이 어려운 것이다.
대형 건설사의 매출원가율은 작년 원자재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가파르게 상승한 이후 쉽사리 꺾이지 않고 있다. 현대건설은 2019년 매출원가율이 90.0%에서 2020년 91.7%, 2021년 90.0%를 기록했다. 작년에는 3분기 누적 92.4%로 치솟았다. 전년동기와 비교해 매출액은 17.6% 늘었지만 매출원가가 20.3%로 더 늘다보니 매출총이익이 되레 7.5% 줄었다.
GS건설은 2019년 86.5%, 2020년 84.8%, 2021년 85.0%에서 2022년 3분기 88.8%로 상승했다. 대우건설은 2019년 90.1%, 2020년 87.7%, 2021년 85.7%에서 작년 3분기에는 87.8%로 뛰었다. 대림산업이 2021년 건설·플랜트 사업부문을 인적 분할해 설립한 DL이앤씨는 2022년 81.8%에서 작년 3분기 87.2%로 급증했다.
올해 주요 건설사의 매출원가율이 94.0%로 추정되는 만큼 원가부담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레미콘과 철근, 강판, 시멘트 등의 가격 상승으로 발주처에 공사비 증액을 요청해도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건설업은 수주산업으로 3~4년에 달하는 공사기간에 앞서 계약을 맺다보니 고공행진하는 원자잿값 상승분을 계약 당시에 적용하지 못한 것도 원가율 부진에 시달리는 이유다.
NH투자증권 이민재 애널리스트는 "원자잿값 상승으로 공사원가 부담 커 건설사 대부분의 작년 4분기 실적이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할 가능성이 있다"며 "매출원가 부담은 올해도 이어져 실적 개선에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 미분양 증가·SOC발주 감소에 보수적 사업 불가피
매출원가 부담뿐 아니라 주택경기가 극도로 부진한 것도 실적 관리에 난관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주택경기 연착륙을 위해 다양한 규제완화에서 나서면서 집값 하락이 주춤해졌지만 주택 거래량, 매수심리 상승의 추세 전환은 시기상조라는 지적이 많다.
아파트 미분양이 늘어난 것은 건설사에 대형 악재다. 전체 매출의 절반이 넘는 비중을 차지하는 건축·주택 부문에서 실적이 삐걱댈 경우 한 해 농사를 망치게 된다. 건물만 짓는 단순 도입사업이라도 미분양이 발생해 분양대금이 회수가 어려워 공사비 조달에 문제가 발생한다. 처분이 늦어질수록 금융비용, 마케팅비용 등이 상승해 수익률이 악화한다. 금융시장 냉각으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차환에 실패하면 부실 사업장을 건설사가 떠안을 수 있다.
대형 건설사의 브랜드 아파트라도 청약 '완판'이 쉽지 않다. 고금리에 주택담보대출 이자상환에 부담이 크고 집값 하락으로 신축 아파트의 분양가가 주변 시세보다 높아지자 실수요자가 외면하고 있어서다.
DL이앤씨가 짓는 경기 안양 '평촌센텀퍼스트'는 지난 10·11일 청약을 진행했으나 1150가구 모집에 257명이 신청하는 데 그쳤다. 규제지역 해제 등으로 청약 문턱을 낮췄음에도 10억원(전용면적 84㎡)이 넘는 고분양가 논란에 참패했다. 현대건설이 시공하는 '힐스테이트 동대구 센트럴'도 478가구 모집에 지원자가 28명에 불과했다.
올해 SOC 예산이 전년대비 10.7% 감액된 25조원으로 편성했다. 반도체, 5G‧6G, 안보·안전, 미래모빌리티 등 핵심 전략기술에 집중되면서 사회간접 시설 발주가 5년 만에 줄었다. 정부 기관 발주로 이뤄지는 철도, 도로, 항공 등 SOC 사업은 민간사업과 비교해 수익성이 높지 않지만 안정적인 공사비 회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발주 물량이 줄어들면 건설사의 매출 감소와 경쟁 심화가 불가피하다.
대형건설사 주택사업부 한 임원은 "미분양 아파트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사업장별로 원가율, 공기, 원자재 수급 등의 관리 감독을 더 치밀하게 진행하고 있다"며 "SOC 발주 감소와 미분양 증가 등으로 올해 건설사의 신규 사업이 상당히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leed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