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미국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가 5일(현지시간) 일제히 강세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유례없는 박빙의 승부가 예상되는 미 대선 결과에 주목하며 주식을 매수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27.28포인트(1.02%) 오른 4만2221.88을 기록했고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70.07포인트(1.23%) 상승한 5782.76으로 집계됐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259.19포인트(1.43%) 전진한 1만8439.17을 기록했다.
미 대선 투표가 진행 중인 가운데 투자자들은 선거 결과에 주목하고 있다. 다만 민주당의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선거일 전까지 각종 여론조사에서 박빙의 지지율을 얻어 이번 선거 결과가 나오는 데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선거 결과가 빠를수록 시장 불확실성이 빠르게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US 뱅크 웰스 매니지먼트의 롭 하워스 선임 투자 전략가는 "시장은 계속해서 선거 결과를 가격에 반영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면서 "너무 박빙이었고 주가를 봐도 매우 타이트했으며 우리를 움직이는 것은 결국 하나의 결과 혹은 또 다른 결과에 대한 작은 포지셔닝"이라고 분석했다.
하워스 전략가는 "채권시장과 주식시장은 모두 의회도 중요하게 보고 있다"며 "기본 전망은 분열된 정부이지만 이번 선거는 너무 접전이기 때문에 어떤 결과도 가능하며 이것이 어려운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 |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그림.[사진=로이터 뉴스핌] 2024.11.06 mj72284@newspim.com |
이날 베팅시장에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승리 가능성이 다소 개선됐다. 대표적인 트럼프 수혜주인 트럼프 미디어 & 테크놀로지 그룹의 주가는 장중 13%까지 올랐다가 1.16% 하락 마감했다.
이날 주식시장 강세에 대해 카슨 그룹의 라이언 데트릭 수석 시장 전략가는 "워싱턴에서 나올 수 있는 잠재적 불확실성과 드라마에 대비하는 해지 수요가 많았다"며 "이제 선거일에 이르렀기 때문에 그 중 일부가 해소될 수 있다는 낙관적인 생각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누가 백악관의 열쇠를 갖게 되든 꽤 좋은 상태인 경제를 맡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징주를 보면 엔비디아는 다우지수 편입 효과가 이어지며 2.85% 올라 애플을 제치고 시가총액 1위로 올라섰다. 테슬라는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강력한 지지자인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로 수혜가 기대되며 3.54% 상승했다.
국채 수익률은 하락했다. 뉴욕 채권시장에서 오후 3시 기준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전장보다 2.0bp(1bp=0.01%포인트(%p)) 하락한 4.287%를 기록했다. 정책 금리에 민감한 2년물은 2.8bp 밀린 4.204%를 가리켰다. 채권 금리는 가격과 반대로 움직인다.
미 달러화는 약세를 보였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달러화 지수)는 전장보다 0.42% 내린 103.44를 기록했다. 유로/달러 환율은 0.44% 오른 1.0927달러, 달러/엔 환율은 0.35% 하락한 151.60엔을 각각 나타냈다.
국제 유가는 미 대선 결과에 주목하며 5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배럴당 52센트(0.7%) 오른 71.99달러에 마쳤고 ICE 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12월물은 45센트(0.6%) 상승한 75.53달러를 기록했다.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6.92% 내린 20.46을 가리켰다.
mj722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