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로보뉴스 = 미래에셋증권에서 01일 천보(278280)에 대해 '충전속도 경쟁. LiFSI 채택률 증가에 주목'라며 투자의견 '매수'의 신규 리포트를 발행하였고, 목표가 46,000원을 내놓았다. 전일 종가 기준으로 볼 때, 이 종목의 주가는 목표가 대비 41.3%의 추가 상승여력이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 천보 리포트 주요내용
미래에셋증권에서 천보(278280)에 대해 'BYD, Tesla를 중심으로 충전 속도 개선을 위한 LiFSI 탑재 비중 확대가 시작되고 있음에 주목한다. 최근 BYD는 이온전도율을 높인 전해질(LiFSI 4% 첨가) 등을 포함한 충전속도 및 충전시 안정성 개선을 언급하였다. Tesla 역시 신규 4680 양산 시 기존 제품 대비 높은 LiFSI 첨가율(8% 이상으로 추정)을 요구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글로벌 OEM의 EV 점유율 확대 위한 충전속도 경쟁이 시작되었으며, 전해질 내 LiFSI 채택률 증가는 필수적이다. 동사는 선행 투자를 통하여 충분한 LiFSI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초기 시장 개화기 수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라고 분석했다.
또한 미래에셋증권에서 ' 1Q25 매출액은 327억원(+3% QoQ), 영업이익은 15억원(-40% QoQ)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 섹터 전체적인 업황 부진에도 배터리 소재 부분의 출하량이 소폭 개선되며, 분기 매출액 기준 바닥을 통과할 것으로 전망한다. 상반기 출하량의 회복은 현재 수요가 견조한 중국 고객사(중국 내수 및 유럽)이 견인할 것으로 판단한다. 하반기부터 군산 공장 신규 가동으로 북미(엔켐 및 미쓰비시) 향 신규 제품 공급이 시작되며 출하량 기준 점진적 개선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밝혔다.
◆ 천보 직전 목표가 대비 변동
- 목표가 하향조정, 80,000원 -> 46,000원(-42.5%)
- 미래에셋증권, 최근 1년 목표가 하락
미래에셋증권 김철중 애널리스트가 이 종목에 대하여 제시한 목표가 46,000원은 2024년 09월 04일 발행된 미래에셋증권의 직전 목표가인 80,000원 대비 -42.5% 감소한 가격이다. 최근 1년 동안 이 종목에 대해 미래에셋증권이 제시한 목표가를 살펴보면, 24년 05월 31일 100,000원을 제시한 이후 하락하여 이번 리포트에서 46,000원을 제시하였다.
◆ 천보 목표가 컨센서스 비교
- 평균 목표가 56,200원, 미래에셋증권 가장 보수적 평가
- 지난 6개월 대비 전체 컨센서스 보수적 변화
오늘 미래에셋증권에서 제시한 목표가 46,000원은 25년 01월 07일 발표한 키움증권의 46,000원과 함께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 리포트 중에서 가장 낮은 목표가이다. 이는 전체 목표가 평균인 56,200원 대비 -18.1% 낮은 수준으로 천보의 주가에 대해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의 평균 목표가인 56,200원은 직전 6개월 평균 목표가였던 83,714원 대비 -32.9% 하락하였다. 이를 통해 천보의 향후 주가에 대한 증권사들의 전체적인 분석이 보수적으로 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기사는 뉴스핌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실시간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천보 리포트 주요내용
미래에셋증권에서 천보(278280)에 대해 'BYD, Tesla를 중심으로 충전 속도 개선을 위한 LiFSI 탑재 비중 확대가 시작되고 있음에 주목한다. 최근 BYD는 이온전도율을 높인 전해질(LiFSI 4% 첨가) 등을 포함한 충전속도 및 충전시 안정성 개선을 언급하였다. Tesla 역시 신규 4680 양산 시 기존 제품 대비 높은 LiFSI 첨가율(8% 이상으로 추정)을 요구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글로벌 OEM의 EV 점유율 확대 위한 충전속도 경쟁이 시작되었으며, 전해질 내 LiFSI 채택률 증가는 필수적이다. 동사는 선행 투자를 통하여 충분한 LiFSI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초기 시장 개화기 수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라고 분석했다.
또한 미래에셋증권에서 ' 1Q25 매출액은 327억원(+3% QoQ), 영업이익은 15억원(-40% QoQ)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 섹터 전체적인 업황 부진에도 배터리 소재 부분의 출하량이 소폭 개선되며, 분기 매출액 기준 바닥을 통과할 것으로 전망한다. 상반기 출하량의 회복은 현재 수요가 견조한 중국 고객사(중국 내수 및 유럽)이 견인할 것으로 판단한다. 하반기부터 군산 공장 신규 가동으로 북미(엔켐 및 미쓰비시) 향 신규 제품 공급이 시작되며 출하량 기준 점진적 개선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밝혔다.
◆ 천보 직전 목표가 대비 변동
- 목표가 하향조정, 80,000원 -> 46,000원(-42.5%)
- 미래에셋증권, 최근 1년 목표가 하락
미래에셋증권 김철중 애널리스트가 이 종목에 대하여 제시한 목표가 46,000원은 2024년 09월 04일 발행된 미래에셋증권의 직전 목표가인 80,000원 대비 -42.5% 감소한 가격이다. 최근 1년 동안 이 종목에 대해 미래에셋증권이 제시한 목표가를 살펴보면, 24년 05월 31일 100,000원을 제시한 이후 하락하여 이번 리포트에서 46,000원을 제시하였다.
◆ 천보 목표가 컨센서스 비교
- 평균 목표가 56,200원, 미래에셋증권 가장 보수적 평가
- 지난 6개월 대비 전체 컨센서스 보수적 변화
오늘 미래에셋증권에서 제시한 목표가 46,000원은 25년 01월 07일 발표한 키움증권의 46,000원과 함께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 리포트 중에서 가장 낮은 목표가이다. 이는 전체 목표가 평균인 56,200원 대비 -18.1% 낮은 수준으로 천보의 주가에 대해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의 평균 목표가인 56,200원은 직전 6개월 평균 목표가였던 83,714원 대비 -32.9% 하락하였다. 이를 통해 천보의 향후 주가에 대한 증권사들의 전체적인 분석이 보수적으로 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기사는 뉴스핌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실시간으로 작성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