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증시 거래대금 정체와 증권업계의 구조적 변화에 따른 결과로, 이를 탈피하기 위한 증권업계의 노력이 점차 본격화 될 전망이다.
특히 브로커리지 수수료 감소와 IB부문이 위축되고 있는 상황에서 자산관리 부문이 불황극복의 대안이 될 것이란 관측이다.
자산관리부문은 펀드, ELS 등의 금융상품판매와 랩(Wrap), 신탁보수 등을 지칭하는데, 증권사의 과도한 위탁매매 의존도를 탈피해, 보다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10년의 자문형 랩 돌풍과 올해 초 ELS 발행 증가 등은 고액자산가를 중심으로 저금리시대의 투자대안으로 떠오르면서 증권사의 수익성 방어에 상당부분 기여했다.
전배승 신영증권 애널리스트는 "자산관리 수익의 양적 확대는 꾸준히 이어질 것"이라며 "올해 절세형 소매채권 판매호조 등에서 확인되듯이 저성장, 저금리 여건하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고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금융상품에 대한 수요가 높다"고 설명했다.
또한 부동산시장의 상승 기대감이 약화된 점 역시 투자자들의 선택의 폭을 축소시키고 있다는 분석.
이 외에도 고령화에 따른 은퇴자금의 비중과 활용도가 높아지는 시기임을 감안할 때, 금융시장의 단기변동성에 취약성을 보이는 기존상품과는 차별화되는 중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금융상품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할 것이란 관측이다.
반면 위탁매매(브로커리지) 부문은 내년에도 여전히 어려운 상황을 벗어나기 힘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증권업종의 주요 수익원으로는 크게 상품 판매 등 수수료 수익과 이자수익, 상품 운용수익으로 나뉘는데 현재 대부분의 국내 증권사들은 브로커리지 위주의 영업을 하고 있다.
실제로 국내 증권사들의 순영업수익(영업이익에 판관비를 차감하기 전 수익)에서 브로커리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40%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
장효선 삼성증권 애널리스트는 "브로커리지 부문의 수익성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하며 회사간 과도한 수수료 경쟁과 저렴한 온라인 거래 비중 증대 등을 그 이율로 꼽았다.
전배승 애널리스트 역시 "주식시장의 방향성 부재로 거래대금이 크게 증가하지 못해 주식약정수수료 수입이 금융위기 이후 지속적으로 정체되어 있다"며 "증시부진과 거래대금 위축, 지속적인 수수료 경쟁심화로 수탁수수료 수익은 추가적이 부진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IB부문 역시 자본시장 통합법 개정안의 통과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으로 인해 수익성 개선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이 가운데 중소형 증권사들의 입지는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상황.
특히 헤지펀드 업무를 위한 프라임브로커 요건이 자기자본 3조원으로 결정되면서 향후 IB시장은 자본력 우위를 선점한 대형사 위주로 시장이 재편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현재 자기자본이 3조원 이상인 국내 증권사는 대우증권과 우리투자증권, 삼성증권, 한국투자증권, 현대증권 등 5개사다. 이어 신한금융투자와 미래에셋증권이 2조원을 조금 넘는 상황.
전 애널리스트는 "향후 IB시장은 자본력 우위를 선점한 대형사 위주로 시장이 재편될 가능성이 높다"며 "대형사와 중소형사 간의 점진적 양극화는 불가피해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자본시장 통합법 개정안의 통과 여부가 불투명해진 시점에서 단기간내에 대형사의 IB수익 창출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IB부문의 수익은 과거 금융위기 직후 구조조정을 동반한 기업의 신규진입/퇴출 과정에서 사채발행 , IPO, 유상증자 등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했으나, 2010년 이후 현재까지 주식시장의 침체와 글로벌 디레버리징의 영향으로 위축된 상태다.
[뉴스핌 Newspim] 김동호 기자 (good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