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잉 유동성, 위험자산 중심 자산가격 끌어올려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선진국 중앙은행의 제로금리가 퇴로를 찾기 힘들 전망이다.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사상 최저 금리가 상당 기간 지속될 가능성을 내비쳤고, 유럽중앙은행(ECB)은 초과 지급준비금에 대해 0.1%의 마이너스 금리를 시행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골드만 삭스는 연준의 금리 인상 조건인 실업률의 기준을 기존의 6.5%에서 5.5%로 떨어뜨려야 한다고 거듭 주장하고 있다.
영국의 영란은행(BOE) 역시 금리 인상 시기가 예상보다 빨라질 것이라는 시장의 예상과 달리 회의 의사록을 통해 장기 저금리를 시행할 입장을 밝혔다.
(출처:AP/뉴시스) |
가시적인 시일 안에 금리인상과 관련된 리스크가 불거지지 않을 것이라는 데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투자자들 사이에 자산 시장의 향방에 대한 저울질이 한창이다.
각국 중앙은행이 사상 최저 금리를 장기간 지속하는 한편 자산 매입을 포함한 추가 부양책에 나선다 하더라도 실물경기 회복을 도모하는 것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다. 하지만 과잉 유동성이 위험 자산을 중심으로 자산 가격을 끌어올릴 것이라는 데 이견을 찾기 힘들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미 버블 논란이 달아오르는 뉴욕증시가 추가 상승할 것으로 점쳤다. 미래 배당의 현재가치를 낮은 금리를 적용, 산출하는 만큼 주가가 높아져야 한다는 얘기다.
외환시장에서는 달러화가 약세 흐름을 지속할 것으로 보이며, 유로화와 엔화 역시 동반 하락할 전망이다. 반면 투자자들의 고수익률 추구에 따라 이머징마켓 통화가 강세를 보일 것으로 시장 전문가는 예상하고 있다.
과잉 유동성에서 비롯된 소위 ‘핫머니’가 이머징마켓으로 밀물을 이루면서 중앙은행이 외환시장 개입에 나서는 등 환율전쟁이 불거질 수 있다고 일부 투자가는 우려했다.
상품시장에서는 금이 랠리를 연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앙은행의 투자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반면 산업용 원자재의 경우 중국의 경제 성장이 둔화되는 가운데 현물 수요 부진과 금융권의 투기적 매수가 충돌을 일으킬 전망이다.
부동산의 경우 상승세를 지속할 것으로 시장 전문가는 내다보고 있다. 특히 뉴욕과 홍콩, 상하이, 런던 등 국제 도시의 부동산 가격이 강세를 나타낼 전망이다.
선진국의 소비자물가지수가 일제히 저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이와 별도로 자산 가격은 오름세를 지속할 것이라는 데 투자자들의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닥터 둠으로 불리는 마크 파버는 최근 연준의 비전통적인 통화 정책이 자산 버블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기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