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수호 기자] 네이버가 '2수' 앞을 내다보는 검색 서비스를 도입하고 모바일 검색 서비스를 대폭 강화한다.
네이버는 모바일 검색창에 입력되는 검색어 패턴을 분석해 이용자가 이후 궁금해할만한 정보를 미리 추천해주는 서비스를 도입한다고 24일 밝혔다.
![](http://img.newspim.com/content/image/2015/02/24/20150224000170_0.jpg)
이번에 도입하는 서비스는 기존의 연관 검색어 수준이 아닌, 이용자 검색어의 다음, 그리고 그 다음에 궁금해할만한 정보를 미리 추천해주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런던 여행'과 같이 지역 이름과 결합된 '여행' 키워드를 입력하면 모바일 검색창 상단에 런던 지역의 날씨 정보와 함께, '이런 곳 어때요?'라는 콘텐츠 검색 형태로 제공된다. 각종 웹문서 등에서 자동으로 추출한 '명소' 관련 맞춤형 정보를 추천해 주는 형식이다.
여기에는 이용자의 최초 검색어 입력 이후 두 클릭 뒤의 행위를 미리 예측하는 NCKP (Naver Contextual Knowledge Plus)라는 자체 기술이 활용됐다. 이용자가 '국내외 지역명'과 함께 '여행' 류의 검색어 입력을 한 뒤에는 해당 지역의 날씨 정보, 주변 명소 등을 추가로 검색하는 이용 패턴을 보임에 따라 미리 예측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네이버는 대규모 데이터 분석으로 통해 '굿모닝·굿나잇 날씨&운세' 정보도 제공하기 시작했다. 네이버는 날씨나 운세 등 생활형 검색어의 경우 이용자가 매일 특정 시간대에 반복해 입력하는 패턴을 보이는 것을 포착해 라이프 사이클 맞춤형으로 이를 제공한다.
날씨나 운세 등 생활형 검색어의 경우 다른 검색어보다 매일 출퇴근 및 등하교 시간에 다량으로 검색어가 입력되고 있다. 여기에 시간 개념을 적용해 날씨 및 운세 정보를 추천해주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
해당 서비스는 모바일 검색창에 '길찾기' 등 특정 검색어를 입력하면 오전 6시부터 10시까지 한시적으로 '굿모닝! 오늘의 운세(또는 날씨)를 확인해 보세요'라는 문구의 링크 형태로 제공된다. 검색량이 많은 취침전 시간대인 저녁 11~12시까지는 '굿나잇! 내일의 운세를 확인해 보세요' 형태로 정보를 추천한다.
현재는 일상적으로 반복해 입력되는 '길찾기', '버스노선', '지하철노선' 등 자주 검색되는 키워드 일부에 한해 먼저 적용됐다.
네이버 관계자는 "앞으로도 좁은 모바일 화면 내에서 최적화된 검색 결과를 제공할 것"이라며 "검색 서비스의 고도화 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이수호 기자 (lsh599868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