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Anda 중국

속보

더보기

중국 생방송 온라인 쇼핑몰 소비시장 뉴트렌드 부상

기사입력 : 2016년09월06일 17:02

최종수정 : 2016년09월21일 10:16

동영상 융합된 '생방송 온라인몰' 소비시장 강타
포스트 온라인 쇼핑몰의 새로운 패자(覇者)

[편집자] 이 기사는 9월 6일 오후 4시30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황세원 기자] ‘온라인 쇼핑 천국’, ‘이용자 2억명 규모의 생방송 동영상 대국’, ‘인터넷 스타 100만부대’. 

최근 몇 십년간 중국에서는 인터넷 보급과 함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뉴비즈·뉴트렌드가 급속도로 발전했다. 2000년대 이후 초고속 성장한 온라인 쇼핑 시장을 필두로 모바일 결제, 게임, 핀테크, 생방송 동영상 등이 폭발적 성장세를 나타냈으며 최근에는 18조원 규모의 일명 ‘왕훙(중국 인터넷 스타)경제’가 신드롬을 일으키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인터넷 변방’에서 각종 인터넷 파생 산업의 성장을 선도하는 ‘인터넷 강자’로 부상한 중국은 이제 신(新)산업간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유독 눈에 띄는 시장이 바로 ‘생방송 온라인 쇼핑몰’이다. 중국의 생방송 동영상 시장은 최근 몇 년간 비약적인 성장을 했는데 아이미디어리서치 데이터에 따르면 2015년 중국의 생방송 동영상 이용자 수는 2억명, 시장 규모 90억위안(약 1조4860억원), 플랫폼 수는 200여개에 달한다.


생방송 동영상 플랫폼과 기존 온라인몰이 결합돼 탄생한 비즈니스 모델이 바로 ‘생방송 온라인 쇼핑몰’이다. 중국의 ‘생방송 온라인 쇼핑몰’은 기존의 온라인몰에 생방송 플랫폼을 가미한 방식부터 왕훙(인터넷스타) 기반의 제품 간접 홍보가 특징인 비즈니스 모델까지 다양하다. 최근에는 기업화된 전문 생방송 온라인 쇼핑몰도 등장해 이목을 끌었다. 

첫 번째 유형은 기존 온라인몰에 생방송 플랫폼을 도입한 방식으로 주요 업체로는 글로벌 1위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 산하의 톈마오즈보(天貓直播, 티몰생방송), 타오바오즈보(淘寶直播, 타오바오생방송) 등이 있다.

톈마오즈보는 2015년 11월 11일 광군제(光棍節, 중국의 빼빼로데이) 하루 만에 유명 화장품 브랜드인 메이블린 제품 9천여개를 팔아 치운 전력이 있으며 2016년 4월 14일에는 중국 최고 여배우 안젤라베이비를 기용해 2시간만에 메이블린 신상품 1만여개를 순식간에 매진시켰다.

스타 마케팅을 통해 매번 기록적인 판매 실적을 갈아치웠지만 연예인 사진이나 이미지를 활용한 기존 광고 형식과 별반 다를 바가 없다는 점에서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로 평가되진 못했다. 업계 한 전문가는 중국 유력 온라인 매체 터우쯔제(投資界)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 같은 비즈니스 모델은 스타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연예인 기용 여부에 따라 매출이 좌지우지되는 단점이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두 번째 유형은 생방송 플랫폼을 기반으로 왕훙(인터넷스타)이 주축이 되어 제품을 간접 홍보하는 방식이다. 시장 규모 무려 18조원에 달하는 ‘왕훙 경제’라는 말도 사실 이 때부터 본격적으로 출현했다. 탄탄한 팬덤을 구축하고 있는 왕훙은 생방송 플랫폼을 통해 화장품이나 의류 등에 대한 후기를 남기고 정보를 공유하며 관련 제품의 소비를 유도한다. 다만 온라인 쇼핑몰을 직접 연계 혹은 운영해 상업적인 목적이 부각될 경우 팬덤이 무너질 가능성이 높아 생방송 플랫폼과 온라인몰이 별개로 운영된다는 특징이 있다. 중국 유력 경제 매체 텅쉰차이징(騰訊財經, 텐센트재경)에 따르면 현재 200여개에 달하는 생방송 플랫폼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자상거래 도입형' 비즈니스 모델 전환을 망설이고 있다.

마지막 유형은 처음부터 생방송 온라인몰 전문업체로 출범한 경우다. 이들 업체는 주로 해외 화장품이나 의류를 판매한다. 소비자가 수입품을 구매할 때 정보 비대칭 문제로 구매를 망설인다는 점에 착안해 생방송에 기반한 간접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를 테면 중국 소비자가 생방송 플랫폼을 빌어 명동의 한 화장품 가게에 들어가 상점 내부를 돌아보고 주요 제품을 사용한 후 제품을 구매하는 방식이다. 

대표적인 업체로는 중국 온라인 쇼핑몰 보뤄미(菠蘿蜜, 이하 볼로미)와 뷰티 전문 쇼핑몰 샤오훙춘(小紅唇) 등이 있다. 2015년 설립된 볼로미는 생방송 기능을 도입해 소비자가 세계 각지에 있는 상점에 방문하고 직접 제품을 고르는 듯한 간접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했다. 비슷한 성향의 소비자는 커뮤니티를 구성해 실시간으로 의견을 교환하거나 후기를 공유하기도 한다. 볼로미는 이미 ‘일본몰’을 개설했으며 작년 7월에는 한국 법인을 설립했다. 현재 볼로미 코리아는 70여곳의 한국 업체와 제휴하여 실시간 동영상을 통해 3천여개 제품을 중국에 판매하고 있다. 

 


중국 내 생방송 온라인 쇼핑몰 시장의 잠재력이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글이나 이미지에 비해 시간 소요가 많아 제품별 응용 범위가 제한적이라는 점은 한계점으로 지적된다. 간접 체험이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뷰티, 미용, 의류 등 세부 업종 외에 다양한 제품을 포괄적으로 판매하는 종합 온라인 쇼핑몰의 경우 생방송 플랫폼에 기반한 광고·홍보 효과가 높지 않다는 분석이다.

미국계 화교 기업인 WI하퍼그룹의 관계자 뤄싸이(羅賽)씨는 중국 온라인매체 터우쯔제(投資界)와의 인터뷰를 통해 “생방송 온라인 쇼핑몰이 여러 한계점을 갖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방대한 인터넷 이용자 및 인프라에 기반한 성장성은 무궁무진하다. 기존 온라인 쇼핑몰이 세운 각종 기록을 모조리 갈아치우고 있는 상황”이라며 “디디추싱 이후 중국 내 대형 신생 벤처기업이 탄생한다면 의심의 여지 없이 생방송 온라인몰 전문업체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황세원 기자 (mshwangsw@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탄핵심판 '인용' 51.9% vs '기각' 44.8%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국민 과반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해야 한다고 응답한 여론조사가 7일 공개됐다. 기각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 결과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51.9%는 '인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각해야 한다'는 답변은 44.8%였다. 격차는 7.1%포인트(p) 였다. '잘 모름'은 3.3%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인용해야 한다 50.1%, 기각해야 한다 47.7%, 잘 모름 2.2% 였다. 여성은 인용해야 한다 53.6%, 기각해야 한다 42.0%, 잘 모름 4.3%였다.  연령별로는 ▲만 18세~29세(인용 52.5%, 기각 46.6%, 잘 모름 0.9%) ▲30대(인용 56.9%, 기각 41.0%, 잘 모름 2.1%) ▲40대(인용 68.7%, 기각 30.3%, 잘 모름 1.0%) ▲50대(인용 60.9%, 기각 36.0%, 잘 모름 3.0%)에서 인용 의견이 더 많았다. 반면 ▲60대(인용 42.8%, 기각 53.9%, 잘 모름 3.3%) ▲70대 이상(인용 25.5%, 기각 64.7%, 잘 모름 9.8%)은 기각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충청·세종에서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61.7%)이 가장 높았다. 기각은 37.4%, 잘 모름 0.9%였다. ▲광주·전남·전북(인용 56.5%, 기각 37.1%, 잘 모름 6.3%) ▲부산·울산·경남(인용 53.1%, 기각 42.5%, 잘 모름 4.4%) ▲서울(인용 51.2%, 기각 47.8%, 잘 모름 1.0%) ▲경기·인천(인용 50.5%, 기각 46.7%, 잘 모름 2.8%) ▲강원·제주(인용 47.2%, 기각 45.5%, 잘 모름 7.3%) ▲대구·경북(인용 42.7%, 기각 52.0%, 잘 모름 5.2%) 순이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90.5% ▲조국혁신당 지지자 93.0% ▲개혁신당 지지자 84.7% ▲진보당 지지자 86.5%가 탄핵이 인용돼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 87.6%는 탄핵 기각을, 7.9%는 탄핵 인용을 주장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탄핵이 인용되면 대통령이 파면돼 권력 공백과 정국 혼란이 발생할 수 있지만, 국민의 민주주의 수호와 대통령의 중대한 잘못에 대한 바로잡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여론이 우세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헌법재판소가 향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지는 법적 근거와 증거의 유무, 국가와 국민에게 미친 영향, 사회적 여론과 정치적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탄핵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정치적 편향성을 최소화해야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kgml925@newspim.com 2025-02-07 11:00
사진
정당지지율 국민의힘 43.2%·민주 41.4%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설날 전까지 10% 포인트(p) 가까이 차이를 보였던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오차 범위 내 접전 양상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세를 타던 국민의힘 지지율은 꺾였고, 떨어지던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회복됐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ARS(자동 응답시스템) 조사해 7일 발표한 결과 국민의힘 지지율은 43.2%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41.4%였다. 지난달 22일 발표된 조사와 비교해 국민의힘은 5.3%p 하락한 반면 민주당은 2.6%p 상승하면서 양당 지지율 격차는 9.7%p에서 1.8%p로 줄었다. 조국혁신당은 4.5%로 지난조사보다 0.7%p 상승했고, 개혁신당은 1.5%로 0.2%p 올랐다. 진보당은 0.7%(+0.3%p), '기타다른정당' 2.3%(+0.6%p), '지지정당없음' 5.9%(+4.2%p), '잘모름'은 0.5%(+0.4%p)로 기록됐다. 연령별로 보면 18~30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을, 40~50대는 민주당을 가장 많이 지지했다. 만 18세~29세는 국민의힘 46.3%, 민주당 35.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3.9%, 진보당 1.2%, 기타다른정당 3.4%, 지지정당없음 3.3%, 잘모름 1.2%였다. 30대는 국민의힘 41.1%, 민주당 39.9%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6%,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7%, 잘모름 0.8%였다. 40대는 민주당이 55.9%, 국민의힘 29.0%, 조국혁신당 5.1%, 개혁신당 0.5%,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7.4%였다. 50대는 민주당 47.0% 국민의힘 35.3%, 조국혁신당 7.2%, 개혁신당 2.3%,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0.4%, 지지정당없음 6.4%였다. 60대는 국민의힘 53.7%, 민주당 35.7%, 조국혁신당 2.8%, 진보당 0.5%,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4%였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6.9%, 민주당 31.6%, 조국혁신당 1.9%, 진보당 1.0%,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8%였다. 국민의힘은 지역별로 서울과 경기·인천,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에서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광주·전남·전북에서는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서울은 국민의힘 47.2%, 민주당 38.5%, 조국혁신당 1.4%, 개혁신당 0.4%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3%였다. 경기·인천은 국민의힘 43.3%, 민주당 39.7%, 조국혁신당 4.0%, 개혁신당 1.5%, 진보당 0.9%, 기타다른정당 3.3%, 지지정당없음 6.0%, 잘모름 1.4%였다. 대전·충청·세종은 민주당 53.5%, 국민의힘 36.5%, 조국혁신당 4.5%, 개혁신당 0.8%, 기타다른정당 2.0%, 지지정당없음 2.6%였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59.4%, 국민의힘 33.3%, 조국혁신당 2.4%, 지지정당없음 4.9%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4.4%, 민주당 35.2%, 조국혁신당 9.0%, 개혁신당 1.8%, 기타다른정당 1.5%, 지지정당없음 8.1%였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60%, 민주당 28.4%,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2.8%, 통합진보당 1.5%, 기타다른정당 1.7%, 지지정당없음 1.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54.6%, 국민의힘 28.4%, 조국혁신당 6.9%, 개혁신당 3.5%, 기타다른정당 1.0%, 지지정당없음 5.5%였다. 성별로는 남성은 국민의힘 46.0%, 민주당 38.1%,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5%, 진보당 0.8%,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6.7%였다. 여성은 민주당 44.6%, 국민의힘 40.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0.5%, 진보당 0.6%, 기타다른정당 2.5%, 지지정당없음 5.1%, 잘모름 0.9%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국민의힘 지도부가 단체 면회를 가는 등 모습이 민주당 지지층을 결집시켰고, 일부 중도층도 야권으로 이동하면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큰 폭으로 하락한 반면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상승했다"며 "여론은 언제든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07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