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보유액 3조달러선 붕괴, 자본유출 확대 경고음인가.
통화긴축 움직임 속, 달러당 7위안 방어 성공 여부 관건.
[뉴스핌=배상희 기자] 절대 무너질 것 같지 않았던 난공불락(難攻不落)의 중국 외환보유액 3조 달러 마지노선이 붕괴됐다. 전세계 금융시장은 이미 예견된 일이라는 평가를 내리면서도, 막상 붕괴가 현실화되자 중국발 쇼크에 대한 우려감을 감추지 못하는 분위기다.
시장에서는 외환보유액 3조달러 붕괴를 달러대비 위안화 환율 7위안선 붕괴를 예고하는 신호탄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7위안선 마저 붕괴될 경우 자본유출 압력이 확대되고, 미중 양국간 환율전쟁 또한 격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된다.
이제 모든 관심은 중국 당국의 행보에 쏠려있다. 외환보유액 3조 달러 방어선을 내준 중국 당국이 지속적인 외환 축소를 감내하면서라도 7위안선을 지켜낼 것인지, 아니면 환율방어를 중단하고 외환보유액이 더 이상 줄어드는 것을 막는 것에 정책적 무게를 둘 것인지 주목된다. 아울러 중국의 통화긴축 움직임이 외환보유액 3조달러선 붕괴를 기점으로 더욱 속도를 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 3조달러, 현실적 하한선 vs 심리적 지지선
중국 인민은행에 따르면 1월 말 기준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2조9982억달러를 기록하며 3조 달러 밑으로 주저앉았다. 3조 달러가 붕괴된 것은 2011년 2월 이후 5년 11개월 만에 처음이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이 암묵적으로 제시한 방어선인 2조9800억 달러에도 근접한 수치다. 1월 자본유출 규모는 826억달러로, 12월 744억달러보다 높았다.
외환보유액 3조달러선 붕괴를 두고 전문가들의 의견은 엇갈린다.
일부 전문가들은 3조달러를 외환보유액의 현실적 하한선으로 판단하며, 자본유출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우려한다. 위안화 가치 하락 압력이 커지는 가운데, 3조 달러 붕괴는 중국 당국의 외환관리 실패 인식을 확산시킬 수 있고, 이는 투자심리 위축에 따른 외환유출 속도 확대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벌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중국 외환시장 불확실성이 중국 실물경제로 이어질 경우, 전세계의 대중국 수출에도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블룸버그 통신 아시아지역 수석 이코노미스트 톰 올릭(Tom Orlik)은 외환보유액 3조달러 붕괴는 중국 당국이 정책적 금리인상 등으로 긴축에 나섰음에도 막지 못한 결과라면서, 외환보유액 축소 움직임이 표면에 드러난 것보다 훨씬 심각하다고 평했다.
인민은행 통화정책위원을 지낸 위융딩(余永定) 중국사회과학원 학부위원은 외환보유액 방어가 환율을 방어하는 것보다 더욱 중요하다면서, 외환보유액 축소 움직임에 대한 경계심을 드러냈다.
반면, 중국 당국은 대수롭지 않다는 반응이다. 외환보유액이 여전히 세계 최대 규모고, 현재 보유액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자신감을 내비치며 시장 불안 진화에 나섰다.
중국 인민은행 산하 국가외환관리국(SAFE)은 외환 매도를 통한 외환공급수요 조정이 지난달 외환보유액 감소의 주요 원인이라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외환보유액은 여전히 충분하다고 자신했다.
다수의 중국 현지 전문가들 또한 과도한 비관적 전망을 경계하는 눈치다. 3조달러는 심리적 마지노선일 뿐, 실제로 환율시장에 큰 충격을 주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면서, 1월 자본유출 규모가 큰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판단한다. 연초는 외환매입이 가장 활발한 시기로 자본유출 압력이 비교적 큰 시기인 데다, 12월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인한 영향까지 겹치면서 외환보유액이 줄었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일부 전문가는 3조달러 붕괴를 중국 통화정책의 본격적인 긴축주기 진입 신호로 평가하며, 자본유출 압력이 자연스럽게 축소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흥업증권(興業證券) 왕한(王涵) 거시애널리스트는 외환보유액 3조달러 붕괴에 대해 '두려울 것이 무엇인가'라고 반문하며 2017년 환율시장 불안과 자본유출 확대 가능성을 과도하게 우려할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셰야쉬안(謝亞軒) 초상증권(招商證券) 수석애널리스트는 3조 달러는 외환보유액의 현실적 하한선이 아니라면서, 1월 감소세는 3대 계절적 요인에 따른 자연스런 감소현상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개인 외환 매입액 한도 회복 이후 증가한 외환자산 수요, 춘제(春節∙음력 설) 기간 해외여행과 해외소비 확대, 기업의 부채상환과 결산 등이 그것이다.
류젠(劉健) 교통은행 금융연구센터 선임 연구원은 중국은 관리환율변동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외환유출관리 또한 비교적 엄격한 편인 만큼, 2조달러 가량의 외환보유액을 보유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설명했다.
◆ 깊어지는 당국의 딜레마, 7위안 방어에 올인할까
중국 금융시장의 2대 심리적 버팀목 중 하나인 외환보유액 3조달러 방어선을 내준 지금, 중국 당국이 달러대비 위안화 환율 7위안 방어에 계속 나설 지 여부에 귀추가 주목된다.
그간 시장은 중국의 ‘달러당 7위안, 외환보유액 3조달러 붕괴’라는 더블쇼크를 우려해왔으며, 두 방어선 모두 붕괴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진단을 내려왔다. 지난해까지 중국 당국은 점점 높아지는 환율시장 불안에 지난해 달러 매도를 통한 환율방어에 사활을 걸었다. 하지만, 추락하는 위안화 환율 수호에 주력하는 사이 곳간 속 외환은 줄어들었고, 결국 3조달러 붕괴라는 결과를 초래했다.
중국 당국은 여전히 위안화 환율과 외환보유액 방어 사이의 딜레마에 빠져있다. 시장에서는 이미 외환보유액 방어선이 무너진 지금, 중국 당국이 환율 방어를 통한 자본유출 억제에 정책적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 이유는 환율을 포기하게 될 경우 초래될 여파가 크기 때문이다.
환율 방어를 포기할 경우 외환보유액이 줄어드는 속도는 늦출 수 있겠지만, 위안화 평가절하 압력에 따른 기업들의 달러 부채 상환 움직임을 가속화 해 중국 내 자본유출 우려를 키울 수 있다. 이는 다시 위안화 약세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 중국 금융시장의 불안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
더 나아가 미중 양국간 환율전쟁 가능성 또한 제기된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는 등 마찰이 가속화될 경우 중국 경제는 물론 대중국 수출의존도가 높은 신흥국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반면, 일각에서는 외환보유액 3조 달러선이 무너진 만큼, 중국 당국이 더 이상 적극적으로 외환 매입을 통한 환율방어에 나서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후이스(韓會師) 중국 외환전문가는 외환보유액 3조달러 붕괴는 시장에 일정한 충격을 가져다 줄 것이라면서, 위안화 평가절하 압력까지 높아지는 상황에서 결국 인민은행의 향후 행보에 환율과 외환보유액의 향방이 결정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중국 당국이 향후 가속화될 수 있는 자본유출을 방어하기 위해 시장개입을 통한 고삐죄기를 확대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개인의 외환매입 관리 감독 정책이 더욱 엄격해질 전망이다.
홍콩 소재 옥스퍼드이코노믹스의 루이 쿠이지스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중국 당국이 외환보유액 감소를 제한하고 자금유출을 막기 위해 더욱 공격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면서 “공식적으로 자본유출을 규제하거나 국내 외환시장에서 수출 업자들의 달러 매각을 제한하는 규제를 재도입하는 등의 조치가 그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배상희 기자(b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