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월 신규 수주 12척 그쳐, 나머지는 일감 제로
전문가들 "특화선종·사업전환 등 자체적인 체질 개선 필요"
[뉴스핌=조인영 기자] 중형조선사의 절반이 올 들어 신규 수주를 한척도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주 가뭄이 장기화되자 도미노 부실 우려를 가진 은행들이 선수금환급보증(RG)을 꺼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RG 발급을 앞당겨 유동성을 지원하되 특화선종 개발이나 블럭공장 전환 등 존속 가능한 방법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자료=해외경제연구소> |
12척을 수주했지만 1~2월 계약은 2척에 불과했고 대부분이 3월을 넘겨서야 체결됐다. STX조선의 초대형유조선(VLCC) 4척은 1년 5개월만의 첫 수주이며, 지난달 유조선(5척) 건조의향서(LOI)를 체결한 성동조선은 계약 확정 시 2015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수주에 성공하게 된다.
수주 가뭄은 역대 최악 수준이다. 2014년 8개사의 수주액은 31억7000만달러에서 2015년 13억1000만달러로 줄어든 뒤, 지난해엔 3억7000만달러로 급격히 감소했다. 2년새 90% 가까이 급감한 것으로, 전체 조선소에서 차지하는 매출 비중도 2014년 10.1%에서 한자릿수인 9.5%로 축소됐다.
수주 감소는 해운 시황 개선이 미진한 탓이다. 지속되는 공급과잉에 발주가 더뎌지자 조선사들간 출혈경쟁만 야기시키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해운산업 수익률이 낮은 상황에서 구조조정이 아직도 진행중"이라며 "이는 선가 하락, 발주 감소 등의 악순환으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더욱이 RG발급도 늦어지면서 조선사들의 속앓이가 커지고 있다. 최근 한진중공업의 경우, 3월에 수주한 초대형유조선(VLCC) 4척에 대한 RG가 2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발급되고 있지 않다. 지난달 체결한 대우조선의 VLCC 3척도 마찬가지다.
업계는 신속한 RG발급으로 조선사 숨통을 틔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제한적이라도 유동성을 공급해 조선소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RG 지연으로 계약이 무산되고 더 이상 수주를 하지 못하면 조선소는 문을 닫을 수 밖에 없다.
중형 조선사의 한 관계자는 "신규수주에 성공하더라도 RG발급이 제 때 이뤄지지 않으면 계약이 무산된다. 글로벌 선사들이 계속기업가치를 의심하게 되면 국내 조선소에 대한 발주 자체가 줄어들게 된다"고 우려했다.
더욱이 은행들의 여신정책이 대우조선 등 대형사에만 치중돼 중형조선사들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고 우려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대형사들이 차지하는 여신한도가 쏠림현상을 보이면서 중형조선사들에게 돌아갈 한도가 상대적으로 축소되고 있다"고 말했다. 신용평가사인 나이스신평에 따르면 2015년 12월 말 기준 조선업종 여신 비중은 2.0%에서 지난해 9월 말엔 1.6%로 9개월 동안 0.4%포인트 감소했다.
외부 전문가들은 조선사들이 살아남기 위해선 외부 지원 뿐 아니라 자체적인 체질개선이 요구된다고 조언했다.
양종서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박사는 "중형조선산업은 국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많지 않고 국내 경제에 주는 충격도 크지 않아 지원정책에서도 도외시되는 경향이 있다"며 "이들이 붕괴되면 관련 기자재산업이 무너지고 대형사들은 더 비싼 값에 기자재를 사와야 하는 부작용을 낳는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 차원에서 이런 고민들을 깊게 가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익명을 요구한 관계자는 "대선조선은 중소형 특수탱커, 현대미포조선은 MR탱커 등 조선사들의 특화전략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아가고 상황"이라며 "성동조선, SPP조선 등은 향후 생존을 위해 블럭공장 등 기자재 사업으로 회귀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뉴스핌 Newspim] 조인영 기자 (ciy81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