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조세감면 실적 연구결과
[뉴스핌=오찬미 기자] 정부의 조세 감면 정책으로 전체적인 조세 감면액은 증가했지만 대기업에게 돌아가는 혜택은 감소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중소기업에는 6조원에 가까운 조세 감면 혜택이 집중됐다.
![]() |
23일 한국경제연구원이 지난 2012년부터 2015년까지 분석한 조세감면 실적 연구결과에 따르면 최근 4년간 전체 조세감면액은 28.8% 증가했다.
한경연은 이중 소득세, 개인, 중소기업 감면 금액은 증가했지만 법인세, 기업,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감면액은 오히려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지난 2015년 중소기업은 같은해 6조1000억원에 달하는 세금을 감면받았고, 중견기업은 3년전(2013년 866억원)보다 5.4배 증가한 5483억원의 감면 혜택을 봤다.
다만 지난 2015년 기준 중소기업을 제외한 기업들의 감면액은 7.7% 줄어든 4조8000억원에 그쳤다.
대기업 대상 감면액 비중은 9.4%에서 7.9%로 1.5%포인트 줄었다. 이중 기타 대기업 감면액이 지난 2013년 대비 34.3% 감소한 1조4000억원을 기록했고 상호출자제한기업은 같은 시기 5.9% 감소했다.
2017년 조세감면액은 2015년보다 1조1000억원 늘어난 37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경연은 정부의 올해 전망치를 토대로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조세감면 격차는 더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유환익 한국경제연구원 정책본부장은 “조세감면제도는 지난 2012년부터 꾸준히 정비돼왔기 때문에 이제는 축소 및 폐지할 것이 많이 남아있지 않은 상태”라며 “올해도 비과세·감면 분야의 대대적인 정비가 예고됐지만, 기업의 장기성장과 관련된 R&D(연구개발), 일자리 창출 관련 분야에 대한 조세감면 정비에 대해서는 종합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오찬미 기자 (ohnew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