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쇼핑물 고용효과 일반 쇼핑몰의 5배 분석
10억 매출당 직원수 6.8명..네이버의 6배
"대형마트 규제로 전통시장 반사 이익 없어"
[뉴스핌=이에라 기자] "잠실 롯데월드몰의 고용 인원은 2500여명이 넘는다. 네이버나 카카오 직원수랑 비슷한 규모다."
신광철 롯데미래전략연구소 상무는 21일 홍대 인근에서 열린 소비자 단체 컨슈머워치가 주최한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유통산업의 변화' 포럼에서 "일반 복합쇼핑몰이 500여명의 고용을 창출하는데 롯데월드몰, 스타필드 처럼 규모가 큰 대형 복합쇼핑몰은 더 큰 고용 창출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신 상무는 "이는 네이버나 카카오 같은 IT 기업의 고용 규모와 비슷한 수준"이라며 "복합쇼핑몰 출점 규제나 의무휴업 같은 영업 규제를 하게 되면 얻는 피해가 클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롯데월드타워 롯데월드몰 <사진=롯데그룹> |
금감원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카카오와 네이버의 임직원수는 2689명, 2532명이다. 10억원당 매출을 놓고 봐도 복합쇼핑몰의 상대적 고용효과가 더 크다는 분석이다.
신 상무는 "네이버는 10억원당 1.1명, 카카오는 3.1명의 고용을 창출한다"면서 "롯데월드몰은 6.8명"이라고 언급했다.
내년 중 도입을 앞둔 복합쇼핑몰의 월 2회 의무휴업으로 고용과 매출 두가지 모두 감소할 것이란 우려도 내놓았다.
신 상무는 "복합쇼핑몰이 월 2회 쉴 경우, 6600명~7000명정도의 취업 감소효과를 가져온다"며 "주중으로 쉰다고 해도 3500명의 감소 효과를 낸다"고 언급했다. 그는 "복합쇼핑몰 의무휴업으로 매출도 33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며 "아울렛까지 복합쇼핑몰에 포함되면 8400억원의 매출 감소를 기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조춘한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사진=이에라 기자> |
특히 의무휴업 같은 영업규제가 인근 상권이나 전통시장을 살리는 대안이 되지 못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조춘한 경기과학기술대학교 경영학과 교수에 따르면 대형마트가 월 2회 의무휴업을 실시한 이후오히려 전통시장 매출도 감소했다. 경기 5개 지역과 대전지역의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반경 3Km 이내 소비 패턴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대형마트 평균 소비 금액이 6.4% 줄었고, 전통시장 역시 3.3% 감소했다. 반면 편의점과 온라인은 각각 24.8%, 11.5% 평균 소비금액이 증가했다.
조 교수는 "대형마트 규제 이후 슈퍼마켓의 매출은 감소하지만, 편의점이나 온라인 매출액이 증가한다"며 "대형마트의 규제의 반사이익은 전통시장 및 슈퍼마켓에 있는 것이 아닌 다른 업태에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도 복합쇼핑몰이 인근 상권에 악재로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진단했다.
신 상무는 "복합쇼핑몰 방문고객의 카드 사용을 조사해보면 25%는 인근 맛집 등을 이용해 주변 상권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고 있다"며 "복합쇼핑몰은 소비자들이 쇼핑을 하기 위해 방문하는 것이 아니라 식사, 영화 관람을 즐기는 생활문화공간이라는 점에 대해 공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복합쇼핑몰의 경쟁 상대는 전통시장이 아니라 놀이공원이나 호텔, 국내 해외 여행 등"이라며 "복합쇼핑몰은 인근 상권이 아니라 타지역과 경쟁하는 곳"이라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복합몰 하남 스타필드를 방문했던 1000만명 중 1%만 주변 상권에 가도 10만명이나 된다"며 "하남시 인구 23만명 중 43%나 되는 새 고객을 유치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셈"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롯데몰 동부산점을 방문하는 고객들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90% 이상이 7Km 반경 이외에서 방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Km 내 거주인들의 방문비율은 2%도 되지 않았다.
조 교수는 "복합쇼핑몰과 인근 상권은 규제가 아니라 협력을 통해 같이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이에라 기자 (ER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