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속보

더보기

[중국기업] 중국 배터리 강자 CATL 상장, 비야디 넘는 글로벌 챔피언 등장

기사입력 : 2017년11월20일 16:53

최종수정 : 2017년11월20일 16:58

중국시장서 BYD 제치고 시장 1위 기록
이번 IPO로 기업가치 1500억위안 평가

[뉴스핌=이동현기자] 중국의 배터리 공룡업체 CATL(寧德時代)이 상장 계획을 발표하면서 비야디(BYD)와 쌍벽을 이루는 ‘글로벌 챔피언급’ 우량주식이 탄생할 전망이다. CATL은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을 기반으로 설립 6년만에 로컬 시장 1위로 등극하는 동시에 글로벌 3대 배터리업체로 부상, 파죽지세로 성장하고 있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CATL은 올해 8월까지 3.27 기가와트(GWh) 규모의 배터리를 공급하며 중국 시장점유율 28.2%를 차지했다. 이미 지난 1분기부터 경쟁사 비야디(2.05GWh,17%)를 밀어내고 중국 시장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앞서 CATL은 지난 2016년 리튬전지 매출면에서 비야디를 제치고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중국의 증권사들은 CATL의 기업가치가 이번 IPO를 계기로 1300억위안(약 23조원)으로 껑충 뛰어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CATL은 기술력과 성장성을 두루 갖춘 것으로 평가되면서 향후 시가 총액 규모가 5000억위안대까지 급등할 것이란 낙관적인 전망도 나오고 있다.  

◆푸젠성 흙수저 출신 청위췬 회장, 중국 배터리업계의 황제로 등극

CATL의 창업자이자 회장인 청위췬(曾毓群)은 이번 IPO로 푸젠성(福建省) 최고의 부호가 될 전망이다. 그가 이끄는 CATL은 설립한 지 불과 6년만에 세계 최대 배터리 업체인 파나소닉에 맞설 수 있는 대항마로도 평가되면서 그의 경영 능력도 널리 인정받고 있다.

청위췬은 푸젠성 소도시 닝더(宁德)의 가난한 농촌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상하이 자오퉁대학(交通大學)을 졸업한 후 국영기업을 거쳐 둥관에 있는 하드디스크 업체 SAE에서 31세의 나이로 공장장에 오르며 승승장구 했다.

CATL의 창업자 청위췬회장<사진=바이두(百度)>

그 후 1999년 그는 SAE의 총재 량샤오캉(梁少康)과 함께 배터리 업체 ATL 설립에 참여했다. 청위췬은 지난 2011년 ATL의 전기차 배터리 부문을 분사해, 푸젠성 닝더(宁德)에 CATL을 설립하면서 본격적으로 전기차 배터리 사업에 뛰어들게 된다.

청위췬의 지휘하에 CATL은 설립 4년만인 2015년 파나소닉과 비야디에 이어 글로벌 3대 배터리 업체로 도약하게 된다. 또 2016년 비야디,CATL의 배터리 출하량은 각각 7.4 GWh,6.7 GWh를 기록하며 나란히 중국 시장 1,2위를 기록했다. 양사의 배터리 출하량을 합치면 중국 배터리시장의 절반을 차지한다.

CATL의 매출도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2016년 매출 및 순이익은 각각 148억 7900만위안,30억 8900만위안을 기록하며 지난 3년 동안 각각 314.31%,642.7% 증가하는 기염을 토했다.

중국의 신에너지차 정책도 CATL에게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 당국은 중장기적으로 가솔린 자동차의 판매 금지를 고려하고 있다.

앞으로 중국에서 연간 5만대 이상 생산하는 모든 자동차업체들은 2018년부터 일정 비율 이상의 신에너지차를 의무적으로 생산해야 한다. 그 비율은 2018년 8%에서 2020년 12%까지 오른다. 이에 따라 중국 전기차 시장은 지난해 50만대 규모에서 2025년 300만대 수준으로 가파른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배터리 시장도 전기차 시장의 성장에 힘입어 수요가 급증할 전망이다. 현재 중국의 배터리시장은 글로벌 시장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중은증권(中銀證券)은 중국의 전기차 배터리 수요가 2020년까지 연평균 20%를 상회하는 증가세를 보이며 88기가와트(GWh)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CATL도 이 같은 배터리 수요증가 대응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생산라인 증설에 나서고 있다. 특히 이번 IPO로 유치되는 금액을 24기가와트(GWh) 규모로 증설되는 푸젠성의 생산라인 및 R&D분야에 투입할 계획이다.

CATL의 황스린(黄世霖) 총재는 중국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배터리 생산량을 매년 2배 이상 증가시켜 2020년경에는 생산규모를 50GWh까지 확충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CATL은 장수썽(江苏省) 리양(溧阳)에도 100억위안을 투자해 연간 배터리 생산 능력 10Gwh의 공장을 건설 중이다. 더불어 유럽과 미국에도 배터리 생산라인을 추가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미국 테슬라 자동차가 건설 중인 연산 35GWh 규모의 네바다 주 소재 기가팩토리(Giga Factory)는 물론 비야디의 생산규모를 모두 앞서게 된다.

폭스바겐의 중국 e-GOLF 모델에 CATL의 배터리가 장착될 예정이다 <사진=바이두(百度)>

◆CATL 기술력 강점,국내외 완성차 공급업체로 선정

CATL은 기술력을 무기로 국내외 완성차 고객사를 확보하며 시장에서 널리 인정받고 있다. R&D 인력 및 리튬전지 특허 규모면에서 이미 세계적인 수준의 업체로 평가받고 있다.

CATL은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지리자동차(吉利汽車),베이징자동차(北京汽車),상하이자동차(上海汽車),창안자동차(長安汽車)등 주요 완성차 업체를 공급업체로 확보했다. 또 CATL은 지난 3월 현대차의 중국 합작법인인 베이징현대차와도 리튬이온 배터리 공급 계약을 맺고 PHEV(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에 탑재될 배터리를 제공키로 했다.

해외시장에서도 BMW의 중국내 유일한 배터리 공급업체로 선정되면서 배터리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특히 양사가 BMW의 프리미엄 순수전기차(EV) 모델에 장착되는 배터리 시스템 공동 개발에 나서면서 배터리의 생산은 CATL이 맡기로 했다. 두 업체의 협력은 CATL의 배터리 기술력이 국내외 시장에 널리 공인되는 효과를 낳았다.

폭스바겐도 2018년부터 중국에 출시될 전기차 모델 ‘e-Golf’에 CATL의 배터리를 장착하기로 했다. 또다른 해외합자사인 베이징벤츠(北京奔驰)도 CATL과 배터리 공급계약을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밖에 CATL은 지난 6월 상하이자동차(上海汽车)과 배터리 합작사를 설립하기로 합의하고 전기차 분야에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현재 CATL은 상하이 자동차의 전기차 모델인 룽웨이eRX5(荣威eRX5),룽웨이e950(荣威e950)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 상하이 자동차의 경우 2020년까지 전기차 60만대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어서 충분한 배터리 공급처를 확보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였다. 이번 합작사 설립을 통해 양사는 인적·물적 자원을 공유하고 공동 R&D를 진행하는 등 양사간 시너지 효과는 극대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뉴스핌 Newspim] 이동현 기자(dongxua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여론조사] 尹 지지율 3%p 하락한 32.2%…"채상병 특검법 재공방 등 영향"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지난 조사 대비 소폭 하락하며 30%대 초반을 기록한 여론조사 결과가 27일 발표됐다. 종합뉴스통신 뉴스핌의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업체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24~25일 이틀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물은 결과 윤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잘하는 편+매우 잘함)는 지난 조사(35.2%) 대비 3%포인트(p) 하락한 32.2%로 집계됐다. 부정평가(잘못하는 편+매우 못함)는 62.2%→65.3%로 3.1%p 상승하며, 긍·부정 격차는 지난 조사 대비 27.0%p→33.1%p로 격차가 벌어졌다. 성별로 남성은 긍정 29.2%, 부정 69.2%, 여성은 긍정 35.3%, 부정 61.4%다. 연령별로 만18~29세는 긍정 25.2%, 부정 72.3%다. 30대는 긍정 26.8%, 부정 72.2%, 40대는 긍정 18.0%, 부정 80.4%로 가장 낮은 지지율 나타냈다. 50대는 긍정 29.1%, 부정 69.5%, 60대는 긍정 43.5%, 부정 54.3%, 70대 이상은 긍정 54.2%, 부정 39.2%다. 지역별로 서울은 긍정 29.5%, 부정 67.6%, 경기·인천은 긍정 29.5%, 부정 68.7%다. 대전·충청·세종은 긍정 32.8%, 부정 67.2%, 강원·제주는 긍정 36.8%, 부정 60.7%다. 부산·울산·경남은 긍정 35.8%, 부정 63.6%, 대구·경북은 긍정 46.6%, 부정 47.6%다. 광주·전남·전북은 긍정 24.3%, 부정 69.7%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윤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종부세 폐지·상속세율 인하 예고 이후 국정 지지세가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청년층과 40대의 취업률 저하 등 체감 민생경제가 악화됐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어 "의정 갈등에 따른 의료 공백 장기화, 한동훈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의 제3자 추천 채상병 특검법 발의 발언으로 인한 공방, 소련 해체 후인 1996년에 폐기됐던 자동군사개입 조항이 사실상 부활한 러시아-북한 간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 체결로 안보 불안 등이 지지율을 하락하게 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할당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표본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무선(100%) ARS 전화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2.9%다. 통계보정은 2024년 1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 값을 부여(셀가중)했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kimsh@newspim.com 2024-06-27 06:00
사진
친족간 재산범죄 처벌 가능해진다...‘친족 상도례’ 헌법 불합치 결정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8촌 내 혈족이나 4촌 내 인척·배우자 간 발생한 절도·사기죄 등 재산범죄에 대한 형을 면제하는 '친족상도례' 조항은 헌법에 위배된다는 헌법재판소 판단이 나왔다. 헌재는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재 대심판정에서 형법 제328조 제1항에 대한 위헌확인 소송 4건을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이종석 헌법재판소장을 비롯한 재판관들이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헌정사 최초 '검사 탄핵' 사건인 안동완 부산지검 검사 탄핵사건을 비롯해 종합부동산세, KBS 수신료 분리 징수, 양심적 병역거부자 등에 대한 대체복무역 관련 헌법소원 등의 선고를 앞두고 재판정에 자리해 있다. 2024.05.30 choipix16@newspim.com 형법 제328조 제1항은 '직계혈족, 배우자, 동거 친족, 동거가족 또는 그 배우자 간의 제323조의 죄는 그 형을 면제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적장애 3급의 장애인인 청구인 김모 씨는 삼촌 등을 준사기, 횡령 혐의로 고소했다. 하지만 검찰은 그에게 청구인의 동거 친족으로서 형면제 사유가 있다는 이유로 공소권 없음 불기소처분을 내렸다. 아울러 횡령 혐의로 계부를 고소한 또 다른 청구인 김모 씨, 파킨슨병을 앓고 있는 부친을 대리해 업무상횡령 혐의로 부친의 자녀들을 고소한 장모 씨, 어머니 명의 예금을 횡령한 혐의로 동생과 그 배우자를 고소한 청구인 최모 씨도 모두 비슷한 이유로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 이에 김씨 등은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했다. 친족상도례는 과거 가정 내부의 문제는 국가형벌권이 간섭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정책적 고려와 함께 가정의 평온이 형사처벌로 인해 깨지는 것을 막기 위해 도입됐다. 헌재는 "심판대상조항은 실질적 유대나 동거 여부와 관계없이 적용되고, 또한 8촌 이내의 혈족, 4촌 이내의 인척에 대해 동거를 요건으로 적용된다"며 "이처럼 넓은 범위의 친족간 관계를 일반화하기 어려움에도 일률적으로 형을 면제할 경우, 경우에 따라 형사피해자인 가족 구성원의 권리를 일방적으로 희생시키는 것이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심판대상조항은 강도·손괴죄를 제외한 다른 모든 재산범죄에 준용된다"며 "이러한 재산범죄의 불법성이 일반적으로 경미해 피해자가 수인 가능한 범주에 속한다거나 피해의 회복 및 친족간 관계의 복원이 용이하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피해자가 독립해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사무 처리능력이 결여된 경우 심판대상조항을 적용 내지 준용하는 것은 가족과 친족 사회 내에서 취약한 지위에 있는 구성원에 대한 경제적 착취를 용인하는 결과를 초래할 염려가 있다는 것이다. 헌재는 "그런데 심판대상조항은 이같은 사정들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법관으로 하여금 형면제 판결을 선고하도록 획일적으로 규정해, 대부분의 사안에서는 기소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이에 형사피해자는 재판절차에 참여할 기회를 상실하고, 기소가 되더라도 '형의 면제'라는 결론이 정해져 있어 형사피해자의 적절한 형벌권 행사 요구는 실질적 의미를 갖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끝으로 헌재는 "심판대상조항의 위헌성은 일정한 친족 사이의 재산범죄와 관련해 형사처벌의 특례를 인정하는 데 있지 않고, '일률적으로 형면제'를 함에 따라 구체적 사안에서 형사피해자의 재판절차진술권을 형해화할 수 있다는 데 있다"고 판시했다. 헌재는 심판대상조항에 대해 단순 위헌결정을 하는 대신 헌법불합치결정을 선고하면서 그 적용을 중지해 내년 12월 31일까지 개선입법 기한을 뒀다. 개선입법이 이뤄지지 않으면 해당 조항은 2026년 1월 1일부터 효력을 상실한다. 한편 이날 헌재는 형법 제328조 제2항은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판단도 내렸다. 형법 제328조 제2항은 '제1항 이외의 친족간에 제323조의 죄를 범한 때에는 고소가 있어야 공소를 제기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헌재는 "심판대상조항은 피해자의 고소를 제한하는 규정이 아니고, 피해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수사나 기소가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라며 "피해자가 사건 재판절차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견을 진술하는 등 법관에게 적절한 형벌권을 행사해 줄 것을 청구하는 절차적 권리가 제약된다고 볼 수 없다"고 판시했다. 그러면서 "심판대상조항은 가족의 가치를 중시하는 우리나라의 역사적·문화적 특징 등을 고려해 일정한 친족 사이에서 발생한 재산범죄의 경우 피해자의 고소를 소추조건으로 정해 피해자의 의사에 따라 국가형벌권 행사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합리적 이유가 있다"고 부연했다. hyun9@newspim.com 2024-06-27 15:4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