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에서 양국 고위 군 당국자 회동
[뉴욕 = 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미국과 중국이 북한의 체제 붕괴 시 공조 방안을 논의했다.
이는 지금까지 국제사회에서 금기 시 됐던 쟁점이라는 점에서 세간의 관심을 끌고 있다. 연이어 군사 대응을 경고했던 미국뿐 아니라 중국 역시 한반도 전시 상황을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공개한 북한의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5형'.<사진=북한 노동신문> |
19일(현지시각) 영국 파이낸셜타임즈(FT)는 중국과 미국 군 당국이 지난달 워싱턴에서 북한 체제가 붕괴될 경우 어떻게 공동 대처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했다.
이 같은 논의는 사상 처음 열린 것으로, 샤오 옌밍 중국 중앙군사위원회 연합참모부 부참모장과 리처드 클라크 미 합동참모본부 중장 등 고위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중국 측 소식통에 따르면 이번 회동은 지난 8월 조지프 던포드 미 합참의장이 베이징을 방문했을 때 합의한 부분이다.
이어 지난주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이 애틀란틱위원회에서 군사 충돌이 발생할 경우 미국은 북한을 장악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중국에 분명히 밝혔다고 언급하면서 지난달 논의에서 북한 관련 논의의 구체적인 내용이 세간에 알려졌다.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국가안보보좌관을 지낸 폴 해늘은 이와 관련, FT와 인터뷰에서 “중국이 이 같은 사안에 대한 회담에 의지를 보인 것은 상당히 이례적”이라며 “부시 행정부 시절 여러 차례 논의를 제안했지만 중국은 이를 크게 꺼렸다”고 전했다.
미국과 체제 붕괴에 관한 비밀스런 논의를 갖는 모습을 북한에 보여주고 싶지 않았을 것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그는 “하지만 최근에는 중국이 오히려 미국보다 적극적으로 이에 대한 논의를 원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베이징대학의 지아 칭궈 학장은 “과거 중국은 미국 정부를 신뢰하지 않았기 때문에 북한의 체제 붕괴에 대한 논의를 기피했지만 한반도 전쟁 위험이 크게 고조된 만큼 상황이 달라진 셈”이라고 전했다.
그는 “전쟁이 현실화되는 실정을 감안할 때 중국은 적극적으로 대비해야 한다”며 “비상 사태에 대한 논의에 나설 수밖에 없는 이유”라고 말했다.
한편 앞서 러시아 정부도 북한과 국경을 마주한 연해주 지역을 중심으로 무력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을 열어 두고 구체적인 대책 마련에 나섰다고 밝힌 바 있다.
일본 방위성은 미국 미사일 방어 시스템인 이지스 어쇼어 2기를 구매하기로 하는 등 주요국의 방어 태세가 대폭 강화되는 양상이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뉴욕 특파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