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 정부가 방위용 무인기(드론)를 대량 배치할 계획이라고 12일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이를 위해 일본 정부는 2026회계연도(2026년 4월~2027년 3월) 예산안에 1000억엔(약 9370억원) 이상의 조달 비용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조율에 들어갔다.
러시아와의 전투에서 우크라이나가 사용한 튀르키예산 저가 무인기의 도입도 검토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장기적으로는 일본 국내에서 무인기를 생산하는 체제 구축을 목표로 하지만, 무인기를 활용한 공격·정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육·해·공 자위대에 조기 배치를 우선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드론 등 무인기와 관련해 지난 4월 방위성 내에 향후 전투 방식에 대해 검토하는 팀을 만들었다. 정부 관계자는 "대원칙은 '질보다 양'이다. 우선은 수적으로 우위를 확보하는 전략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2022년에 수립된 일본 방위력 정비 계획에서는 "인적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무인기의 유효성을 강조한 바 있다.
일본은 2025회계연도 예산에도 해상 감시 능력 강화를 위한 미국의 대형 무인항공기 MQ-9B 도입 비용으로 415억엔, 소형 공격용 무인항공기에 32억엔을 편성했다.
![]() |
일본의 이즈모급 함정에서 전자식 캐터펄트로 이함하는 MQ-9B 무인기 이미지 [사진=GA-ASI] |
goldendo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