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大戰] '플랫폼'으로 치고나가는 네이버·카카오
이통3사, 'IPTV+AI 스피커' 전략으로 생태계 구축
게임업계, 미래머거리 '지능형 게임' 위해 대대적 조직 개편
[ 뉴스핌=성상우 기자 ] 인공지능(AI) 생태계 선점을 위한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의 서비스 경쟁이 치열하다. 이동통신사와 포털사, 게임사 등은 각자 구축한 이용자 풀 및 기술적 강점을 활용한 각 분야 '특화 서비스'로 초기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카카오 등 포털사는 각각 자신들의 플랫폼을 AI 플랫폼으로 변모시키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 "이용자가 경쟁력"…'플랫폼'으로 치고나가는 포털 2강
두 회사는 ICT업계에서 AI 관련 연구를 가장 활발하게 진행 중인 것으로 평가 받는다. 각각 3000만명과 4200만명의 활성이용자를 확보한 플랫폼 '네이버 포털'과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검색, 번역, 음성비서, 챗봇 등 실용 서비스를 쏟아내고 있다. 관련 기술 수준 역시 각 업계를 통틀어 최고 수준이라는 평가다.
카카오가 밝힌 AI 생태계 구상 <자료=카카오> |
네이버는 AI 기술의 초점을 검색 이용자들의 편리성에 맞췄다. 검색 이력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최적의 콘텐츠를 찾아주거나, AI가 스스로 쇼핑 상품을 추천하는 식이다. 음성인식 및 이미지 인식 플랫을 적용, 이용자가 음성명령이나 사진제시만으로 각 카테고리의 콘텐츠 및 쇼핑몰 상품을 찾아볼 수 서비스도 있다. 딥러닝 기반 번역 플랫폼 '파파고'는 국내 최고 수준의 번역 정확도를 보이며 이용자들에게 각광받고 있다.
카카오는 자사 AI 플랫폼 '카카오아이'를 카카오톡에 연동시켜 다양한 AI 서비스들이 유통될 수 있는 플랫폼으로 변모시키고 있다.
매일의 일정, 날씨, 뉴스 뿐만 아니라 스포츠 경기 결과 및 일정까지 알려주는 '비서 챗봇'을 비롯해 음성명령을 이해하고 스스로 음식 주문과 결제까지 완료하는 음식 주문 비서 '카카오톡 주문하기' 등을 현재 운영 중이다.
카카오택시(콜택시), 카카오드라이버(대리운전), 카카오내비 등 이동수단 서비스에도 순차적으로 AI를 적용함으로써 이용자 생태계를 확고히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수차례 예약판매에서 모두 완판 기록을 세운 AI스피커 '카카오미니' 역시 카카오의 강점이다. 4200만명이 이용하는 카카오톡 플랫폼 내의 모든 서비스를 음성만으로 활용토록 한다는 게 카카오의 구상이다. 이미 택시 호출, 음식 주문, 다양한 비서 서비스 등 상당수 음성 서비스가 상용화됐다. AI 생태계 이용자 풀 구축 속도는 ICT 업계를 통틀어 카카오가 가장 빠르다는 것이 업계 관측이다.
◆ 이통3사, 'IPTV+AI 스피커' 전략으로 생태계 구축
이통3사는 인터넷프로토콜TV(IPTV)와 AI 스피커를 AI 확산 플랫폼으로 삼았다. 각 이통사가 강점을 가진 분야가 통신 및 IPTV 가입자 풀이라는 판단에서다. 이용자들의 콘텐츠 소비를 돕는 AI를 사물인터넷(IoT)과 연결시켜 AI 스마트홈 생태계를 장악하겠다는 복안이다.
SK텔레콤은 자회사 SK브로드밴드의 'Btv'에 자사의 음성인식 기반 AI 플랫폼 '누구'를 결합한 'BtvX누구'를 내놨다. 이용자가 음성만으로 IPTV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다. AI 검색 알고리즘을 적용해 원하는 콘텐츠를 정확히 찾을 수 있고, TV에 탑재된 AI 스피커를 통해 집안의 스마트기기를 음성만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했다.
KT는 IPTV 가입자 점유율 1위라는 강점을 활용, 처음부터 IPTV에 AI 스피커를 결합한 '기가지니'로 현재 이통사 중 AI 스피커 판매량 1위를 기록 중이다. LG유플러스가 네이버의 AI 플랫폼 '클로바'와 연동해 만든 '우리집 AI' 역시 IPTV 기반 서비스다.
◆ 게임업계, 미래먹거리 '지능형 게임' 위해 대대적 조직 개편
게임업계는 '지능형 게임'을 미래 먹거리로 삼고 연구·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에 대규모 전담 조직을 꾸리고 관련 기술 연구에 한창이다.
지능형 게임이란, AI가 유저의 취향과 수준 등을 파악해 그에 맞는 게임 콘텐츠를 자동으로 공급해주는 형태의 게임을 말한다. 학습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용자별 플레이 가이드를 제공하나 이용자 성향에 맞는 콘텐츠, 이벤트 등을 선별해 알려주는 역할이다.
넥슨은 이 연구를 위해 최근 '인텔리전스랩스'를 설립했다. 올해 300명 이상 규모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넷마블도 AI센터를 신설하고 IBM 출신 AI 전문가 이준영 박사를 센터장으로 영입했다. 업계에서 AI 연구를 가장 먼저 시작한 엔씨소프트는 기존 조직 'AI랩'을 'AI센터'로 격상시켜 AI 연구를 고도화한다는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AI 생태계는 자사가 기존 보유 중인 이용자 풀을 어떻게 신기술 기반 서비스로 성공적으로 유입시키느냐가 관건"이라면서 "전 국민이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플랫폼을 보유한 카카오와 네이버가 초기 생태계 선점에는 유리할 것으로 본다. 장기적으로 이통업계와 포털업계 사이의 생태계 이합집산이 반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성상우 기자 (swse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