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들, 2000년대 학과 폐지..타 과와 통합도
북한핵실험·대북강경책으로 일자리 줄어든 탓
전문가 "통일 대비해 북한 전문가 양성 꼭 필요"
[서울=뉴스핌] 박진범 기자 =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멸종’ 위기에 몰렸던 북한학이 다시 관심을 받을지 주목된다.
27일 교육계에 따르면 대학의 북한학과는 1994년 동국대가 학과를 개설하면서 처음 등장했다. 이어 1995년 명지대, 1996년 관동대, 1997년 고려대, 1998년 조선대, 선문대 등에 북한학과가 생겼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서 북한학과는 하나 둘씩 사라지기 시작했다. 관동대가 2006년 가장 먼저 학과를 폐지했다. 정원 미달이 이유였다.
고려대학교 안암캠퍼스 2018.03.27 beom@newspim.com <사진=박진범 기자> |
선문대는 2008년 북한학과를 동북아학과로 이름을 바꾸고 개편했다. 명지대는 2010년 정치외교학과와 통폐합했고, 고려대도 지난해 1학기부터 북한학과를 사회학과와 통합, ‘공공사회·통일외교학부’에 속한 통일외교안보전공으로 개편했다. 현재 ‘북한학과’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동국대가 유일하다.
북한학과가 간판을 내리는 이유는 청년실업난, 취업률 하락 때문이다. 지난 9년 동안 북한핵실험과 미사일 개발로 인해 남북관계가 급속도로 얼어붙고, 보수 정권이 대북 강경책을 고수하면서 북한 관련 일자리가 줄어든 탓이다.
고려대 측은 “취업률이 계속 안 좋으니까 통일외교안보전공으로 이름을 바꿨다”며 “북한학과 뿐 아니라 인문대학 졸업생 모두가 취업이 어려운 상황이라 학교도 고민이 많다”고 토로했다.
학계는 북한학과가 통일 전문가를 육성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통일과정에서 북한의 실태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 관련 학문연구가 활발히 이뤄져야한다는 지적이다.
임재천 고려대 통일외교학부 교수는 "사립대는 취업 상황에 민감할 수 밖에 없다"며 "국가가 통일을 지향한다면 통일 일꾼을 안정적으로 양성하기 위해 국립대 중심으로 관련 학과도 개설하고 지원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또 "남북정상회담이 성공해서 교류·협력이 이뤄지고, 북한 관련 일자리 수요도 많아지면 좋겠지만 정상회담 한 번 가지고는 부족하다"며 "비핵화가 관건이다. 회담 성과를 끝까지 지켜봐야한다"고 설명했다.
고려대 관계자는 “정원이 늘어날 순 없어도 남북정상회담으로 지원경쟁률이 올라가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27일 판문점 평화의집에서 정상회담을 했다. 이번 정상회담은 2007년 이후 11년 만에 성사됐다.
[한국공동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오전 판문점에서 악수를 하고 있다. 2018.04.27 |
beo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