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풍력발전 시장 진출…신재생·LNG발전 등 가속화
"기존 사업에도 기회는 있다"…해외 원전시장 공략
[서울=뉴스핌] 정탁윤 기자 = "세계 발전시장의 저성장 기조가 지속되며 주요 경영지표가 어려움에 빠져 있습니다. 회사가 어려운 상황에 처한 것이 제 책임이라고 생각하고 사임합니다. 여러 가지 모자란 점이 많아 주주 여러분에게 만족을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지난 3월 28일 주주총회에서 정지택 두산중공업 부회장이 회사를 떠나며 남긴 말이다. 정 부회장은 엘리트 경제관료 출신으로 지난 2001년 당시 박용만 회장(현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의 제안으로 두산에 둥지를 틀었다.
두산 입사 후 ㈜두산 전략기획본부 사장, 두산테크팩BG 사장, 두산산업개발 사장, 두산건설 사장·부회장 등을 맡았다. 지난 2008년부터 두산중공업으로 옮겨 대표이사 부회장으로 해외영업을 총괄하며 원자력발전의 주기기(원자로·증기발생기·발전터빈 등)를 생산하는 두산중공업을 세계적인 회사로 키우는 데 기여했다.
정 부회장이 고문으로 물러나며 두산중공업은 이제 박지원 회장, 김명우 관리부문장(사장)과 최형희 재무관리부문장(부사장) 체제로 운영된다.
두산중공업은 지난해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탈원전 정책 추진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우여곡절 끝에 신고리 5·6호기 공사는 재개됐지만 추가 수주를 노리던 신한울 3·4호기 등 향후 국내 시장에서의 원자력발전 수주 모멘텀은 사실상 사라졌다. 이에 따라 두산중공업은 해외 원자력발전 시장에 주력하는 한편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 베트남 풍력발전 시장 진출…신재생·LNG발전 등 신사업 속도
지난 3월 박지원 회장은 문재인 대통령 경제사절단 자격으로 베트남을 방문해 의미 있는 성과를 냈다. 베트남전력공사(EVN)와 협약을 맺고 베트남 풍력발전 시장에 진출키로 한 것이다. 두산중공업이 해외 풍력발전 시장에 진출하는 것은 베트남이 처음이다.
박 회장은 "이번 성과는 두산중공업의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중요한 전기가 될 것"이라며 "두산중공업은 베트남에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베트남 산업에 기여하고 발전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해 왔는데, 풍력발전 분야에서도 긴밀히 협력하며 함께 성장해 나가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베트남 해상풍력 협약식 <사진=두산중공업> |
두산중공업은 현재 풍력발전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 사업, LNG발전, 가스터빈 등 신사업으로의 포트폴리오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지난해 말 정부가 발표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발 빠르게 사업계획에 반영해 변화에 적응하는 것은 물론 재도약의 기회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원전과 석탄은 단계적으로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확대하는 것이 핵심이다. 수급 안정과 경제성 위주로 준비됐던 기존의 전력수급기본계획과 달리 8차 계획에서는 환경성과 안전성이 대폭 강화됐다.
이 같은 시대적 변화와 함께 원자력과 석탄화력 등 전통 발전에 주력해 오던 두산중공업은 기대보다 우려의 목소리를 더 많이 들었다. 한때 매각설이 나오기도 했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탈원전 시대에는 해상풍력 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LNG 확대에 따른 가스터빈 수요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며 "환경성을 대폭 강화한 정책 덕분에 기존 석탄발전소에 대한 환경설비 공급도 크게 늘어난다. 즉 잃는 것보다 얻는 게 더 클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두산중공업의 사업 포트폴리오는 기존 화력이나 원자력발전에서 신재생에너지, 가스터빈, 발전서비스 사업으로 자연스럽게 무게중심이 이동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이번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을 통해 향후 5년간 약 7조4000억원의 추가 수주 잠재력을 갖출 것으로 보고 있다.
◆기존 사업에도 기회는 있다…해외 원전 수출, 동아시아 석탄화력시장 공략 강화
한편 두산중공업은 기존 주력사업이던 원자력발전, 석탄발전, 워터사업도 수주 전략을 더욱 정교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우선 원자력발전은 정부가 해외 원전 진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공언한 만큼 수출 분위기는 조성됐다.
제주 탐라 해상풍력단지 <사진=두산중공업> |
지난해 말 한국전력이 영국 무어사이드 원전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며 해외 원전 수출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 영국 외에도 사우디, 체코 신규 원전 수주를 위해 한국전력, 한국수력원자력과 함께 공동 대응하고 있다. 그 외에도 사우디 SMART(100MW x 2) 등 중소형 원전도 추진하고 있다. 미국 웨스팅하우스가 진행 중인 인도 원전 사업에는 두산중공업이 독자적으로 주기기 공급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향후 폭발적인 확대가 전망되는 원전해체 시장 진출을 위해 국책과제를 통해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한전KPS, 독일 짐펠캄프 등과 협력해 수주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석탄발전 사업은 기존 주력시장이던 동아시아에서 예년의 발주 규모가 유지되고 아프리카, 중남미 등의 지역에서도 연 1~2건의 발주가 전망되는 등 여전히 수주 잠재력이 있다. 특히 기존 신규 석탄발전소 주력시장이던 인도에서 환경설비 발주가 확대될 것으로 보여 추가 사업 진출도 가능할 전망이다.
tac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