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삼성전자 반도체에서 인정받던 젊은 직원이 얼마 전 돌연 회사를 그만뒀다. 이유를 물어보니 중국 국비 장학생에 뽑혀 베이징의 칭화대로 AI(인공지능) 박사과정을 공부하러 가게 됐다는 대답이다. 중국이 4차산업혁명 시대를 열 기술인재 육성에 올인하면서 국내외 인재들이 베이징과 상하이 선전 같은 대도시로 구름처럼 몰려들고 있다.
전통 제조시대 중국이 세계 자본의 우물이었다면 요즘 중국은 거대한 기술인재의 블랙홀로 모습을 바꿨다. 대학과 기업들은 파격적인 우대조건을 내걸고, 심지어 각급 정부는 영주권과 아파트까지 제공하며 국내외 첨단 기술인재를 불러모으느라 혈안이다.
전문가들은 AI 주도권을 누가 쥐느냐에 따라 향후 글로벌 패권국 지위까지 뒤바뀔 것이라고 말한다. 미국이 그랬던 것처럼 중국도 세계의 인재를 모아 ‘팍스시니카’ 시대를 열겠다는 야심을 노골화하고 있다. 테슬라 창업자 앨론 머스크는 “만일 3차 세계대전이 일어난다면 북한 핵 보다는 AI 경쟁에 의해 촉발될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AI가 모든 신기술 산업의 꽃이고, AI의 핵심은 빅데이터와 고도화된 알고리즘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 둘을 연결 처리하는 것은 다름 아닌 반도체 핵심 기술이다. 하지만 중국은 오랫동안 세계 반도체 무대에서 명함을 꺼내 들기 힘든 처지였다. 무엇보다 주요 반도체 기술 분야에서 미국에 까마득히 뒤처져 있었다.
이랬던 상황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육성에 힘입어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 세계 기술업계에는 현재 중국 반도체 기술 굴기가 커다란 이슈다. 중국은 올 하반기 드디어 낸드플래시 메모리 시험생산에 착수한다. 당장 PC와 스마트폰 데이터 저장용으로서의 반도체 자급률이 높아지게 됐다. 중국은 전체 반도체 자급률을 현재의 10%대에서 2025년까지 70%로 높일 계획이다.
중국의 일부 반도체기업은 내년부터 기술 난이도가 더 높은 D램 생산에도 뛰어들 것이라고 한다. 첨단기술 도약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는 중국의 반도체 산업 비상이 본격화하고 있는 것이다. 업계 주변에서는 내년이 중국 반도체 굴기의 원년이 될 것이라는 얘기도 들려온다.
중국은 한국과 미국 일본의 수중에 있던 반도체 패권을 넘겨받기 위한 장기 페이스에 점차 속도를 올리는 형국이다. 중국 반도체 굴기의 상징인 국유기업 칭화유니는 7일 반도체의 메카라고 할 수 있는 실리콘밸리에서 자체 개발한 메모리 반도체를 공개해 세계 업계의 시선을 끌었다.
과거 일본의 반도체 기술 도약에 위기감을 느낀 미국은 이를 ‘제2의 진주만 공습’이라고 규정하고 강력한 견제에 나섰다. 미국의 이런 압박이 일본경제의 '잃어버린 20년'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최근 미국이 일으킨 무역전쟁이 ‘중국제조 2025’ 기술 굴기를 견제하려는 포석이라는 관측에 설득력이 더해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중국의 ‘반도체 공습’을 맞아 미국보다 정작 더 다급하고 난처한 쪽은 우리나라다. 중국의 메모리 반도체 양산은 한국 경제를 좌우할 메가톤급 변수다. 반도체는 산업 특성상 삼성이나 SK 등 특정 기업만의 문제가 아니다. 필요하면 장·차관을 팀장으로 한 TF라도 꾸려 적시 대응에 나서야 한다. 4차산업혁명 시대 신기술 육성에 관한 한 중국은 이미 그렇게 하고 있다.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