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유정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 11일 올해 업무계획 ‘사람이 있는 문화 함께 행복한 문화국가’를 발표했다. 지난해 1535만명의 외래관광객을 유치, 방한외래 관광을 회복세로 판단한 문체부는 올해 목표를 역대 최고치인 1800만으로 잡았다.
지난 2008년 문체부는 689만명이던 외래관광객을 2020년까지 2000만명으로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10년이 지난 지금 1535만으로 당초 목표였던 2000만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약 3배의 성장을 이루기는 했다.
다만 올해 목표인 1800만명을 채우기는 역부족으로 보인다. 목표와 계획만 있을 뿐 중앙정부와 각 지자체의 협력은 물론 서울에 집중된 외래관광객을 지방으로 보낼 콘텐츠의 부족 등이 주된 이유다. 콘텐츠 부족에 관한 언급은 이번에만 이뤄진 것이 아니다. 매 회의와 계획 때 되풀이된 문제점이다.
특히 이번 정부는 지난 2017년 12월 각 조직간의 엇박자를 해결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한 계획을 수립, 발표하는 2018년 국가관광전략회의를 처음 열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뤄진 당시 회의는 그간 문체부와 한국관광공사가 협업으로 이끌어온 한국관광산업이 더 이상 한 부처의 일이 아니라는 인식을 갖게 된 첫 사례로 평가된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이낙연 국무총리(가운데)가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관광전략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18.07.11 leehs@newspim.com |
6개월마다 열기로 한 국가관광전략회의는 2018년 7월 다시금 열린 후 지금껏 소식이 없다. 매 회의 각각 다른 계획과 전략 수립으로 구체적 실행이 이뤄지지 않아 매 매번 비판을 받아왔다. 게다가 관광분야를 홀대한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되풀이되고 있다.
이번 업무계획 발표에서도 관광분야는 10개 계획 중에 9번을 차지했다. 문체부가 관광을 어느 위치로 생각하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관광은 어느 분야보다 잠재력이 있는 산업으로 손꼽힌다. 한국관광연구원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관광산업은 점점 규모가 커지는 황금시장이다. 2030년을 기준으로 18억명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는 관광시장은 세계 GDP와 고용의 10%를 차지하는 중요한 산업 중 하나다.
또한 문체부에 따르면 국민 여가 중 가장 선호도가 높은 관광은 고용창출 효과만 따져도 제조업의 두 배다. 이걸 정부가 저성장 시대를 돌파할 주요 성장 동력으로 파악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전 부처가 머리를 맞대고 중요성을 인식한 것이 2017년 12월이다. 일본이 2013년 총리 주재로 ‘관광입국 추진 각료회의’를 시작한 것과 비교하면 이미 5년이나 뒤진 것이다.
우리의 외래관광객 중 79.4%가 서울에 몰려있는 것은 차별화된 관광콘텐츠와 지역 관광 인프라가 그만큼 부족하단 이야기다. 수도권은 물론 부산, 제주 이외의 지역으로 파급이 제한된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일본은 부처별 정책을 하나로 통합해 지역 관광정비를 통한 질적 성장을 도모해 소도시 여행을 적극 홍보해왔다.
아울러 일본은 1970년대부터 관광편의시설과 광역교통패스 등 인프라 개발에 힘쓰며 관광입국추진계획을 단기·중장기로 나눠 추진해왔다. 비자 완화와 첨단 출입국 심사 제도 도입, 전문인력 양성, 사후 면세점 즉시 환급제도의 활성화 등 관광객의 피부에 와닿을 세심한 관광 정책을 펼쳐온 것이다. 2020년 도쿄올림픽을 계기로 4000만명의 외래관광객 유치를 노리는 일본의 계획이 허무맹랑하게 느껴지지 않는 이유는 중장기적이고 통합된 계획 덕분이다.
하지만 우리는 아직도 케이팝과 유커의 부활만을 기대하고 있다. 이번에 발표한 계획에서도 관광콘텐츠는 한류와 명품 축제 등 뭉뚱그려진 계획만 있을뿐 구체적 목표나 콘텐츠 개발은 찾아볼 수 없다. 새로운 여행 수요 창출을 위해서도 신규 사업을 나열했을 뿐, 중장기적인 계획에 대한 언급은 없다.
문체부는 지난 2017년 사드(THH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갈등으로 유커가 급감하면서 중동, 동남아시아 관광객을 유치하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문체부 실제 계획은 엇박자를 냈다.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티켓을 구매하는 중국인에게만 복수비자를 발급하겠다는 엉뚱한 방안을 내놨기 때문이다. 중동, 동남아시아의 지역의 비자 편의성을 계획에 없다고 발표, 지탄을 받았다.
한 여행업계 관계자는 "일단 문체부와 한국관광공사는 민간기업과 협업할 준비가 돼있지 않다. 민간기업이 관광객 유치를 위해 아무리 소통하려 애써도 문체부나 관광공사, 지역관광공사, 지자체 등 어디서도 관심이 없다. 민간업체와 소통하지 않고는 1800만명 유치는 무리"라고 지적했다.
이어 "관광진흥법을 개정하면서 여행업계 관계자와 소통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전하는 것, 신규사업을 개설하면서도 구체적 지원이나 홍보에 적극 나서지 않는다. 관광인으로서 다른 분야에 대한 지원을 보면 상대적 박탈감을 느낀다. 문체부와 관광공사 등이 구체적 계획과 중장기적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꾸준하게 상생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youz@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