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필리핀 본격 진출...중국·인도네시아 올해부터 성과
"외환·하나銀 화학적 결합, 디지털 공동목표와 소통으로 달성"
"중국투자 부실우려 거의 없어...되레 올해와 내년 가시적 성과 예상"
[서울=뉴스핌] 한기진 기자 = “왼쪽은 디지털, 오른쪽은 글로벌이다.”
KEB하나은행 2대 은행장에 취임한 지성규 행장은 본인의 경영철학을 이렇게 소개했다. 그는 1963년생으로 시중은행장 중 최연소다. 이에 제기된 세대교체 가능성에 대해선 “물리적인 나이보다는 마음이 젊어야 한다. 디지털지식으로 젊어지면 된다”고 답을 대신했다. 최근 우려되고 있고 중국민생은행 구조조정에 따른 손실 우려에 대해선 “중국 정부의 지원으로 손실 가능성이 낮다”고 답했다.
![]() |
21일 서울 을지로 KEB하나은행 신축 본점 1층 로비에서 진행된 KEB하나은행장 이취임식에서 지성규 신임 KEB하나은행장(사진 왼쪽)과 함영주 전임 KEB하나은행장(사진 오른쪽)이 은행 깃발을 함께 들고 흔들고 있다. [사진=하나은행] |
다음은 21일 서울 을지로 KEB하나은행 신축 본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가진 일문일답.
- 본인의 경영철학은.
▲ 왼쪽은 디지털금융, 오른쪽은 글로벌진출이 경영철학이다. 상업은행에서 디지털 정보회사로 완벽하게 탈바꿈하고, 글로벌시장에서 블루오션을 찾아야 한다. 이 같은 혁신을 하다 보면 조직의 안정이 필요한데, 소통과 배려를 통해 안정화를 꾀하겠다.
- 시중은행장 가운데 가장 젊다. 은행 내부에서 세대교체 가능성도 나오는데.
▲ 50대 초반으로 중국 길림은행서 근무할 떄 39세의 현지 은행장을 모신 경험이 있다. 육체적 나이보다는 정신적으로 젊은 생각과 유연할 생각을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세대교체는 연령 교체가 아닌 새로운 생각을 갖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디지털 지식을 갖춰야 한다.
- 디지털 정보회사로 전환한다고 했는데, 정확한 의미는 무엇인가.
▲ 전통적인 은행업에 디지털을 가미하자는 게 아니다. 손님 입장에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완전한 정보회사로 전환하는 것이다. 4월에 대만에서 글로벌 로열티 네트워크라는 지급결제수단을 출시한다. 전 세계 지급결제 수단을 ICT(정보통신기술)기반을 통해 하나로 만든 것이다. 이제는 오프라인 점포를 열지 않고도 은행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글로벌 ICT기업과 협업으로 새로운 비즈니스를 하겠다.
- 올해는 경기둔화 등으로 리스크관리 대응이 중요해졌는데.
▲ 신용(위험)비용은 경기변동 사이클에 따라 나타나는데, 그동안 은행의 호황은 기업의 부도위험이 줄어든 덕분이다. 그러나 올 하반기부터 내년 말까지 신용비용이 상승할 것으로 본다. 주로 자영업자나 소호에서 나타날 것으로 보고 현장 중심의 위험관리를 시작했다. 다행히 하나은행은 소호대출에 대한 채권보존이 경쟁사 대비 잘 돼 있다.
- 외환은행과 하나은행의 완전한 화학적 결합의 책임이 있는데.
▲ 많은 시간과 인내가 필요하다. 한국은 PMI(인수후통합작업)가 서구 기업과 조금 다르다. 정서적으로 대등한 통합을 이뤄야 완벽한 PMI가 이뤄지는데 형식적인 PMI는 거의 완성됐다. 정서적인 PMI가 나의 미션이다. 두 가지 관점에서 해결하겠다. 우선 두 은행 직원들이 공동의 목표를 갖도록 하겠다. 디지털과 글로벌의 혁신을 통한 한가지 목표를 향해 나가면서 정서적 통합을 이루겠다. 두번째로 조직의 안정성은 소통과 배려로 달성하겠다.
- 중국민생투자 구조조정으로 현지 부실 우려가 제기됐는데.
▲ 중국 정부의 주도로 중국수출입은행과 중국건설은행이 중국민생투자의 유동성을 지원하고 있어 부실 가능성이 거의 없다. 오히려 중국에서 가시적인 성과가 올해와 내년 나올 예정이다. 얼마전 중국에서 길림시의 가장 큰 프로젝트를 따내 예금 2500억원, 대출 2500억원에 딜(deal) 수익 60억원짜리 계약을 따냈다. 새로운 시작을 신남방에서 하는 게 목표다.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 인도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겠다.
hkj7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