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계층일수록 상대적 비만도와 영양섭취 부족 비중 높은 ‘날씬한 부자, 뚱뚱한 빈곤층’
[수원=뉴스핌] 순정우 기자 = 경기도민의 3.9%는 경제사정상 먹거리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취약계층일 수록 먹거리 상황은 좋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2일 경기연구원은 '경기도 먹거리 전략 추진방향과 과제' 보고서를 통해 먹거리 현황을 진단하고,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 체계 구축 방안을 제안했다.
경기도청.[사진=뉴스핌DB] |
질병관리본부의 2016년 지역사회건강조사에 따르면, 경기도민 3.9%는 먹거리의 양 부족에 따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경제사정상 자주 먹을 것 부족 0.6%, 경제사정상 가끔 먹을 것 부족 3.3%). 연령별로는 65세 이상 9.8%, 소득별로는 월평균 소득 100만원 미만 21.9%, 100만원대 5.9%가 먹거리의 절대적인 양 부족 문제에 직면해 있다.
취약계층일 수록 상대적 비만도와 영양섭취 부족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월평균 소득 300만원대 미만은 300만원대 이상에 비해 비만율이 높아 ‘날씬한 부자와 뚱뚱한 빈곤층’ 문제에 노출돼 있다.
경기도는 “도민 누구나 우수한 먹거리를 보장 받는 새로운 경기”를 비전으로 경기도 먹거리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이를 위한 4대 목표로 △취약계층 먹거리 부족 비율 41.3%에서 27.5%로 감축 △공공분야 지역농산물 공급 4000억원에서 1조원으로 확대 △아침결식률 39.2%에서 33.7%로 감축 △31개 시·군별 먹거리위원회 구성을 설정했다.
연구를 수행한 이수행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경기도민 누구에게나 안전하고 건강한 먹거리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공공급식 시스템 중심의 지역 내 먹거리 순환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지속가능한 먹거리 보장 시스템 구축을 위해 일정 규모 이상의 공공급식 중심의 시행을 강조했다.
학교급식, 복지시설 등 공공기관 중심의 공공급식 시스템 구축 이후, 사업이 안정화 되면 점진적으로 자부담 급식시설이 있는 공공기관, 관내 기업 및 병원 등으로 확대하자는 것이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경기도는 도 차원의 먹거리통합지원센터를 조직·운영하고, 시·군은 독립적이고 차별화된 먹거리전략을 수립·운영하거나 경기도와 연계해 추진할 것을 덧붙였다.
jungwo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