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고기 소고기 축사 아닌 도시 공장에서...
연구 활발 생산단가 해결 상품화 기대감 후끈
외국 기업 하나 둘 육류 소비대국 중국 진출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줄기세포로 만들어지는 세포 배양육이 육류 소비 대국인 중국에서 육고기 대체 미래 식량으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아프리카 돼지 열병(ASF)에 따른 수급 난과 가격 파동 때문에 최근들어 세포 배양육에 대한 관심이 한층 고조되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생산단가 만 낮출 수 있으면 언제 든지 상품화 판매가 가능하다고 밝히고 있다.
세포 배양육은 소나 돼지, 닭 등 가축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지난 11월 중국의 배양 실험 성공을 전후로 세계에서 이미 30개 회사가 연구를 진행중이며 의미 있는 성과도 속속 나오고 있다. 미국은 세포 배양 새우를 2년내에 생산할 예정인 등 상품화 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3일 신징바오(新京報)를 비롯한 중국 매체들은 난징(南京)농업대의 세포 배양육 실험 성공으로 인조육의 하나인 세포 배양육이 주목 받고 있다며 앞으로 세포 배양육이 1000억 위안(수십조원)을 넘는 인조육 시장의 주역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신징바오는 업내 인사들을 인용해 생산비를 킬로그램 당 10달러까지 낮출수 있으면 바로 판매 유통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중국 세포배양육 시장의 가능성을 내다보고 일부 외국 관련 기업들은 일찌감치 육류 소비 대국 중국 시장에 발을 들여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에서는 지난 11월 18일 난징 농업대학(식품과학대학원)이 돼지 근육으로 줄기세포 배양육을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밝힌 바 있다. 5그램의 배양육을 만드는데 20일 걸렸다고 당시 이 대학은 설명했다.
이에앞서 홍콩 회사 어벤트미트는 3주간의 배양을 통해 50그램의 조기 뱃살 세포 배양육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이 회사측은 난징대학이 나중에 발표한 기술도 유사한 배양육 기술이라고 밝혔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아프리카 돼지 열병으로 홍역을 앓고 있는 중국에서 최근 세포 배양육이 미래 육류 먹거리로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 난징 농업대 관계자가 세포 배양육 성공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바이두] . 2019.12.03 chk@newspim.com |
세계 최초의 세포 배양육은 2013년 네덜란드(마크 포스트 교수)에서 탄생했으며 현재는 미국과 중국 싱가포르 일본 등지에서 상업화를 전제로 한 관련 연구가 소고기와 돼지고기 해산물을 위주로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중국 식품업계 관계자는 현재 세계에서 약 30개기업이 세포 배양육을 연구개발 중이며 특히 미국의 경우 2년내 세포 배양 새우를 시장에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해산물 세포 배양육이 먼저 상품화되는 것은 소고기와 돼지고기 등의 육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식품 허가가 수월하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영국 바크레이은행에 따르면 10년안에 세포 배양육을 포함한 인조육이 세계 전체 육류 시장의 10%를 점유하고, 시장 규모로는 1400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추산이다.
다만 식물성 인조육과 달리 세포 배양육은 영양액과 단백질 등의 원재료로 인해 발생하는 높은 생산 단가가 상품화의 최대 난제로 여겨진다. 개발 업체들은 배양육의 생산비를 킬로그램당 10달러 까지 낮출 수 있으면 바로 시장 출시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세포 배양육의 앞날에 대해 전문가들은 소 한마리를 출하하기 까지 비육하는데 드는 시간은 3년 정도인데 비해 세포 배양육은 일정 정도 상품화하기까지 소요되는 배양 시간이 3주 밖에 안된다며 높은 생산비와 함께 기술적 문제만 극복되면 충분히 시장성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중국인들의 중요한 먹거리인 돼지가 아프리카 돼지 열병으로 1억 마리 가까이 폐사하고, 가격 파동과 함께 돼지고기 수급 불안이 가중되면서 인조육의 한 분야인 세포 배양육에 대한 관심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
외국 자본들도 향후 전망을 밝게 보고 중국 세포 배양육 시장 진출에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미 관련 분야 4개 회사가 중국 식물성 식품산업 연맹에 가입, 시장 진출을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략 10년 뒤에는 본격적인 상품화와 함께 인조육 시장에서 세포 배양육의 파이가 크게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