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세계경제가 침몰하고 인간 삶이 통제되는 대혼돈이 계속되고 있다. 사실 바이러스 외에도 인류를 위협하는 악재는 많다. 지구온난화가 계속될 경우 지구는 뜨거워져 육지가 바다에 잠기거나 사막화돼 생물체가 살 수 없는 공간이 될 것이다. 순식간에 광범위한 지역을 초토화하는 태풍과 지진의 위력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기상이변과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이들 현상이 초래할 재앙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해야 한다. 이에 재앙의 실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대처방안은 무엇인지 알아본다.
모든 생물은 환경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이들은 상호 작용을 통해 하나의 계(系, system)를 이루고 있다. 인간을 포함한 생물적 요소와 무생물적 요소 등 다양한 구성요소는 작용과 반작용과 같은 상호작용을 통해 하나의 조절계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를 생태계라 한다. 인간 또한 이 커다란 생태계 속에서 다른 생물들과 상호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고 있다.
인간은 과거 문명의 발달이 미미했던 시기 생태계 환경에 절대적으로 순응하며 살아왔다. 그러나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인간은 환경을 자신의 의지와 능력에 따라 개발할 수 있는 자원으로 인식하게 됐다. 그 결과 빠른 속도로 산업화를 이룩했지만 한편으로는 이 과정에서 초래된 과학기술의 발전과 인구의 급증, 도시화 현상이 지구환경을 크게 오염시키고 있다. 아울러 생태계 조절기능을 손상시키고 결국 다양한 생물의 종을 이 지구상에서 사라지도록 하고 있다.
도도새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생물의 진화 과정에서 어떤 종이 자손을 남기지 못하고 멸망해 버리는 현상을 멸종이라고 한다. 지구는 이미 수차례 대량 멸종을 겪었다. 지구에 존재한 생명체 90% 이상이 멸종했다. 공룡이 지구상에서 자취를 감추게 된 것은 그 대표적인 사례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는 인간에 의해 이뤄진 현상은 아니며 지구 자체의 운동과 관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인간에 의해 최초로 멸종된 동물은 도도새다. 무인도였던 인도양의 모리셔스 섬에 살던 도도새는 포식자가 없어 날 필요가 없었다. 그래서 날개가 퇴화했고 체중이 25㎏이나 나갔다. 포르투갈 사람들은 이 무위도식하는 새를 보고 어리석다고 불렀다. 이후 어리석다는 포르투갈어 '도도(dodo)'가 그대로 새의 이름이 됐다. 날지 못하는 도도새는 모리셔스 섬에 정착하기 시작한 인간의 먹잇감이 돼 1681년을 끝으로 지구에서 사라졌다.
두 번째로 멸종한 동물은 파란 영양이다. 마치 신화에 나오는 영물처럼 털가죽이 파란색이라서 사냥꾼들의 표적이 됐다. 아프리카에 식민지를 세운 유럽인들이 파란 모피를 얻기 위해서 무차별 포획했다.
동식물 멸종의 위기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인도의 벵골 호랑이는 절반 정도로 개체수가 줄었으며, 중국의 대표 동물 판다는 겨우 수백 마리만이 남아 있는 실정이다. 해양생물에게 매우 중요한 생명부양 능력을 제공하는 갯벌도 시시각각 파괴되고 있다. 맹그로브 습지 파괴의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습지대가 경작지로 바뀌면서 발생하는 엄청난 생물 다양성의 상실, 바다와 대양에 사는 해양식물의 무절제한 포획, 열대와 아열대 바다의 산호초 파괴로 물고기와 갑각류들이 떼죽음을 당하는 현상을 우리는 목격하고 있다.
세계자연보존연맹의 보고에 따르면 현재 지구상 2만5000여 종의 식물과 1000여 종의 동물이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그리고 지금과 같은 추세로 생물종이 사라진다면 20년 후에는 100만여 종에 달하는 생물이 사라지게 된다. 원래 생명체들은 탄생과 멸종이 주기적으로 반복되기는 하지만, 인류가 지구상에 출현한 이후 멸종의 속도가 이전에 비해 1000~1만배는 빨라진 것이 문제다. 지금도 지구에서는 20분마다 하나의 생물종이 사라지고 있으며 그 속도 역시 빨라지는 실정이다.
그렇다면 이처럼 생태계의 변화와 멸종현상을 초래한 원인은 무엇일까?
우선,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가 지구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다른 개체들의 서식지를 빼앗는 과정에서 생태계 변화와 멸종이 이뤄졌다. 인구가 증가하자 먹고 살기 위해 인간들은 산과 들을 깎아 집을 짓고 강과 호수를 메워 땅을 만들었다. 숲은 목재가 되기 위해 잘려나갔고, 초원은 농지로 바뀌었다. 숲과 초원과 강이 사라지자 그 곳에서 살던 식물과 동물들도 사라졌고, 생태계는 파괴됐다.
또한 환경오염 현상이 생물의 다양성을 해치거나 생태계를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각종 인공 화학물질이 다량으로 생산돼 살포되면서 위험 물질이 동식물에 잔류되거나 축적되면서 종이 멸종하기도 하며, 먹이사슬을 통해 다른 종에 오염 물질이 축적되기도 한다. 이는 결국 인류에게 커다란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
끝으로 지구온난화와 기상이변 현상이 생태계의 변화와 생물의 멸종을 가속화하고 있다. 온난화로 지구 전역이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특히 양극지역과 고산대의 생태계는 더욱 몸살을 앓고 있다. 북극곰의 생존이 위협받고, 로키산맥의 정상부에 서식하는 제왕나비와 새앙토끼의 분포지역이 축소되고 개체수도 감소했다.
날이 갈수록 열대림의 서식지는 저위도 지역으로 점차 넓어지는 반면, 한대림의 서식지는 줄어들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특히 한랭한 북극권과 고산지대에 격리돼 분포하는 극지 고산식물은 생리적으로 고온과 건조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동시에 남쪽과 산 아래쪽에서 밀려드는 온대성 식물과의 경쟁에 밀려 도태될 수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온난화로 봄꽃의 개화 시기도 점점 빨라지고 있다. 봄꽃의 개화 시기는 벌, 나비 같은 곤충의 생태와 나무의 번식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꽃은 빨리 피었지만 나비나 벌 같은 곤충들이 겨울잠에서 아직 깨어나지 않아 꽃의 개화 시기와 곤충의 활동 시기가 맞지 않게 돼 식물이 번식할 수 없게 된다. 또 곤충은 먹을 것이 없어 그 수가 점점 줄어든다.
이런 연유로 지구상에서 꿀벌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 2006년 이후 북미대륙과 유럽·호주 등에서 꿀벌이 4마리 중 1마리 꼴로 종적을 감추고 있다고 한다. 그 결과 양봉농가도 점차 쇠락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인간이 재배하는 1500종의 작물 중 30%는 꿀벌이나 곤충의 가루받이가 필요하며, 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100대 농작물만 보면 70%가 꿀벌에 수정을 의존한다는 학설이 있다. 그래서 꿀벌이 사라지면 농산물의 양과 종류가 그만큼 줄고 인류는 당장 식량부족 상태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일찍이 아인슈타인도 "만약 벌들이 지구상에서 사라진다면 인류는 4년 이상 버티지 못한다"고 말한 바 있다.
이와 같이 자연환경은 인간의 지나친 탐욕과 무분별한 경제활동으로 망가질 대로 망가지고 있다. 이는 현재도 진행 중이다. 그런데 한 종의 멸종은 이와 연관된 생태계의 생존 고리를 완전히 붕괴시킬 수도 있다. 인간은 생태계의 일원이며 생존 고리들이 복잡하게 연결된 생태계 네트워크 안에서 살아가는 존재다. 따라서 생태계의 파괴는 인간이 섭취할 식량자원의 파괴이며, 나아가 인간자신을 위시한 생물종 전체의 멸종을 앞당기는 자기파멸 행위다.
자연은 살아 있는 유기체이며, 인간은 그 일부로서 자연과 매우 밀접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 만약 현재와 같은 속도로 무분별한 개발이 계속된다면 머지않아 지구상에는 자연뿐만 아니라 인간도 사라지게 될 것이다.
이철환 mofelee@hanmail.net
▶이철환은 재정경제부 국고국장과 금융정보분석원(FIU) 원장,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장 등을 지냈다. 단국대학교 경제학과 겸임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암호화폐의 경제학', '인공지능과 미래경제', '을의 눈물' 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