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건설사 사장, 대거 임기 만료 앞둬
실적부진 책임과 분위기 쇄신 등 이유로 변화 바람일듯
[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코로나19 여파로 국내외 업황 부진에 빠진 대형 건설사가 올해 대대적인 최고경영자(CEO) 교체에 나설지 주목된다.
임기 만료를 앞둔 CEO가 많은 데다 실적 회복에 분위기 쇄신이라는 명분까지 더해져 예년보다 물갈이 폭이 클 것으로 보인다. 부진한 실적을 만회해야 한다는 점에서 외부 인사보다는 건설 전문성을 갖춘 인물이 새로운 수장에 오를 공산이 크다.
◆ 10대 건설사 중 5곳, 사장 임기만료 앞둬
1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10대 건설사 중 올해 임기가 끝나는 CEO는 4명이다. 내년 6월 임기가 끝나는 김형 대우건설 사장을 포함하면 대형사 중 절반의 CEO가 연말 교체 후보다.
(좌측부터) 이영호 삼성물산 사장, 박동욱 현대건설 사장, 김형 대우건설 사장, 한성희 포스코건설 사장, 권순호 HDC현대산업개발 사장[사진=각사] |
삼성물산 이영호 사장은 2021년 3월로, 3년 임기가 끝난다. 내년 3월은 주주총회에서 사장 선임을 확정하는 것으로 사실상 연말 인사에 교체 또는 연임이 결정된다.
이 사장의 임기 첫해인 2018년 영업이익은 1조1000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 이듬해에는 8600억원대로 줄었고, 올해는 9100억원대가 예상된다.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이렇다 할 성과는 없었지만 코로나 환경에서 대형 건설사 중 가장 무난한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수주잔액은 임기 동안 줄었다. 사장에 오를 당시 삼성물산의 국내외 수주잔액은 29조9844억원이었으나 지난 2분기 기준 27조 429억원으로 감소했다. 최근 2년 반 만에 회사 '곳간'이 10% 정도 줄어든 셈이다.
현대건설 박동욱 사장도 재신임을 얻을지 주목된다. 박 사장의 '아킬레스건'은 실적 부진이다. 수주 잔액은 임기 초기(40조961억원과)와 비슷한 41조4975억원을 유지했다. 하지만 발주처 문제로 사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는 곳이 많고 수익성 개선을 이뤄내지 못했다.
이렇다 보니 연결기준으로 유일한 건설사 영업이익 '1조원 클럽'이던 현대건설이 올해는 연간 영업이익 7000억원 달성도 위태로운 상태다. 연결기준 영업이익의 절반 정도를 현대엔지니어링이 차지한다는 점에서 실적 개선이 시급하다.
박 사장은 현대자동차 전무를 거쳐 2011년 계열사인 현대건설 재경본부장(전무)으로 옮겼다. 이후 부사장을 거쳐 사장에 올랐다. 차기 사장으로는 윤영준 주택사업본부장(부사장)과 김인수 GBC개발사업단장(부사장)이 유력하게 꼽힌다. 특히 윤 부사장은 현대건설에서 32년 근무한 건설 베테랑으로 조직 장악력과 현대차그룹과의 끈끈한 소통이 장점으로 부각된다.
HDC현대산업개발을 이끄는 권순호 사장은 임기 만료가 내년 3월이다. 현대산업개발은 아시아나항공 '노딜' 이후 내부적으로도 혼란스러운 상황이다. 분위기 쇄신과 함께 실적 회복이란 숙제도 안고 있다. 작년 영업이익 5515억원을 기록했으나 올해 4700억원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매출액도 4조2000억원에서 3조77800억원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권 사장은 1989년 현대산업개발 공채로 입사했다. 2014년 상무보에 올랐고 그해 연말 아이서비스로 옮겼다. 20117년 현대산업개발에 복귀했다. 이후 건설사업본부장(전무)을 거쳐 2018년 사장에 올랐다. 후임으로는 각자대표이사를 맡은 정경구 CFO·경영기획본부장(전무)이 전면에 배치될 가능성이 있다. 정 본부장은 신한금융투자에서 2000년 HDC자산운용으로 옮겼고 2008년부터 현대산업개발에서 일했다. 재정·경리담당, 경영기획담당 임원을 거쳐 2017년 HDC자산운용 대표를 역임했다. 박희윤 개발사업본부장(전무), 이형기 아시아나항공 미래혁신준비 단장(전무) 등도 후보군이다.
김형 대우건설 사장은 내년 6월 임기가 끝난다. 대우건설 또한 숙제가 많다.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이 매각을 추진했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애초 내년 중 재매각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으나 기업 실적과 현재 주가를 고려할 때 쉽지 않다. 산업은행이 2010년 대우건설을 인수할 때 주당 1만5000원대에 사들였다. 현재 주가는 2900원대다.
연간 1만가구 넘는 아파트 분양으로 최근 실적 반등을 소폭 이뤄냈으나 악재도 상당하다. 대우건설은 작년 대형 건설사 중 건설폐기물법을 가장 많이 위반한 회사로 꼽혔다. 지난 7일에는 김형 사장은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 부분에 대해 지적을 당했다. 매년 비슷한 지적을 당했지만 고쳐지지 않았다. 올해 서울 서초구 반포동 반포주공3주구 수주를 위해 전사적으로 영업을 했지만 실패했다. 맞대결을 펼친 삼성물산을 맞아 선전했다는 평가를 받는 데 만족해야 했다. 최근엔 이라크 신항만 건설 현장에 파견된 자사 책임자가 숨진 채 발견돼 홍역을 앓고 있다. 자살인지 타살인지를 놓고 현지에서 조사 중이다.
김형 사장 후임에는 김창환 신사업본부장(전무), 임판섭 미래전략본부장(전무) 등이 거론된다. 물론 산업은행이 최대주주인 만큼 사장추천위원회를 거쳐 사장을 선임한다. 박창민 전 사장과 김형 사장처럼 외부 인사가 영입될 가능성도 있다.
포스코건설 한성희 사장의 임기는 내년 3월이다. 올해 1월 그룹 차원에서 계열사 3곳의 사장을 바꾸는 과정에서 사장에 올랐다. 평가 기간이 1년에 불과해 교체보다는 연임에 무게가 실린다.
◆ 실적부진 책임과 분위기 쇄신 필요성
올해 연말에는 평년보다 대형 건설사의 사장 교체가 대폭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우선 실적 부진에 책임이 있다. 코로나19 여파로 정상적인 기업 경영이 힘들었지만 수장으로써 수주가 줄고 영업이익이 감소하는 책임에서 자유롭기 어렵다.
분위기 쇄신 효과도 있다. 대형 건설사의 최대 주주는 대부분 그룹사다. 오너 입장에서 침체된 분위기를 전환하기 위해서 사장 교체 카드를 꺼내들 공산이 큰 것이다.
게다가 삼성전자를 비롯해 대기업들이 일명 '60세룰(60세 이상 CEO 퇴진)'를 적용하고 있다. 사장단 구성이 젊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연말 임기가 끝나는 대형 건설사 사장들은 60세 전후다. 김형 대우건설 사장이 1956년생으로 가장 나이가 많고 나머지 사장들은 1959~1963년생 사이다.
대형 건설사 한 임원은 "상위 건설사들은 주택경기 호황에 국내 주택사업 실적은 좋았지만 대체로 해외 사업에서 고전했다"며 "코로나19 환경을 고려해도 실적 악화의 책임과 분위기 쇄신, 전문성 강화 등을 이유로 연말 사장 교체가 적지 않게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leed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