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금일 중국증시 포인트(1.22)] 3만P 안착 도전 항셍지수, 희토류 광풍 신고가 랠리

기사입력 : 2021년01월22일 13:00

최종수정 : 2021년01월22일 13:00

[편집자] 이 기사는 1월 22일 오전 10시43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5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무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딩동' 22일 중국증시에서 눈여겨볼 만한 '필독 뉴스'가 도착했습니다. 중국 주요 증권∙경제전문 매체들은 △3만선 돌파 앞둔 홍콩증시, 2021년 인기 홍콩주는? △희토류 광풍 속 테마주 신고가 랠리 등의 소식에 주목했는데요. 어떤 내용인지 살펴볼까요. 

한편, 이날 중국 A주 3대 지수는 소폭 하락 출발했습니다. 상하이와 선전, 창업판 지수의 개장가는 전일 마감가 대비 각각 0.13%, 0.08%, 0.05% 하락했고 업종별로는 희토류 영구자석, 코로나 검사 관련 업종이 상승 출발했습니다. 

"3만선 돌파 앞둔 홍콩증시, 2021년 인기 홍콩주는?"

최근 홍콩증시를 향한 투자열기가 뜨거운 가운데, 22일 홍콩증시를 대표하는 지수인 홍콩항셍지수(HIS)가 30000포인트를 안착할 수 있을 지 주목됩니다.

21일 상승 출발한 홍콩항셍지수는 오후장 들어 낙폭을 키우며 29927.76으로 장을 마감했는데요. 하지만, 장중 한때 30130.85포인트까지 치솟으며 2019년 5월 이후 처음으로 30000포인트를 돌파하는 기록을 세웠습니다.

홍콩증시 주가가 이처럼 치솟는 데에는 최근 중국 본토에서 홍콩증시로 대거 유입되고 있는 '차이나머니'의 파워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되는데요.

중금공사(中金公司∙CICC)에 따르면 중국 본토에서 유입된 자금은 주로 텐센트홀딩스(騰訊控股 00700.HK), 차이나모바일(中國移動 00941.HK), 중국해양석유(中國海洋石油 00883HK), SMIC(中芯國際 00981.HK), 메이투안(美團 03690.HK), 샤오미(小米 01810.HK) 등의 우량주를 집중 매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홍콩 신화사 = 뉴스핌 특약]

이처럼 홍콩증시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중국 증권시보(證券時報)가 금융 정보 제공업체 윈드(Wind)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올해 들어 최고가를 경신하거나 높은 주가 상승폭을 기록하고 있는 홍콩주식 리스트를 공개해 주목됩니다.

올해 들어 1월 20일까지 48개의 홍콩주가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고, 그 중 31개 종목(첨부 표 참조)은 강구퉁(港股通, 상하이∙선전거래소를 통한 홍콩 주식 거래) 대표 종목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1개 종목 중 클라우드 기반 상거래 및 마케팅 솔루션 제공업체인 미맹그룹(微盟集團∙Weimob 02013.HK)은 올해 들어 20일까지 84%의 주가 상승폭을 기록해, 가장 높은 누적 주가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발전소 운영 및 전력 생산업체인 용원전력(龍源電力 00916.HK)이 63.96%, 바이오제품 연구개발업체 Akeso(康方生物∙아케소바이오팜 09926.HK)이 45.26%의 누적 주가 상승폭을 기록해 그 뒤를 이었습니다.

같은 기간 메이투안과 텐센트홀딩스 등 홍콩증시 대표 우량주의 누적 주가 상승폭은 각각 26.27%와 20.48%로, 새해 들어서도 여전히 중국 본토 투자자들로부터 높은 인기를 구가 중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문가들은 홍콩증시로 남하자금이 지속 유입되는 것과 관련해 △주요국 증시에 비해 홍콩주의 밸류에이션(실적대비 주가수준)이 저평가 돼 있는 만큼, 투자매력이 높다는 점 △홍콩증시에는 A주에는 없는 투자가치 높은 희소성 종목(텐센트홀딩스와 샤오미 등 과학기술주와 유망 제약주)이 다수 포진돼 있다는 점 △A주와 홍콩증시에 동시 상장돼 있는 종목 중 홍콩주의 밸류에이션이 A주에 비해 확연히 저평가되고 있는 종목, 즉 투자가성비가 높은 종목의 투자매력이 커지고 있다는 점 등의 세 가지 배경을 제시했습니다.

"희토류 광풍 속 테마주 신고가 랠리"

금주 중국본토 증시와 홍콩증시에서 '희토류 테마주의 광풍'이 불고 있는데요. 21일 중국증시에서도 이 같은 열기가 지속될 지 주목됩니다.

21일 중국 A주 시장에서 희토류 제련 대표기업 북방희토(北方稀土 600111.SH)를 비롯해 희토류 산화물 생산업체 오광희토류(五礦稀土 000831.SZ), 희토류 제련∙가공업체 성화자원(盛和資源 600392.SS), 비철금속 채굴 및 가공업체 광성비철금속(廣晟有色 600259.SH), 또 다른 비철금속 채굴 및 가공업체 하문텅스텐(廈門鎢業600549.SH) 등 20개에 가까운 희토류 테마주가 일일 주가 상한선을 넘어서는 강세장을 연출했습니다.

같은 날 홍콩증시에서도 희토류 테마주가 강세를 띄었는데요. 대표적으로 희토류 및 내화성 제품 제조업체 중국희토(中國稀土 00769.HK)는 전거래일 대비 68%나 폭등하는 이례적인 기록을 달성했습니다.

이는 희토류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가격이 상승한 데 따른 것인데요. 희토류는 반도체·전자제품·군사장비 등에 활용되는 원자재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양이 많지 않은 희소 금속입니다. 특히, 최근 반도체와 스마트폰, 하이브리드 자동차 분야의 제품 수요가 확대되면서 희토류 수요도 확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사진 신화사 = 뉴스핌 특약] 희토류를 포함하고 있는 광물.

중국 현지매체 신화재경(新華財經)에 따르면 21일 '중국 희토 종합가격지수'는 1418.87포인트까지 치솟았습니다.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 희토자성소재가격지수가 1364.75포인트로 전거래일 대비 1.15% 상승한 반면, 희토수소저장소재가격지수는 936.25포인트로 전거래일 대비 0.15% 하락했습니다. 아울러 산화홀뮴 평균가는 1Kg당 576위안으로 전거래일 대비 1.62%, 산화디스프로슘 평균가는 1Kg당 1909.33위안으로 전거래일 대비 2.51% 올랐습니다.

2021년 들어 희토류 제품 가격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중국 국제원자재 시장 조사업체 생의사(生意社)에 따르면 2021년 둘째주(1월11일~1월15일) 8대 희토류 제품 가격이 일제히 상승했고, 가격이 하락한 제품은 한 종목도 없었습니다.

바이촨컨설팅(百川資訊)의 두솨이빙(杜帥兵) 희토류 분야 애널리스트는 "희토류 가격이 상승하는 것은 수요가 대폭 증가한 데 따른 것"이라면서 "현재 공급대비 수요부족분이 비교적 큰 상태로 특히, 중희토(Heavy Rare Earth) 제품 가격의 상승세가 올해 2분기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국신증권(國信證券)의 류멍롼(劉孟巒) 애널리스트는 "2016년 국가차원의 희토류 비축 확대, 2017년 희토류 산업 위법행위단속 등 13차5개년계획(2016~2020) 기간 동안 중국 당국이 희토류 공급제한 정책을 펼치면서, 2020년 들어 수요 확대와 맞물리며 희토류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자동차 판매 확대, 풍력발전 설비 증가, 신형 에어컨 에너지 소비효율기준 시행 등으로 전기차 모터, 풍력발전 등에 활용되는 '희토류 영구자석'의 주요 소재인 네오디뮴∙철∙붕소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사진
신네르, 생애 첫 윔블던 단식 우승 [서울=뉴스핌] 박상욱 기자 = 세계 1위 얀니크 신네르(이탈리아)가 생애 첫 윔블던 남자 단식 정상에 올랐다. 신네르는 13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올잉글랜드클럽 센터코트에서 열린 2025 윔블던 테니스 대회 남자 단식 결승에서 카를로스 알카라스(스페인·2위)를 3시간 4분 만에 3-1(4-6 6-4 6-4 6-4)로 꺾었다. 올해 1월 호주오픈에 이은 시즌 두 번째 메이저 타이틀을 품에 안고 상금은 300만 파운드(약 55억8000만원)를 거머쥐었다. 이탈리아 선수가 윔블던 단식 정상을 밟은 것은 남녀를 통틀어 이번이 처음이다. 2021년 남자 단식 마테오 베레티니, 2024년 여자 단식 자스민 파올리니가 결승에 진출했지만 모두 준우승에 그쳤다. [런던 로이터 =뉴스핌] 박상욱 기자 = 신네르가 13일(현지시간) 열린 윔블던 남자 단식 결승에서 알카라스를 꺾고 우승한 뒤 기뻐하고 있다. 2025.7.13 psoq1337@newspim.com 이번 결승은 지난 프랑스오픈 결승에 이은 두 선수의 메이저 결승 리턴 매치. 당시 신네르는 알카라스에게 2-3(6-4 7-6<7-4> 4-6 6-7<3-7> 6-7<2-10>)으로 패해 우승을 놓쳤다. 당시 트리플 매치 포인트를 날린 신네르는 경기 후 '삶에서 가장 고통스러운 경기'라며 절치부심했고 한 달 만에 완벽하게 되갚았다. 신네르는 알카라스에게 당하던 5연패 사슬을 끊었다. 둘의 상대 전적은 여전히 알카라스가 8승 5패로 앞선다. 신네르는 이날 알카라스 특유의 드롭샷과 로브, 변칙 플레이에 흔들리지 않았다. 특히 3세트 게임스코어 4-4에서 브레이크에 성공하며 분위기를 완전히 가져왔다. 4세트에서도 다시 한 번 브레이크로 균형을 깼다. 게임스코어 5-4, 자신의 마지막 서브 게임에서 신네르는 평균 200km/h에 가까운 강서브로 트리플 챔피언십 포인트를 만들었고 두 번째 기회를 놓치지 않으며 우승을 확정 지었다. [런던 로이터 =뉴스핌] 박상욱 기자 = 신네르가 13일(현지시간) 열린 윔블던 남자 단식 결승에서 알카라스를 꺾고 우승한 뒤 케이트 미들턴 영국 왕세자빈의 축하를 받고 있다. 2025.7.13 psoq1337@newspim.com 경기 후 신네르는 "파리에서 정말 힘든 패배를 겪었기 때문에 감정이 북받친다"며 "결국 중요한 건 결과가 아니라 그 안에서 무엇을 배웠는지다. 우리는 패배를 받아들이고 계속 노력했고, 그 결과 이렇게 트로피를 들게 됐다"고 말했다. 하드 코트 메이저에서만 세 차례(2023 US오픈, 2024 호주오픈 포함) 우승했던 그는 이번 잔디 코트에서 처음 정상에 올라 메이저 전천후 강자임을 입증했다. 유일하게 우승이 없는 클레이코트 메이저 프랑스오픈까지 제패할 경우 커리어 그랜드슬램을 달성한다. 지난해 도핑 양성 반응이 나왔던 신네르는 도핑 사실이 알려진 뒤로는 올해 호주오픈에 이어 두 번째 메이저 트로피를 따냈고 도핑으로 인한 3개월 출전 정지 징계를 마친 올해 5월 초 이후로는 이번이 첫 메이저 우승이다. 반면 알카라스는 윔블던 3연패 도전에 실패했다. 통산 6번째 메이저 결승전에서 처음으로 패배를 당했고 커리어 그랜드슬램 달성을 위해선 여전히 호주오픈 우승이 필요하다. [런던 로이터 =뉴스핌] 박상욱 기자 = 신네르(왼쪽)와 알카라스가 13일(현지시간) 열린 윔블던 남자 단식 결승을 마치고 축하와 위로의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25.7.13 psoq1337@newspim.com 그는 "결승에서 지는 건 언제나 힘든 일이다"라면서도 "하지만 오늘은 야닉의 날이다. 훌륭한 테니스를 한 그에게 축하를 전하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신네르와 알카라스는 지난해 호주오픈부터 치러진 7번의 메이저 대회에서 타이틀을 전부 나눠 가졌다. 2023년엔 알카라스가 프랑스오픈과 윔블던을, 신네르가 호주오픈과 US오픈을 차지했고, 올해는 다시 신네르가 호주오픈과 윔블던을, 알카라스가 프랑스오픈을 가져갔다. 이제 두 선수는 메이저를 양분하는 확실한 '빅2'로 자리매김했다. psoq1337@newspim.com 2025-07-14 06:4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