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차 생산 전환 시 고용 또한 30% 이상 감소
배터리, 수소 관련 인력 수급에도 어려움 겪어
[광주=뉴스핌] 조정한 기자 = 국내 자동차 산업이 미래차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부품 업체의 매출 및 고용 감소, 인력 채용의 어려움이 심각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미래차 전환을 위한 구체적인 컨설팅 및 정책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한국자동차기자협회는 18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탄소중립, 자동차 산업의 미래'를 주제로 '2021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정부가 오는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 2030년까지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40%로 상향 조정했다. 수송분야 또한 탄소 감축을 위해 2030년까지 전기차 362만대, 수소차 88만대, 하이브리드차 400만대 등 친환경차를 보급 확대키로 했다.
김용원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안전환경본부장. [광주=뉴스핌] 조정한 기자 = 2021.11.18 giveit90@newspim.com |
하지만 자동차 산업이 전기·수소차 등 미래차 생산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고용 감소가 이어질 전망이다.
김용원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안전환경본부장은 "자동차연구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동차 전체 생산의 10%를 전기·수소차로 생산할 경우 고용은 17%가 감소되고, 20%엔(2025년 예상) 고용은 30% 감소한다. 30%로 늘어나면(2030년) 고용은 38%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 같은 고용 영향은 국내 생산 기반 축소에 따라 외국계 3사(한국지엠, 르노삼성, 쌍용차)에서 더욱 심각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전기차 동력원이 배터리로 전환됨에 따라, 동력계 부품업체의 68.2%는 매출이 축소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500억 미만의 미래차 전환(생산, 개발)율은 16.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차 시대에 발맞춰 신사업을 추진하더라도 양산 단계에서 실제로 매출을 내는 기업은 17.8%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양산을 시작했으나 수익성이 확보되지 않는 기업의 비율도 21.8%에 달했다. 미래차 관련 부품은 평균 개발부터 양산까지 평균 32.8개월이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 본부장은 "부품 1종당 평균 개발비용은 5억2900만원이며 부품당 평균 설비 투자비는 11억6100만원이다. 총 소요비용만 약 13억1500만원이 소요된다"며 "미래차 분야 진출 초기단계부터 완성차 업체 등 수요업체와 부품기업 간 긴밀한 정보 교환이 중요하다"고 귀띔했다.
한편 미래차 관련 인력 수급 또한 원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이 가장 필요한 분야는 배터리와 수소차 관련(스택, 탱크) 분야나, 현장에선 업무능력과 전공을 가지고 있는 인재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김 본부장은 "미래차 분야 전환과정의 한편엥선 기존 내연기관차 인력의 퇴출 다른 한편에선 배터리·SW(소프트웨어)·수소·전장 등의 새로운 인력 확대가 필요하다"며 "기업들은 기존인력 재교육과 전환배치에 힘쓰는 한편 정부는 AI(인공지능), 수소, SW 등 새로운 전문인력의 체계적 양성 및 공급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았다"고 말했다.
이어 미래차 전환 대책이 없는 업체 중 약 40%가 대응방법을 모르거나 자금, 인력, 기술 등의 이유로 준비를 하지 못하고 있다"며 "미래차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컨설팅 인력 풀(Pool)을 구성해 기업별 맞춤 컨설팅을 시행하고 정부의 지원 제도 활용 촉진을 위한 특단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giveit9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