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7일부터 7월 9일까지 아트사이드 갤러리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한국의 테라코타(Terracotta)작업을 선두에서 이끈 여성작가 한애규(1953~)의 개인전이 열린다. 아트사이드 갤러리는 6월 17일부터 7월 9일까지 한애규의 개인전 《Beside》전을 개최한다.
한애규와 아트사이드 갤러리는 10년이 넘는 오랜시간 함께 걸어오며 다양한 전시를 진행했었는데 이번 전시는 지난 2018년도 개인전 <푸른 길>의 연속 이야기로, 온전히 흙을 통해 자신만의 작품 세계와 가치관을 전해온 한애규의 신작 38여 점을 선보인다.
![]() |
테라코타(Terracotta)는 이탈리아 어로 '구운 흙'이라는 뜻으로 석기시대부터 내려온 가장 기초적인 예술행위로, 흙을 빚어 초벌구이한 것을 말한다. 한애규는 오랜 시간 이 작업을 하면서 많은 갈래의 이야기를 탄생시켰다. 삶과 죽음, 여행과 꿈, 여성과 같은 다양하지만 커다란 맥락이 그의 손에서 빚어졌다.
그는 사소하게 느껴질 수 있는 경험과 감정들을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보여주었는데 그가 만들어낸 테라코타 형상에는 부드럽지만 단호하며 때론 묵묵한 손길이 묻어나 있다. 1980년대부터 한애규는 그렇게 노트에 써 내려가 듯 흙의 물성을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구현해왔다.
![]() |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한애규, 전신상 2 (보검을 든 여인) 2021 terracotta 35 x 31 x 110cm 2022.06.17 digibobos@newspim.com |
그의 '푸른 그림자' 시리즈는 물 위에 비친 일렁이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어딘가 쓸쓸하고 외로워 보이는 그림자는 계단, 벽, 바닥 어느 곳에서든 존재하며 이는 언제나 우리의 곁에 있지만 발견하지 못했던 나의 또 다른 모습이기도 하다. 작가는 베네치아에 갔을 당시 주변에 물이 곳곳에 있던 풍경을 회상하며 그 곳에서 바라봤던 물의 표면과 감정들을 바탕으로 푸른 그림자를 작업하게 되었다.
푸른 색이라 말하지만 그가 표현하는 색은 명도, 채도 모두 각기 다른 색으로 보이고 그만큼 다양한 감정들을 마주할 수 있다. 단순화된 형태와 곡선적인 그의 일관적인 작업 세계가 투영된 그림자 조각을 마치 '나'의 그림자로 받아들일 때, 그간 미처 돌보지 못했고 애써 보지 않으려고 했던 감정들은 수면 위로 떠올라 온전히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한애규, 푸른 그림자 6 2022 terracotta 33 x 26 x 72cm 2022.06.17 digibobos@newspim.com |
![]() |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한애규, 푸른 덩어리 1 2022 terracotta 38 x 22 x 93cm 2022.06.17 digibobos@newspim.com |
'여성'은 한애규가 오래도록 작업을 하고 있는 대상이다. 작가는 여성의 삶에 집중하며 그와 관련된 소재를 택하여 개인적이지만 누구나 공감하는 이야기를 해왔다. 이번 작품에도 그는 역사 속 분명 존재했고 존재할 수밖에 없던 여성을 꺼내와 행렬을 만들었다. 그들이 없었다면 역사는 지속될 수 없었을 것이기에 태초의 여성이 가지고 있는 의미와 함께 그는 강인하며 묵묵한 여성을 그려냈다.
![]() |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한애규, installation [사진=아트사이드 갤러리] 2022.06.17 digibobos@newspim.com |
![]() |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한애규, 전신상 7 (문신을 한 여인), 2021, terracotta, 36 x 28 x 92cm 2022.06.17 digibobos@newspim.com |
작가는 힘이 쎈 여인, 배 나온 여인 등 정형화되지 않은 여성 군상을 모으고 여성의 곡선을 닮은 말과 늑대를 놓아 끊어진 한반도 너머 북방으로의 길과 '교류'의 역사를 다시 한번 주목하고자 한다. 그는 북방과의 교류로 의미되는 유물을 손에 쥔 채 행렬하는 작품을 통하여 분단된 현실이 과거처럼 하나의 길로 나아갈 수 있기를 염원한다.
![]() |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한애규, 말 2022 terracotta 138 x 50 x 81 cm 2022.06.17 digibobos@newspim.com |
이번 전시 <Beside>는 지난 아트사이드 갤러리에서 진행한 한애규의 개인전 <푸른 길>에서 보인 무리 속 여성들의 표정에 한층 온화함과 부드러움이 더해졌으며 다채로운 형태, 그 속에서 여유로운 표정과 더불어 특유의 단호하면서 묵직한 울림을 만들어내고 있다.
한애규 작가는 서울대학교에서 응용미술, 동 대학원에서 도예를 전공하고 프랑스 앙굴렘 미술학교를 졸업했다. 흙이 가진 본연의 질감과 색채를 담은 그의 작품은 곡선적인 형태를 통해 친근하면서도 따뜻한 분위기를 가진 특징적인 작업을 보여왔다.
총 25회의 개인전과 국내외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하였으며 주요 개인전으로는 <푸른 길>(아트사이드 갤러리, 서울, 2018), <폐허에서>(아트사이드 갤러리, 베이징, 2010), <조우>(포스코 미술관, 서울, 2009), <꽃을 든 사람>(가나 아트 센터, 서울, 2008)이 있다.
주요 단체전은 <한국의 채색화 특별전>(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22>, <토요일展>(서울, 2012-2020), <긴 호흡>(소마미술관, 서울, 2014), <테라코타, 원시적 미래>(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경상남도, 2011) 등에 참여하였다.
주요 소장처로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서울역사박물관, 대전시립미술관, 전북도립미술관, 서울시청,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고려대학교 박물관 등이 있다.
digibobo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