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한국콘텐츠진흥원 조현래 원장이 28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CKL기업지원센터에서 열린 '2023 콘텐츠산업 정책연구 성과확산' 세미나에서 "우리가 하는 콘텐츠 정책연구들이 업계에 좋은 환경과 정책을 만들 거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날 조 원장은 "트렌드를 짚어보고 발표하는 것이 콘진원에서 해나가야 할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이슈가 되는 것을 찾아내고, 찾아가려고 한다"며 "콘텐츠 산업과 이 자체가 우리 일상에서 같이 하고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일이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이같이 말했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진행한 세미나 [사진=콘진원] 2023.03.29 alice09@newspim.com |
이번 세미나는 콘진원 콘텐츠산업정책연구센터 구성원 4인의 주제 발표가 준비됐다. ▲송진 센터장은 기조발제 '콘텐츠산업정책연구의 변화와 흐름: 한국콘텐츠진흥원 연구성과를 중심으로'를 통해 콘진원의 주요 연구 성과를 소개했다. ▲산업정보팀 전창영 책임연구원의 '한류 30년과 글로벌 트렌드' ▲미래정책팀 반옥숙 책임연구원의 '콘텐츠 격차: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콘텐츠 정책지원' ▲산업정보팀 권구민 선임연구원의 '콘텐츠산업의 생성형 AI 활용 이슈와 대응 과제' 발제가 진행됐다.
송 센터장은 '콘텐츠산업정책 연구의 변화와 흐름'의 시기를 크게 3가지로 나눴다. 제1시기는 2009년부터 2012년, 제2시기는 2013년~2017년, 제3시기는 2018년부터 2021년이다.
그는 "제1시기는 산업기반 조성으로 시장, 해외, 인프라, 게임과 방송에 대한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 제2시기는 산업 활성화 전략과 키워드가 새롭게 등장했다. 인력과 가치형가, 지역, IP가 본격적인 연구 과제로 떠올랐다. 또 제3시기의 경우 이용자에 대한 관심이 급격하게 진화하고 공정과 노동과 웹툰이 새롭게 떠올랐다"고 설명했다.
이어 콘진원의 성과에 대해 "시의성 높은 현안을 분석해 콘텐츠산업 및 정책의 아젠다를 주도했다고 말할 수 있다. 연구센터에서 단기현안보고서를 활용해 배리어프리, ESG, 메타버스, AI M&A 등을 연구해왔다"고 소개했다.
또 2022-2023 주요정책연구‧조사 체계에 대해 "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이용자 맞춤형 데이터 서비스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며, 글로벌 콘텐츠산업과 K-콘텐츠 이용 데이터를 심화 분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진행한 세미나 [사진=콘진원] 2023.03.29 alice09@newspim.com |
전창영 책임연구원은 '한류 30년과 글로벌 트렌드'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정 연구원은 지난 30년간 국내 언론에 보도된 한류콘텐츠 관련 뉴스기사를 분석해 주요 키워드 출현빈도와 핵심 토픽 속성을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한류콘텐츠 주요 키워드로 ▲영상 콘텐츠 ▲K팝 ▲온라인플랫폼 ▲경제효과 ▲정부정책이 떠올랐다. 정 연구원은 "K팝의 경우 빌보드와 방탄소년단(BTS), SM엔터테인먼트가 핵심 토픽으로 떠올라 콘텐츠를 주도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단계별 주요 키워드 분석 결과 1기(1995년~2002년)에는 중화권 중심과 1세대 아이돌인 H.O.T, 베이비복스로 인한 한류 열풍이 확산됐으며 제2기(2003년~2009년)에는 드라마 '겨울연가', '대장금'의 열풍과 한류 드라마 주연배우인 배용준, 이병헌, 최지우의 인기, 제3기(2010년~2017년)에는 '별에서 온 그대', '태양의 후예'의 중국 열풍과 더불어 소녀시대, 슈퍼주니어 등 2세대 아이돌과 한한령, 제4기(2018년~2022)에는 BTS의 빌보드 1위, K팝 아이돌, '오징어게임' 열풍과 '기생충' 아카데미상,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콘텐츠가 주로 떠올랐다.
전 연구원은 "30년간 한류 콘텐츠를 보도한 뉴스 기사를 분석하다보니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언론의 프레임도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는 걸 확인했다. 1~2기에만 해도 한류스타 개인이나 개별 콘텐츠에 중심했다면 3~4기에는 수출전략, 정책, 법 제도, 세계적인 흐름에 주목하는 경향이 짙어졌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진행한 세미나 [사진=콘진원] 2023.03.29 alice09@newspim.com |
권구민 선임연구원은 현재 주요 트렌드로 떠오른 '생성형 AI'에 대해 주목했다. 이는 명령어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를 스스로 이해하고, 원하는 작업을 수행해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인공지능 기술이다.
권 연구원은 "생성형 AI는 이미지와 스토리, 영상, 캐릭터, 음악 생성에 활용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며 "실제 방송과 영화, 광고 산업에서는 디에이징 기술을 활용해 배우 과거 모습을 되살리거나, 음성 합성 기술을 활용해 젊은 시절 목소리를 재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출판과 웹툰 산업에서는 음성합성 기술을 활용해 성우 또는 배우들의 음성을 학습시켜 오디오 콘텐츠를 제작하며, 웹툰 데이터를 학습해 스케치 그림에서 원하는 색을 선택하면 색상을 찾아 주변 부위까지 색을 칠하는 어시스트 기능이 도입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게임 산업의 경우 10여년 전부터 AI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으며, 개발자는 스토리텔링이나 혁신 요소 개발 등 고차원적인 업무에 집중해 게임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생성형 AI의 경우 다방면 활용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다. 권 연구원은 "학습데이터 활용에 대한 기준은 아직 존재하지 않아 분쟁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또 완성된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콘텐츠 제작 의도에 부합하는 다수의 학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적합한 수익모델이 아직까지 제시되지 않아 산업에 활용할 때 손익 계산이 어려운 것도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덧붙였다.
오픈AI와 챗GPT 로고 [사진=뉴스핌DB] |
이어진 라운드테이블에는 상명대학교 이기현 교수가 진행자로 참여했으며, 그 외 발제자 4인 ▲한국수출입은행 김윤지 수석연구원, ▲중앙SUNDAY 문소영 문화전문기자, ▲CJ E&M 전략지원팀 박성현 부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이성민 교수, ▲KDI 국제정책대학원 이태준 교수 등 콘텐츠 유관 분야의 전문가가 토론자로 참여했다.
박성현 부장은 추후 OTT 산업에 대해 "디즈니와 넷플릭스가 국내 상륙한 이후 직접 경쟁을 해야 한다. 수익도 예전에도 일본과 중국 중 어디가 더 큰지를 비교했다면, 이제는 넷플릭스에 어떻게 대항해야 하는지가 관건이다. OTT 기준 티빙으로 재작년 500억 적자에서 작년 1000억이 넘었다"고 토로했다.
이어 "국내 OTT가 해외에 왜 진출하지 않는가하는 질문을 받는다. 100개 작품을 만들면 80개 작품은 해외에 판권을 수출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만큼의 라인업이 갖춰지지가 않는다. 또 한국에서 해외로 영상을 보내기 위한 네트워크 비용, 해외 지사 설립, 현지 인력 비용 등을 따졌을 때 수지타산이 맞지 않기 때문에 진출이 어려운 것"이라며 "실질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콘진원 백승혁 미래정책팀장은 "정부 예산으로 이 산업을 커버할 수 있는 규모가 아니다. 민간에 깔려 있는 자금이 많은데, 콘텐츠 분야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많지만 이 돈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모르시는 분들이 많다. 작년 기재부 예산을 설득해 올해부터 각 장르마다 밸류체인에 따라 유통비가 얼마나 들고, 제작비가 얼마나 들고 얼마에 팔았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조사해 나갈 예정"이라며 "이런 것들이 쌓이면 외부 기업에서 투자가 들어오지 않을까 싶다"며 대안을 내놨다.
alice0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