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기초과학 분야 연구관리체계 구축
국내 대학연구소 총 6000여…"급조된 연구소 많아"
2024년부터 30억 지원
8개 대학 선정, 최소 6개는 비수도권에서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우주과학, 에너지 과학 등 10개 분야 기초과학 연구에 대해 정부가 올해부터 2028년까지 5년 동안 총 1100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한다. 특히 대학에 임용된지 7년 이내의 교원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 추진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램프(LAMP) 사업 기본계획'을 3일 발표했다. 이번 기본계획은 지난 1월 정부가 발표한 '2023 학술연구지원사업 종합계획'의 연장선에서 추진된다.
/제공=교육부 |
자연과학·공학·의약학·농수해양학 분야 약 3000여 개를 포함해 국내 대학연구소는 총 6000여 개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대부분 펀드 유치를 목적으로 임시로 급조된 경우가 많아 후속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또 대학 학과·전공마다 개별 연구실이 칸막이식으로 구축돼 서로 연계해 운영되지 않는다는 문제점도 지적 대상이었다. 성과를 내기 위한 공동연구에서의 한계도 노출됐다.
연구소의 연구인력 부족 현상도 대학의 연구 능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핵심 연구 자원인 포닥(post-doc, 박사후연구원)의 이탈 또는 유입 감소가 두드러진 지방대에서는 심각한 문제로 부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연구실'에 연구비를 지원하는 현행 지원시스템도 문제라는 지적도 나왔다. 이에따라 대학 연구자에게 연구비를 지원하는 기존 지원방식에서 인력·시설장비 등 효율적인 연구를 위한 연구 체계에 집중 지원한다는 것이 정부 판단이다. 대학 전체의 연구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취지로 보인다.
이를 위해 정부는 수리·통계과학, 원자과학, 천체·입자·우주과학, 분자수준과학, 나노단위과학 등 기초과학 10개 분야 중 대학별로 선택한 1개 분야에 대해 2027년까지 매년 30억 원이 투입된다.
다만 사업기간 1차년도에 해상하는 올해 사업 기간이 6개월에 그치는 점을 고려해 대학별로 20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2차년도인 2024년부터는 30억 원 가량이 지원된다. 선정되는 8개 대학 중 최소 6개는 비수도권 대학으로 채워질 계획이다.
/제공=교육부 |
이번 연구사업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대학의 기초과학 분야 연구소는 독립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면서도 사업단의 관리·지원 체계에 편입돼야 한다. 연구소 단위 독자적 활동이 없거나 인력 부족, 독립적인 공간 등이 부족하면 대학 내 자율적 통합, 폐지 등 개편 작업을 해야 한다.
연구소 평가는 크게 3가지로 진행될 예정이다. 기초과학 10개 분야 중 '중점 테마 연구소'를 지정해 미래의 인류 난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지 여부, 개척되지 않은 분야로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지 여부, 성장 가능성 등이 충분한지 여부 등이 검토될 계획이다.
램프 인력은 중점 테마 연구소에 소속돼 연구를 수행하며, 램프 전임교원과 램프 포닥으로 나뉜다. 램프 전임교원은 공동연구의 '세부과제' 연구책임자로, 램프 포닥은 젊은 박사후연구원 대상으로 사업단이 선발한다.
한편 교육부는 다음달 예비 접수를 거쳐 오늘 7월 사업계획서를 제출받을 계획이다. 선정평가는 8~9월, 사업은 10월께 시작할 예정이다.
/제공=교육부 |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