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네이버 포털, 공공재...위기 대응 상시 대비해야"
네이버 "비상상황 대응할 수 있도록 대응체계 더욱 고도화할 것"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31일 오전 서울 지역에 내려진 '경계경보 오발령' 소동으로 네이버 서비스가 오전 한때 먹통이 됐다. 갑작스런 경보에 놀란 시민들의 접속이 폭주한 탓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이날 오전 6시 43분부터 48분까지 네이버 모바일에서 오류가 발생했다"며 "(접속 장애의 배경은) 위급 재난문자 발송으로 인한 접속 트래픽 증가로 몇 분간 접속이 원활하지 않았다. (네이버는) 인지 후 비상 모니터링 대응 중이며 현재 정상화 됐다"고 전했다.
서울시는 이날 오전 북한이 남쪽으로 발사체를 발사한데 따른 조치로 위급 재난문자를 통해 국민대피령을 전달했다. 행정안전부는 서울시의 위급 재난문자 발송 9분 뒤 오발령으로 이를 정정했지만, 위급 재난문자 발송으로 이용자들의 네이버 접속이 몰리면서 검색, 카페, 블로그 등 주요 서비스 접속이 마비됐다.
네이버 1784 사옥. [사진=네이버] |
일각에서는 정부가 지난해 발생한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에 따른 후속 조치로 네이버와 카카오 등 대형 플랫폼 사업자가 재난에 대한 예방·대응·복구 관련 계획을 갖추고, 사전 점검 및 보완 의무를 다하도록 방송통신발전기본법을 개정한 바 있어 네이버의 대응이 미흡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위정현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는 이에 대해 "포털(네이버) 자체가 독자점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다. 국가 기관 전산망하고 똑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포털이 모르기 때문에 트래픽 폭증에 따른 접속 장애 문제가 생겼다고 본다"며 "네이버는 국가기관 전산망으로서 이미 공공재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네이버가 접속 장애에 대해 상시적으로 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재난문자 발송으로 인한 트래픽 폭주가 올 수 있다는 것은 예측할 수 있다. 지금까지 시스템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았던 것이다. 결국 해법은 네이버가 (데이터센터 안정화를 위한) 비용(투자)을 투입해야한다는 것"이라며 "예컨대 AWS와 계약을 통해 버퍼 서버나 버퍼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는 마련할 수 있고, 인공지능을 활용해 문제를 탐지하는 시스템을 적응 활용해야한다. 네이버가 단순히 비용(투자)의 이슈가 아니라 위급 재난이 발생할 경우, 국가적으로 어마어마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해야한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라정주 파이터치연구원 원장 역시 비슷한 의견을 내놨다.
라정주 원장은 "이번 접속 장애는 네이버가 (재난문자 발송으로) 갑작스럽게 트래픽이 몰릴 것이라는 걸 예측하지 못했던 것에 원인이 있어 보인다. 내부적으로 위기 대응에 있어 부실한 측면이 있었던 것 같다"며 "앞으로 비슷한 상황이 생겼을 경우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제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예를 들면 위기 상황에 미리 대처할 수 있도록 (정부와 함께) 정례적으로 위기 상황에 대한 훈련을 진행하는 것이 답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네이버는 이 같은 지적에 대해 대응체계를 보다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경계경보 발령 이후 평소보다 약 10배 가량 트래픽이 급증했지만 빠르게 정상화했다"며 "비상 상황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대응체계를 더욱 고도화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오전 6시 29분에 북한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우주발사체를 발사했다. 우리 군은 이 발사체가 낙하 예고지점에 도달하지 못하고 공중에서 폭발하거나 해상에 추락하는 등 발사 전반에 실패 가능성을 열어두고 정밀 분석 중에 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