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움미술관, 강서경 대규모전 12월31일까지
동양화 전공한 강서경…평면·조각·영상 아울러
전통에 대한 깊은 연구 기반한 동시대적 예술 작품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한폭의 산수화가 3차원 조각의 형태로 강서경(46) 작가의 손에서 빚어졌다. 작품은 종이 형태로 미술관 벽에 걸려있거나 쇼케이스 안에서 자태를 유유히 뽐내는 것이 아닌 관람객과 함께 호흡할 수 있는 전시장 바닥에 뿌리를 내렸다. 거대한 규모의 산과, 낮과 밤, 자연을 미술관 안으로 불러들인 강서경은 관람객에 새로운 시간과 공간을 경험을 선사한다.
강서경의 대규모 개인전 '강서경:버들 북 꾀꼬리 Suki Seokyeong Kang: Willow Drum Oriole'가 리움미술관에서 지난 7일 개막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강서경: 버들 북 꾀꼬리' 전시 전경 (로비) [사진= 홍철기, 강서경 스튜디오∙리움미술관] 2023.09.18 89hklee@newspim.com |
한국화를 전공한 강서경은 영상과 조각, 설치, 퍼포먼스 등 매체를 가리지 않고 능수능란하게 사회문화적 문맥을 관통하는 작품을 선사하는 작가다. 전통회화와 음악, 무용, 건축 등에 대한 폭넓은 관심과 연구를 갖고 작업의 메시지와 형식을 더욱 풍부하게 만든다.
초기 대표작에서 발전된 작업부터 다양한 방식으로 확장된 신작에 이르기까지 총 130여점이 출품됐다. 리움미술관의 M2 전시장과 로비를 활용해 시간의 흐름 가운데 변화하는 자연과 그 속에 함께하는 개인들의 이야기가 공존하는 거대하면서도 섬세한 풍경을 펼쳐낸다.
전시장 로비서부터 그의 작품은 시작되고 M2(지하1층, 1층) 공간을 꽉 채운다. 강 서경 작가는 "저는 전시가 없어도 작업하기 때문에 사실 작품은 더 많다"며 "이번 전시는 오랫동안 준비했기 때문에 경쾌하고 유머스럽고 다양한 작품이 존재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강 작가는 "이번 '버들 북 꾀꼬리'전은 여러 감정과 이야기가 교차되고 혼재돼 있다"며 "정말 수만명의 꾀꼬리들이 다 풀어져 있는 어떤 상태를 이야기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강서경: 버들 북 꾀꼬리' 전시 전경 (M2 B1) [사진=홍철기 강서경 스튜디오∙리움미술관] 2023.09.18 89hklee@newspim.com |
그는 "미술은 혼자 하는 것이 아니고 세상이 함께 하는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그림이라는 건 사람들의 이야기와 그 시대의 움직임, 풍경을 풀어내는 공감각적인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라고 거듭했다.
이번 전시 제목이자 신작 영상의 제목인 '버들 북 꾀꼬리'는 전통 가곡 이수대엽의 '버들은'을 참조한 것으로 마치 실을 짜듯 버드나무 사이를 날아다니는 꾀꼬리의 움직임과 소리를 풍경의 직조로 읽어내던 선인들의 비유를 가져왔다.
전시장에는 사계를 담은 산, 바닥과 벽으로 펼쳐지는 낮과 밤, 공중에 매달린 커다란 귀, 작지만 풍성한 초원과 제자리를 맴도는 둥근 유랑, 각자의 자리를 만들고 전시의 보이지 않는 틀이 되는 다양한 사각이 함께한다. 작가는 관람객이 앉아 산을 볼 수 있는 포인트도 제시했다. 또 풍경을 바라보는 것을 넘어 그 사이사이 존재하는 여백의 공간을 직접 거닐어 보며 각자의 움직임과 서사를 쌓을 수 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강서경 작가 2023.09.18 89hklee@newspim.com |
'자리' 연작은 조선시대 1인 궁중무인 '춘앵무'에서 춤을 추는 공간의 경계를 규정하는 화문석에서 착안된 작품으로 한 개인의 '자리'라는 공간 개념으로 치환해 사회 속 개인의 영역을 고찰하고 회화 매체를 다양한 형식으로 변주한 작품이다. 이번 전시에는 다채로운 형식과 크기의 '자리 검은 자리', '자리' 등을 선보인다.
그의 초기작 '정 井'도 나왔다. 조선시대 유량악보인 '정간보의 '우물 정(井)'자 모양의 사각틀에서 착안한 것으로 음의 길이와 높이를 표기해 넣은 정간을 소리와 움직임, 시간과 서사를 담아내는 개념적 틀로 차용하고 재해석한 연작이다.
캔버스 프레임, 창틀의 형상과도 유사한 '정' 연작은 회화를 시공간으로 확장시킬 수 있게 하는 조형적 단위체가 될 뿐 아니라 관람객의 시선을 격자틀 내외부로 집중시키거나 전시 구획의 보이지 않는 시스템으로도 작동한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강서경: 버들 북 꾀꼬리' 전시 전경 (M2 1F) [사진=홍철기, 강서경 스튜디오∙리움미술관] 2023.09.18 89hklee@newspim.com |
강서경의 회화작업도 눈길을 끈다. 그의 회화작업을 가리키는 '모라(Mora)'는 언어학에서 음절 한마디보다 짧은 단위로 작가의 작업에서는 시간을 담고 서사를 쌓아 올리는 단위이자 작품을 지칭한다.
강 작가는 전통 한국화의 방식대로 장지나 비단을 수평으로 펼친 채 그림을 그리는데 농담을 달리하는 먹과 색을 겹겹이 스미게 해 반투명한 물감층의 흔적을 쌓아 올린다. 이렇게 제작된 '모라'는 탐처럼 쌓여 3차원 조각처럼 전시되기도 하고 '정'의 프레임과 결합돼 다양한 변형태로 제시되기도 한다.
로비의 대형 미디어월에서 펼쳐지는 신작 영상 '버들 북 꾀꼬리'는 전시 공간에 펼쳐진 작업들을 스크린 속으로 가져와 움직임과 소리를 더하고 이를 긴장과 자유가 균형점을 찾아가는 가능성의 공간으로 확장시킨다. 검은 사각의 시공간 속에서 중력과 원근을 무시한 채 나타나고 가로지르고 만나고 헤어지는 다양한 요소와 사운드가 관람객의 공감각을 자극하고 신체와 사물과 풍경을 대면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한다. 전시는 12월31일까지.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