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이상동기범죄 대응 방안으로 언급
[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윤희근 경찰청장이 지난 8월 의무경찰제(의경) 재도입을 발표했다가 논란을 빚으면서 백지화 된 부분에 대해 "성급한 부분이 있었다"고 시인했다.
윤 청장은 12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본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경찰청 국정감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윤 청장은 강병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의경 폐지 과정을 아신다면 8000명 증원을 관계부처와 쉽게 협의 못했을텐데 사전에 협의했어야 하는거 아닌가"라는 질문에 "많은 지적이 있었고 성급했던 부분이 있던 것 인정한다"고 말했다.
![]() |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윤희근 경찰청장이 12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경찰청·도로교통공단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3.10.12 mironj19@newspim.com |
현재 협의 사항은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경찰 자체 대안으로 조직개편 포함해 인력 증원 대안으로 검토했던 것"이라면서 "국방부, 병무청과 사전에 조율하지 않은 것은 맞지만 발표 이후에 의견 전달했을 때 병력자원 수급에서 당장 어렵다는게 입장이었다"고 밝혔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 8월 23일 '이상동기범죄 재발 방지를 위한 국무총리 담화문'을 발표하면서 "범죄예방 역량을 대폭 강화하기 위해 의무경찰제 재도입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윤 청장도 같은날 "14만 경찰이라고 하지만 길거리에서 나가 활동할 수 있는 경찰력은 (일 시점) 3만명 내외로 판단하고 있다"며 "신속대응팀 경력 3500명, 주요 대도시 거점에 4000명 등 7500~8000명 정도를 순차적으로 채용하는 방안을 관계부처와 협의하겠다. 협의는 7개월에서 9개월 정도 소요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병력 감소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의경 재도입 논의는 백지화됐다.
krawj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