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미국 정부가 중국 견제를 통상 정책 최우선 순위로 두고 있으며 중국산 커넥티드 차량 수입을 전면 금지하는 극단적 조치도 고려하고 있다고 지나 러몬도 미 상무부 장관이 8일(현지시간) 밝혔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날 하원 세입소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한 러몬도 장관은 "우리는 중국과 경쟁에서 압도해야 한다"며 "중국이 첨단 기술을 확보하지 않도록 우리가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8월 30일 중국 상하이에서 기자회견하는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장관의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
이어 그는 "역대 어느 정부보다 많은 중국 기업을 제재 목록에 올렸다"며 "우리가 지속해 주시하는 것은 상업용뿐만 아니라 군사적으로도 쓸 수 있는 이중 용도 기술들"이라고 알렸다.
현재 미국은 러시아에 대해 "거의 700개에 가까운 이중 용도 제품들을 규제하고 있으며, 현재 100여개의 중국 기업 역시 수출 통제 목록에 올려져 있다"고 부연했다.
또한 미국 자본의 중국 첨단 기업 투자 규제에 대해서는 "현재 재무부가 주도하고 있고 올해 안에 규정이 완료될 예정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러몬도 장관은 "모든 데이터를 들여다본 뒤 어떤 조치를 취할지 결정할 것"이라면서도 "우리는 중국산 커넥티드 차량 금지와 같은 극단적 조치를 취할 수도 있고 (보호장치나 가드레일 등) 완화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커넥티드 차량은 양방향 인터넷, 모바일 서비스 등이 가능한 정보통신 기술(ICT) 접목의 자동차다. 첨단 내비게이션, 운전자 보조 시스템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일명 '스마트카'로 전기 자동차, 공유 모빌리티, 자율주행차 등에 탑재되고 있다.
미 상무부는 조 바이든 대통령의 지시로 지난 2월 29일 커넥티드 차량에 우려국가의 기술을 쓸 경우 개인정보 유출과 해킹 등의 안보 우려가 있는지 조사에 착수했다.
미국의 안보 우려국가는 여럿 있지만 미국 시장에 진출한 커넥티드 차량 국가는 사실상 중국이 유일해 이번 조사는 중국산을 겨냥한 것이었다.
러몬도 장관의 이날 발언은 상무부가 관련 조사를 마치고 지난달 말까지 업계 등으로부터 의견수렴 기간을 거친 후에 나왔다.
미국이 자국 내에서 판매되는 커넥티드 차량에 중국 기술과 부품이 사용되는 것을 규제한다면 한국 자동차 업계에도 영향이 예상된다.
한국 정부는 지난달 30일 미국 상무부에 제출한 의견서에서 "한국 자동차 업계는 커넥티드 차량 공급망 조사의 넓은 범위, 잠재적 규제 대상의 범위를 둘러싼 불확실성, 시행 시기가 업계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고 밝혔다.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