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대표 '게임체인저' …안전성·기능성 강화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선점이 미래 주도권 핵심"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국내 배터리 3사가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양산을 최대한 앞당겨 미래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전략이다.
지난 3월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4'에서 삼성SDI가 업계 최고 에너지 밀도 '900Wh/L 전고체 배터리'의 개발 및 양산 준비 로드맵을 첫 공개했다. 삼성SDI는 지난해 말 신설된 ASB사업화추진팀을 중심으로 전고체 배터리 사업화를 본격 진행 중에 있다. [사진=삼성SDI] |
13일 배터리업계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은 현재 전고체 배터리 기술력 확보를 위해 움직이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는 관련 업계가 주목하는 차세대 배터리다. 전기를 흐르게 하는 배터리 양극과 음극 사이를 채운 전해질이 액체가 아닌 고체 상태인 것이 특징이다.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와 달리 충격에 의한 누액 위험이 없다. 인화성 물질도 포함되지 않아 화재 위험도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아 주행거리 향상·충전시간 단축 효과가 있다.
국내 배터리 3사 가운데 기술개발 속도가 가장 빠른 곳은 삼성SDI다. 오는 2027년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양산이 목표인 삼성SDI는 지난해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시험생산) 라인 'S라인'을 정식 가동했다. 이미 파일럿 라인에서 시제품 양산을 통해 일부 고객사에 샘플을 공급했으며 양산 관련 협력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엔 기존 고객 외에도 샘플 공급 요청이 확대되고 있다는 것이 삼성SDI 측 설명이다.
앞서 삼성SDI는 전고체전지(ASB) 사업화추진팀도 신설한 바 있다. 이를 두고 업계 한 관계자는 "상용화 시점을 최대한 당기겠다는 의지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석희 SK온 대표가 '인터배터리2024'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
SK온도 대전 배터리연구원에 파일럿 라인을 구축하고 있다. 국내 배터리 기업 중 두 번째 파일럿 라인을 구축하는 것으로 내년 완공이 목표다. SK온은 미국의 벤처기업인 솔리드파워와 협력해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하고 있다. 고분자-산화물 복합 전고체도 개발 중이다.
두 제품 모두 2026년 시제품 생산 후 2028년 상용화가 목표였다. 하지만 고분자-산화물 복합 전고체 시제품 생산일정은 내년 상반기로 1년 앞당긴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3월 열린 '인터배터리 2024'에서 미국의 벤처기업인 솔리드파워와 협력해서 개발한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를 전시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서울=뉴스핌] 이호형 기자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대표이사 사장이 지난 3월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4'에서 자사 배터리 제품 설명하고 있다. |
전고체 배터리 경쟁에 가장 먼저 뛰어든 국내 배터리 1위 기업 LG에너지솔루션은 아직 파일럿 라인 구축을 시작하지 못했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제품 완성도를 높이겠다는 것이 전략이라서다.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대표는 '인터배터리2024'에서 "시간이 걸려도 제대로 된 것을 선보이려 한다"며 "완성도가 높고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제품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6년 고분자계 전고체 배터리, 2030년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관련 업계에서는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속도가 붙는다면 국내 배터리 기업의 판도가 바뀔 것으로 전망한다. 현재 전고체 시장은 일본 기업들이 앞서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양산 시점을 당길 시 시장 선점에서 상당한 이점이 있다는 것이 배터리업계 측 설명이다.
배터리업계 한 관계자는 "저가형 LFP는 중국에 밀리고, 차세대 고부가가 될 전고체는 일본에 내어주는 모양새가 될까봐 걱정하던 차에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전고체 개발에 속도를 낸다는 것은 반가운 소식"이라며 "현재 특허나 기술적 우위는 일본의 도요타와 파나소닉 등이 앞서지만, 아직 실제 상업화돼 나온 것은 없으니 빠른 시장 선점은 미래 산업 주도권을 잡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a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