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상용 기자 = 중국의 인공지능(AI) 챗봇 딥시크를 사용할 경우 개인 정보가 중국 국유 통신회사 차이나모바일로 몰래 전송된다는 경고가 나왔다.
현지시간 5일 미국 ABC 방송에 따르면 사이버 보안업체 페루트 시큐리티는 딥시크의 코드를 해독했더니 사용자 정보를 차이나모바일로 전송하는 코드가 숨겨져 있었다고 주장했다.
페루트 시큐리티의 이반 차린니 대표(CEO)는 "중국 정부의 통제를 받는 서버 및 차이나모바일의 온라인 레지스트리 사이트로 직접 연결되는 링크 부분을 발견했다"며 "우리가 본 적이 없던 코드"라고 말했다.
ABC 방송은 딥시크 회원으로 가입하거나 로그인할 경우 부지불식간에 중국 내 계정이 만들어 질 수 있다며 그 결과 개인정보와 검색어 등 이용 내역이 중국 정부 시스템에 노출될 수 있다고 전했다.
지난 2019년 미국 당국은 이용자 정보에 대한 무단 접근 위험 등 국가안보상의 이유를 들어 차이나모바일의 미국 내 사업을 차단한 바 있다. 차이나모바일은 그로부터 2년 뒤(2021년) 뉴욕증시에서 상장폐지됐다. 미국은 2022년 이 회사를 국가안보위협 대상 목록에 추가했다.
미국 국토안보부에서 정보와 분석 담당 차관을 역임한 존 코언은 ABC 방송과 인터뷰에서 "우리의 안보 담당 관리들은 중국산 테크놀러지 제품에 중국 당국이 언제든 정보를 들여다볼 수 있는 백도어가 심어졌을 가능성을 항상 의심한다"고 말했다.
미 하원 정보위원회 소속인 조시 고트하이머 의원은 "모든 정부 관련 기기에서 딥시크를 즉각 금지해야 한다"며 "그 위험성을 대중에게도 알려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인공지능 챗봇 딥시크 [사진=블룸버그] |
osy7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