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스마트폰 칩 90% Arm 기반
한 때 이재용 회장에 인수 타진
자체 칩 설계 '변신' 선언에 파장
AI시대 신 경쟁구도 재편 관심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한·미·일 인공지능(AI) 수장들의 3자 회동이 열린 지난 4일. 챗GPT의 아버지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한국을 찾았고 손정의(손 마사요시) 소프트뱅크 회장도 극비리에 입국했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이들이 향한 곳은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사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만나기 위해서였다. 중국의 딥시크 출현 직후 이뤄진 이 '3자 회동'에 세계의 시선이 쏠렸다. 중국에 맞설 '한·미·일 AI 동맹'이 본격 가동될 것이란 전망에서다. 여기에 깜짝 손님이 있었다. 영국의 반도체 설계 기업 Arm의 르네 하스 CEO다. 사실 '3+1 회동'이었던 셈이다.
![]() |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이 지난 4일 오후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샘 올트먼 오픈AI CEO와의 3자 회동을 마치고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스핌DB] |
◆손정의 "Arm 인수, 내 인생에 가장 신나는 일"
Arm은 지분 90%를 보유하고 있는 소프트뱅크의 자회사다. 손정의 회장이 지난 2016년 Arm의 미래 가능성을 높이 사 당시 약 34조원을 현금으로 투입, 지분을 인수했다. 손 회장은 당시 기자회견에서 "Arm의 성장 여력을 생각하면 싸게 산 것"이라며 "내 인생에서 가장 신나는 일"이라고 밝히기까지 했다. 갤럭시나 아이폰은 Arm이 없었더라면 애초에 글로벌 재패는 불가능했다. 세계 스마트폰의 90%는 Arm의 설계도를 기반으로 하고 있고, 삼성전자와 애플, 퀄컴, 엔비디아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모두 Arm의 일종의 설계 노하우(IP, 지식재산권)을 바탕으로 반도체를 개발하고 있다. Arm은 이들에게 사용료(로열티)를 받는 방식으로 수익을 올려왔다.
◆끝내 없던 일 된 삼성과의 매각 협상
소프트뱅크에 인수 후 우여곡절도 있었다. 지난 2020년 소프트뱅크가 적자에 허덕이자 Arm을 매물로 내놓은 적이 있다. 당시 인수 후보군에 삼성전자나 애플, 엔비디아가 거론되다 그 해 9월 엔비디아로 매각을 발표했다. 하지만 경쟁 국가의 반독점 심사를 통과하지 못해 2022년 없던 일이 됐다. 이후에도 SK하이닉스가 인텔과 연합군을 꾸려 Arm을 인수하려 했고, 삼성전자의 인수 검토도 꾸준히 이어졌다. 지난 2022년 9월 이재용 회장은 기자들을 만나 손 회장이 서울에 와 "그때 (인수) 제안을 할 것 같다"고 말하기도 했다. 실제로 그해 10월 이 회장과 손 회장이 서울에서 만나 Arm 인수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별다른 움직임은 없었다. 손 회장이 인수한 당시 보다 기업가치가 두 배 가량 뛰며 50조~70조원으로 추정됐던 몸값이 큰 부담이었을 것이란 분석만 나왔다. 엔비디아의 사례처럼 반독점 심사벽을 넘지 못했을 것이란 관측도 설득력이 있었다.
◆AI시대 활짝, 이제 '플레이어'로 나선다
손 회장은 2023년 9월 Arm을 나스닥에 상장시켜 투자금을 회수하는 전략으로 방향을 틀었다. 그 뒤 AI 시장이 활짝 열리며 Arm은 소프트뱅크에서 가장 중요한 전력으로 부상했다. 삼성전자는 결과적으로 자회사로 둘 수 있었던 Arm을 이제는 동등한 경쟁자이자 주요 고객으로 만나야 한다. Arm이 올해부터 삼성이나 애플처럼 직접 반도체 완제품을 설계하겠다고 밝히면서다. 첫 고객으로 메타도 확보했다. AI 칩을 넘어 스마트폰용 칩 설계에까지 나선다면 삼성, 엔비디아와 직접 경쟁하는 위치에 놓인다. 파운드리 고객 확보가 시급한 삼성전자 입장에서 새 칩을 내놓을 예정인 Arm은 좋은 대안이 될 수도 있다.
우선 Arm의 첫 반도체 설계 제품은 데이터센터의 서버용 중앙처리장치(CPU)가 될 전망이다. 메타는 현재 천문학적 자금을 투자해 AI용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있다. 향후 엔비디아가 장악하고 있는 그래픽처리장치(GPU)에도 진출한다는 전략이다. 해외 외신은 "Arm의 자체 칩 출시가 향후 AI 칩 개발 업체로 전환하려는 더 큰 계획의 첫 단계"라고 분석했다.
![]() |
ARM 로고 [사진=로이터 뉴스핌] |
◆AI 칩 생태계 수직계열화, 손정의의 야심
Arm의 직접 칩 설계 진출은 지금까지 공고하던 반도체 분업화를 뒤흔드는 선언으로 꼽힌다. 반도체 산업은 공정별·국가별로 분업화돼 공급망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삼성전자나 엔비디아, 인텔 등이 Arm과 같은 팹리스에 로열티를 주고 칩을 설계하고, 이를 대만의 TSMC나 삼성전자에 제조를 맡기는 식이다. Arm이 직접 설계를 시작하면 지금까지 IP를 제공했던 삼성, 엔비디아 등과 경쟁 관계에 놓인다. 무엇보다 AI 시장이 무한대로 성장하면서 자율주행이나 로봇 등 확장할 수 있는 분야도 넓어지고 있다. 소프트뱅크가 참여한 미국의 역대 최대 규모 AI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에 Arm도 '기술 파트너'로 이름을 올렸다. 스타게이트가 미국에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짓는 사업으로 Arm이 새로 개발하는 CPU가 탑재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삼성전자에게는 위기이자 기회다. 앞서 '3+1 회동'에서 삼성전자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을 논의했을 가능성이 높다. 삼성전자가 스타게이트에 일부 투자하고 Arm이 개발한 칩을 삼성전자가 생산하는 식이다. 몰려드는 주문에 생산 일정이 빠듯한 TSMC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손 회장은 회동을 마친 뒤 기자들을 만나 삼성이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합류하기로 했냐는 질문에 "앞으로 논의하겠다"며 "매우 좋은 논의를 했다"고 전했다. 또 Arm의 칩을 삼성 파운드리에서 생산할 것이냐는 물음에는 "삼성은 훌륭한 파트너"라는 말로 대신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