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경남 산청, 경북 의성과 안동, 울산 울주 등지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28일 오전 11시 기준으로 국가유산 손실이 27건 발생했다. 전날 오후 5시 대비 4건이 늘었다.
국가유산청은 산불이 난 지난 21일부터 28일 오전 11시까지 피해를 집계한 가운데 국가지정 11건과 시도지정 16건이 피해를 입었다. 해당 기간 동안 총 71건의 산불이 발생했고 3건은 아직 불길이 잡히지 않았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경남 산청군에 위치한 산청 덕산사의 산불 대응 현장 [사진=국가유산청] 2025.03.28 alice09@newspim.com |
산불로 인해 손실을 입은 국가유산은 국가지정 11건 중 보물 2건, 명승 3건, 천연기념물 3건, 국가민속문화유산 3건이 있으며 시도지정 16건으로는 유형문화유산 3건, 기념물 2건, 민속문화유산 4건, 문화유산자료 7건으로 집계됐다.
경남 산청과 하동에서 시작된 산불이 의성, 안동, 청송으로 번진 가운데, 불길이 쉽사리 잡히지 않으면서 해당 지역의 국가유산이 유독 많은 피해를 입었다.
안동의 문화유산자료 '약계정'은 전소가 됐고, 지금까지 안동 지역의 국가유산 전소(일부 소실 포함)만 7건이다. 또한 경북 의성의 유형문화유산 '만장사석조여래좌상'은 일부가 그을렸으며 민속문화유산 '청송 기곡재사'와 '청송 병보재사'는 전소됐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산청 대원사 다층석탑에 방염포를 설치하고 있는 모습. [사진=국가유산청] 2025.03.28 alice09@newspim.com |
이번 대형 산불로 인해 국가유산 피해는 지난 22일부터 시작됐다. 강원 정선의 명승 '백운산 칠족령'을 비롯해 하동의 기념물 '하동 두양리 은행나무', 울산 울주 천연기념물 '울주 목도 상록수림'과 청송 민속문화유산 '청송 송소 고택', '서벽고택' 등은 일부 소실됐다. 의성 보물 '의성 고운사 연수전', '의성 고운사 가운루', 유형문화유산 '청송 만세루', 청송 민속문화유산 '사남고택' 등은 전소됐다.
안동의 경우 문화유산자료 '용담사 금정암 화엄강당'과 '지산서당', '안동 국탄댁', '송석재사', '지촌종택'이 전소됐고, 기념물 '구암정사'는 협문이 전소되면서 일부가 소실된 상황이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경남 산청군에 위치한 산청 덕산사의 산불 대응 현장 [사진=국가유산청] 2025.03.28 alice09@newspim.com |
쉽게 잡히지 않는 불길로 인해 국가유산청은 현장에 750여명을 투입해 예찰 및 긴급조치를 계속 실시 중이다. 주요 사찰 및 종가 소장유물 소산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현재까지 23건, 1566점을 소산 완료했다. 또한 추가 산불 전개 상황에 따라 인근지역 문화유산의 현황을 파악하고 있으며, 소산을 독려 중이다.
반면 소산이 불가능한 경우, 유산 보호를 위해 현재까지 44건의 방염포를 설치했으며 영양과 영덕 소재의 석탑 등 3건에는 방염포를 설치할 예정이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산불 피해 방지를 위해 국가유산 주변에 예방 살수와 방화선 구축 등을 실시하고 있다. 또 산불 관련 국가유산 피해 현황 현장 조사를 함께 진행 중"이라며 "산불 위험으로부터 국가유산 보호를 위해 예방 살수와 방염포 설치와 더불어 방화선 구축하고 유물 긴급 이송 등 긴급조치 지속 실시할 것"이라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