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송미술관 보물 등 79점 대여 전시 성사
진경산수화 대표작 총망라
[용인=뉴스핌] 이지은 기자 = 한국 회화사를 대표하는 '겸재 정선'의 예술세계를 총체적으로 조망하는 최대 규모의 기획전이 호암미술관에서 열린다.
김성원 리움미술관 부관장은 31일 경기 용인시에 위치한 호암미술관에서 열린 '겸재 정선' 대규모 특별전 개최 언론공개회에서 "드디어 '겸재 정선전'을 선보이게 됐다. 교과서에 실릴 정도로 우리가 꼭 알아야 하는 중요한 작가인데, 이번에는 정선의 예술 전반을 조명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삼성문화재단(이사장 김황식)과 간송미술문화재단(이사장 전영우)은 조선을 대표하는 화가 겸재 정선(1676~1759)의 예술세계를 조명하는 대규모 기획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2025년 삼성문화재단 창립 60주년, 2026년 정선 탄생 350주년을 맞아, 정선을 주제로 개최된 전시로는 사상 최대 규모이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도입부에 전시된 인왕제색도(좌), 금강전도(우) [사진=호암미술관] 2025.04.01 alice09@newspim.com |
'겸재 정선' 전시에서는 호암미술관과 간송미술관 뿐만 아니라 국립중앙박물관을 비롯한 18개처의 기관과 개인의 소장품 총 165점(국보 2건, 보물 7건 57점, 부산시유형문화재 1건)을 선보인다. 아울러 정선의 지정 작품 12건(국보 2건, 보물 10건) 중 8건을 최초로 한 자리에 모았다.
이날 김 부관장은 "이번 전시는 국내 최초로 165여 점을 전시하게 됐다. 리움 고미술 연구팀이 심혈을 기울여 준비했고, 전시 준비만 3년이 넘게 걸린 보배와 같은 전시"라며 "리움과 간송이 협력을 했는데, 두 기관의 협력 없이는 165점에 달하는 정선의 예술 세계를 접할 수가 없을 정도로 두 기관이 힘을 합쳐 규모 있는 '겸재 정선전'을 기획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리움과 호암은 두 개의 장소 아래 하나의 방향성으로 가고 있다. 전시 프로그램은 주요 이슈를 다루는 전시로 기획하고 있다. 하나의 방향성으로 가는 이유는 호암이 지역미술관을 넘어 국제적인 위상을 가진 미술관으로 거듭나기 위함"이라고 말했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겸재 정선의 '금강전도' [사진=호암미술관] 2025.04.01 alice09@newspim.com |
겸재 정선은 18세기 조선 회화의 전성기를 이끈 화가로, 전통 회화의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기량을 발휘하며 당시 화단을 주도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관을 개성적인 필치로 그려낸 '진경산수화'를 정립하여, 당대는 물론 후대 화가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작품들은 우리 산천의 아름다움을 생생히 담아내며, 한국 미술사의 중요한 자산으로 자리 잡았다.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는 단순한 풍경화가 아니라, 조선 후기 회화의 사상적·미학적 변화를 반영한 시대적 산물이다. 그의 작품은 사실주의적 경향, 문인화적 요소, 유람 문화, 그리고 전통과 혁신이 공존하는 조선 후기 미술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준다.
전시를 기획한 조지윤 삼성문화재단 소장품연구실장은 "정선은 한국회화 전성기를 대표하는 화가이다. 이번 전시를 통해 그의 예술세계 전부를 보여드리려고 한다. 저희와 간송이 함께 하지 않았으면 대규모 전시는 없었을 거라고 자부한다"고 말했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겸재 정선의 금강내산(해악전신첩) [사진=호암미술관] 2025.04.01 alice09@newspim.com |
'겸재 정선' 전시는 1, 2부로 나뉜다. 1부 '진경에 거닐다'에서는 정선을 대표하는 진경산수화의 흐름과 의미를 조명한다. 정선이 처음 그리기 시작하고 다양하게 변주한 금강산과 정선이 나고 자랐던 한양 일대를 그린 작품들을 중심으로 전시하며, 그 외에도 개성, 포항 등 다양한 지역의 명승지를 통해 정선 진경산수화의 다양한 면모를 살펴볼 수 있다.
조 실장은 "1부에서는 진경산수화 중에서도 한양을 중심으로 한 진경산수화 세계를 만날 수 있다. 입구에는 '금강전도화'와 '인왕제색도' 정선을 대표하는 두 작품이 전시돼 있다. 그중 '인왕제색도'는 너무나 잘 아실 거라고 생각하고, 이건희컬렉션의 메인이기도 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저는 개인적으로 '금강전도화'가 더 좋은데, 정선이 가장 많이 그린 그림이 금강산이다. 가장 많이, 가장 먼저 그린 것이 금강산이고 그 대표가 '금강전도화'"라며 "해당 작품에서는 비로봉을 비롯해 금강산 1만2000봉이 가득하다. 한국 회화에서 푸른색을 쓴 화가가 정선 외에 잘 없는데, 노년기 화풍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사선정(해악전신첩) [사진=호암미술관] 2025.04.01 alice09@newspim.com |
조 실장은 "'금강전도화'는 1733년 작품이라고 추정했는데, 그때가 60세이다. 그림을 비교해보고 연구한 결과, 해당 그림은 70세 이후에 그렸다고 추정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정선은 35살이던 1711년 처음 금강산을 여행한 뒤 산수의 면면을 섬세한 그림으로 남겼고, 그때 제작한 화첩이 '신묘년풍악도첩'이다. 당시엔 큰 반향을 일으키진 못했으나 여러 차례 금강산 일대를 다니며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고, 정선이 화단에 이름을 알리게 된 계기이기도 하다. 처음 금강산을 묘사한 '신묘년퐁악도첩'에 실린 작품 전체도 이번 전시에서 소개된다.
조지윤 실장은 "30대의 정선이 그린 금강산과 70대의 정선이 그린 금강산을 비교해보면 그 차이가 확연하게 나타난다. 초기 작품에서는 실경을 그대로 옮긴 듯한 디테일한 표현이 살아 있는데, 뒤로 갈수록 조금씩 추상화되면서 같은 진경산수화지만 선이 거칠게 그려진다든지, 원근과 관계없이 특정 대상이 확대된다든지, 정서적으로 따뜻한 분위기가 전달된다든지 하는 정선 특유의 화풍이 드러나는 것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청풍계(장동팔경첩) [사진=호암미술관] 2025.04.01 alice09@newspim.com |
'진경산수화의 대가'인 정선은 지금의 서울 종로구에 청운효자동 일대인 '장동'에 오랜 시간 살았다. 정선은 장동의 여러 명소를 그림으로 담아냈고, 대표적인 작품이 '장동팔경첩'이다. 이후 1740년 현재의 강서구 가양동 일대인 양천현 현령으로 발령받았다.
조지윤 실장은 "과거를 잘 봐서 발령 받았다보다, 그림을 잘 그려서 관직을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정선의 친구이자 뛰어난 시인이었던 이병연이 시와 그림을 서로 바꾸어보자는 시거화래지약을 제안했고, 이 약속으로 양천현령 시절 한강을 유람하는 모습을 그린 '경교명승첩'을 그렸다"고 말했다.
정선은 산수화나 인물화 외에도 다람쥐나 쥐, 개구리, 풀벌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그림을 남겼다. 또한 정선의 진경을 계승한 화풍은 김윤겸, 김응환 등 '정선파'라 불리는 화가들에 의해 계속됐다. 18세기 후반에는 이인상과 김홍도 등이 이어받아 자신의 개성을 담은 진경산수화를 제작했다.
이처럼 겸재 정선의 대규모 기획전은 오는 2일부터 6월 29일까지 호암미술관 전시실 1, 2에서 관람할 수 있다.
alice0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