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중국 내에서 엔비디아의 AI(인공지능) 칩인 H20이 품귀 현상을 빚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엔비디아 H20 칩에 대한 수요가 치솟는 반면 공급이 딸리면서 중국 내에서 구할 수 없는 상황에 처했다고 중국 매체 차이롄서(財聯社)가 업계 관계자들의 발언을 인용해 2일 전했다.
미국은 대중국 AI 칩 수출 제한 정책을 펴고 있다. 이에 대응해 엔비디아는 사양을 대폭 낮춘 중국 전용 칩인 H20을 개발해 판매해 오고 있다.
H20은 엔비디아 최고 사양 AI 칩에 비해 성능이 80%가량 저감된 제품으로 평가받는다. 중국 내에서 화웨이(華爲)를 비롯한 로컬 반도체 업체들이 GPU를 출시하고 있지만 엔비디아 제품의 호환성과 안정성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때문에 엔비디아의 저사양 제품인 H20은 여전히 중국 내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하지만 미국이 H20의 대중국 수출마저 중단시킬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면서 중국 현지에서는 선구매 수요가 폭증했다. 현지 관계자는 "4월 혹은 5월에 미국이 H20 수출 금지를 발표할 수 있으며, 수출이 금지되면 H20은 생산되지 않을 것"이라고 토로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H20은 사고 싶어도 못 사고, 빌리고 싶어도 못 빌리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IT 업체인 신화싼(新華三)은 고객들에게 보낸 통지를 통해 "현재 당사의 H20 재고는 소진됐으며, 4월 중순에 소량의 물량이 입고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글로벌 지정학적 긴장이 물량 부족의 원인이며, 오는 20일 이후의 공급 계획은 아직 미정이다"고 발표했다.
중국 내에서는 지난해부터 H20이 판매 중단될 것이라는 소문이 나왔었다. 중국의 IT 대기업들은 지난해부터 H20 비축에 나섰고, 이로써 시장에는 물량이 소진된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서방 매체들은 지난 1월부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H20 수출을 금지하는 대중국 제재를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하고 있다. 중국 내 관련 업계에서는 4월 혹은 5월에 관련 제재안이 발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셈이다.
이와 함께 중국의 로컬 반도체 업체들이 여전히 AI 칩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자조 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중국의 한 클라우드 대기업은 "딥시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컴퓨팅 자원을 배치했다"며 "이 중 H20이 가장 가성비가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 |
엔비디아 이미지 [사진=블룸버그통신] |
ys174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