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의 전체 국경선을 따라 폭 1㎞ 정도의 완충지대를 구축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스라엘군은 이 완충지대를 만들기 위해 주택과 학교, 공장, 농장 등 모든 건축물과 시설들을 완전히 파괴하고 일대를 초토화했다
가디언은 "이스라엘군은 완충지대를 '살인 구역(kill zone)'으로 만들었다"면서 "이 곳에 진입하는 사람은 누구든 (하마스 테러리스트로 간주돼) 공격의 표적이 된다"고 말했다.
![]() |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국경에 배치된 이스라엘 장갑차. [사진=로이터 뉴스핌] |
가자지구는 이스라엘의 남서쪽 끝단에 자리잡고 있다. 서쪽으로 지중해에 접해 있고 남쪽으로는 이집트, 북쪽과 동쪽으로 이스라엘과 맞닿아 있다.
남북으로 약 41㎞, 동서로 6~12㎞이며 총 면적은 365㎢이다. 서울 면적(605㎢)의 절반보다 약간 큰 정도이다. 이곳에 팔레스타인 220만명이 살고 있다.
완충지대가 조성된 곳은 이스라엘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북쪽과 동쪽 접경 지역이다.
![]() |
가자지구 국경을 따라 조성된 완충지대. [그래픽 출처=가디언] |
이스라엘 전역 군인들이 2004년 결성한 시민단체 '브레이킹 더 사일런스(Breaking the Silence)'가 이날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완충지대는 2023년 10월 7일 하마스의 기습 공격 이전에는 폭이 300m 정도였으나, 이스라엘의 하마스 궤멸 작전이 본격화된 이후 800~1500m로 확장됐다.
보고서는 "새로 조성된 완충지대에는 어떠한 작물과 구조물, 사람도 없어야 했다"면서 "모든 물체와 인프라 설비, 구조물이 파괴됐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작업의 목적은 이스라엘군이 하마스 조직원을 식별하고 제거할 수 있도록 명확한 시야를 제공하는 공간을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
공병대 출신의 한 부사관은 "이 구역의 주민들이 모두 떠나자 우리는 이곳에 있는 집과 모든 것들을 파괴하라는 임무를 받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군인은 "우리 부대는 완충지대에서 보이는 사람은 누구나 즉시 사살하라는 명령을 받았다"면서 "민간인이라는 개념은 없으며 이 구역에 들어오는 모든 사람은 테러리스트로 간주된다"고 말했다.
기갑부대의 한 상사는 "작년에 이 곳에 진입하는 성인 남성은 누구든 사살하라는 명령을 받았다"면서 "하지만 여성과 어린이, 노인은 경고 사격으로 내쫓는다"고 말했다.
가디언은 완충지대는 전체 가자지구 땅의 15% 정도이며 특히 전체 농경지의 35%를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