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부터 현재까지 총 87개 선정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교육부는 학교 복합 시설 사업 1차 공모 결과 7개 사업이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학교 복합 시설은 교육·문화 시설이 부족한 지역에 학생과 지역주민도 활용할 수 있도록 설치한 수영장, 자기 주도 학습 공간, 도서관 등의 교육·문화·체육·복지 시설이다.
![]() |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전경 [사진 = 뉴스핌] |
학교 복합 시설 공모 사업은 2023년부터 실시돼 현재까지 총 87개가 선정됐다. 교육부는 모든 기초 지자체(229개)에 1개 이상의 시설 설치를 목표로 추진 중이다.
교육부는 기초 지자체의 재정 자립도에 따라 총 사업비의 20%~30%를 지원하는 데 '늘봄·방과후·자기 주도 학습 공간'의 설치 사업은 총 사업비의 10%를 추가로 지원할 방침이다.
인구 감소 지역이거나 수영장을 설치하는 사업의 경우는 최대 총 사업비의 50%까지 지원한다.
교육부는 이번 공모에 선정된 7개 사업에 대해 총 사업비 1805억 원 중 781억 원(43.2%)을 지원할 예정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강서구 ▲대구 북구 ▲강원 강릉시 ▲전북 임실군 ▲충북 제천시 ▲충북 음성군 ▲충북 단양군 등이 선정됐다.
세부적으로는 ▲서울 화곡초등학교 학교 복합 시설 ▲강릉 중앙고등학교 학교 복합 시설 건립 ▲임실 학교 복합 시설 건립 ▲상진초등학교 복합 시설 건립 사업 ▲무극중학교 학교 복합 시설 건립 ▲제천 에듀케어 허브 학교 복합 시설 건립 ▲(구) 교동중학교 초등 방과후 시설 및 평생 학습 센터 구축 사업 등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학생과 지역 주민이 함께 활용할 수 있는 학교 복합 시설이 모든 지자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지자체와 교육청도 적극 협업해 다양한 모범 사례를 발굴해 달라"고 말했다.
aaa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