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중국이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84%에서 125%로 대폭 인상한다고 11일(현지시간) 밝혔다.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최고 145%까지 올리자 이에 맞불을 놓은 것이다.
다만 이미 현재 관세 수준으로도 미국의 대중국 수출 상품이 (시장에)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없는 만큼, 추가 관세 인상에는 대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도 분명히 했다.
![]() |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대해 상호 관세율을 125%로 인상한 데 대응해, 중국도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125%로 상향 조정한다"면서 "미국의 과도한 대중 관세는 국제 경제 무역 규칙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것이자 기본적 경제 규칙과 상식에도 어긋나는 것으로 완전히 일방적인 괴롭힘과 강압적 행동"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번 조치는 미국이 기존 125%의 관세에 더해 펜타닐 관련 품목에 추가로 20%를 부과, 사실상 총 145%의 관세율을 확정한 데 따른 보복 조치로, 오는 12일부터 즉시 시행된다.
중국은 지난 4일 미국의 상호 관세에 대응해 3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미국이 또 다시 50%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자 역시 50% 추가 관세로 맞대응했다. 이후 미국이 펜타닐 관세를 명목으로 상호 관세율을 145%로 상향하자 이를 그대로 갚아줬다.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이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145%로 확정한 것과 관련해 "관세 전쟁과 무역 전쟁에는 승자가 없고 중국은 싸우기를 원하지 않지만 싸움이 두렵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미국의 괴롭힘에 반격 조치를 취하는 것은 정당한 권익 보호를 위한 것일 뿐 아니라 국제 규칙과 질서를 유지하고 세계 각국의 이익과 국제 공정, 정의를 수호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미국의 횡포에 맞서 타협과 양보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날 위원회는 "현재 관세 수준으로는 미국의 대중국 수출 상품이 시장에서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없다"며 "만약 미국이 중국 수출 상품에 대해 지속해서 관세를 부과한다 하더라도 중국은 상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 미국의 추가 관세 인상 움직임에 더 이상 대응하지 않겠다는 뜻도 밝혔다.
백악관은 전날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최종 관세율이 145%라고 확인했다. 하지만 동시에 협상 가능성도 열어두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내각회의에서 "중국과 합의가 이뤄지길 희망한다"며 "결국 양국 모두에게 좋은 결과로 마무리될 것"이라고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