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모바일 신분증 구축·FIDO 생체인증 통한 신원인증 혁신
보안·인증 산업 발전 기여 공로
[서울=뉴스핌] 김연순 기자 = IT 보안·인증 플랫폼 기업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 이정아)가 지난 21일 개최된 '2025년 과학기술·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 정보통신 유공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고 22일 밝혔다.
라온시큐어는 블록체인 기반 국가 모바일 신분증 체계 구축, FIDO 생체인증을 통한 신원인증 혁신 등 보안·인증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회사는 국내 최초로 법적 효력을 갖춘 디지털 신분증인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비롯해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 '모바일 재외국민 신원확인증', '모바일 공무원증' 등 다양한 모바일 신분증 발급 시스템을 구축해왔다.
올해 3월부터는 4500만 국민을 대상으로 발급 중인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시스템에도 자사 블록체인 기반 기술을 적용하며 신원증명 및 자격증명 분야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ISIC 국제학생증 오픈, 광운대학교 디지털 ID 시스템 등 민간 부문으로 디지털 신원인증 서비스를 확장하는 한편, 중앙대학교 입학증·학위증 발급, 건국대학교 디지털 배지 전용 웹사이트를 오픈, 의료인 신분증 발급, 대학 신원증명 및 제증명 발급 등의 사업을 펼치며 디지털 자격증명 분야로도 적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해외에서는 인도네시아 통합 디지털 ID 설계 컨설팅(2023년) 및 통합 디지털 ID 서비스 프로젝트(2024년), 코스타리카 공공 디지털 지갑 개발 사업 등을 수행하며 글로벌 디지털 ID 시장으로의 진출도 가속화하고 있다. 현재 유럽, 중앙아시아, 중남미, 동남아시아 등 다양한 국가와 협력 논의가 진행 중이다.
특히, 라온시큐어는 자사의 블록체인 기반 신원·자격 인증 통합 플랫폼인 '옴니원 디지털아이디(OmniOne Digital ID)'를 오픈소스로 공개하며, '한국형 모바일 신분증(K-DID)' 모델의 글로벌 확산과 디지털 ID 국제 표준화에도 앞장서고 있다.
양자내성암호(PQC), 생성형 AI 보안 등 새롭게 주목받는 보안 분야도 선도하며 국가 경쟁력 강화에 앞장서고 있다. 양자내성암호 분야에서는 지난해 전자서명과 구간암호화 솔루션 '키샵비즈(Key#Biz)'와 '키샵와이어리스(Key#Wireless)'에 PQC를 적용한 데 이어, 자사 보유 솔루션과 서비스에 적용 범위를 점차 확대하고 있다.
최근에는 라온시큐어 컨소시엄이 이끄는 '표준 의료 데이터 중계 플랫폼의 양자내성암호 전환 사업'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2025년 양자내성암호 시범전환 지원사업' 의료 분야에 선정된 바 있다. 또한 라온시큐어는 생성형 AI 기반 딥페이크 탐지 기술을 모바일 백신 앱 '라온 모바일 시큐리티'에 적용했으며, 딥보이스 및 실시간 탐지 기술도 개발 중이다.
![]() |
[서울=뉴스핌] 김연순 기자 = 이정아 라온시큐어 대표가 수상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라온시큐어] 2025.04.22 y2kid@newspim.com |
이정아 라온시큐어 대표는 "라온시큐어가 블록체인 기반의 국가 모바일 신분증 구축과 FIDO 생체인증 기술을 통해 보안·인증 체계를 혁신해 온 점을 인정받아 매우 뜻 깊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세계 최고 수준의 보안 기술 개발과 디지털 신원인증 서비스 확산을 통해 우리나라 정보보호 산업 발전과 국가 경쟁력 강화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보통신 유공 정부포상은 정보·방송·통신 산업 발전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의 공적을 평가해 정부가 수여하는 상이다.
y2k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