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억대 고위급·정상회의 행사 한 회사 수주
입찰 참여 업체 사전위탁·편향심사 의혹 제기
감사원에 특별감사 요청, 국회 탄원서 제출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외교부가 발주한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고위급 및 정상회의 행사대행 용역 입찰 과정에서 특정 업체에 유리하게 설계됐다는 공정성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입찰에 참여했던 A사는 2일 감사원에 특별감사를 요청한 데 이어, 국회 APEC특별위원회에 탄원서를 제출하며 진상규명과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 |
지난 3월 6일 오전 경북 경주시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재무차관회의' [사진=기획재정부] |
A사가 제출한 탄원서에 따르면 약 128억원 규모의 고위급회의 용역은 입찰 전부터 B사가 해당 업무를 사실상 위탁받아 진행한다는 소문이 업계에 퍼졌다. 이 사업은 두 차례 유찰 끝에 B사가 단독 참여해 수의계약으로 계약이 체결됐다.
이어 진행된 272억원 규모의 정상회의 입찰에서도 B사는 A사 등 두 개의 컨소시엄과 경쟁해 단독 수주에 성공했다. A사는 이 과정에서 제안설명회(OT) 당시 외교부가 배포용 자료를 제공하지 않고, 발표 자료 촬영까지 금지하는 등 불투명한 운영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또 일부 심사위원이 특정 업체에 유리한 편향적인 질의를 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A사는 또 제안요청서(RFP) 평가 기준에서 최근 3년간 272억원 이상의 국제회의 수행 실적에 만점을 부여하는 항목이 포함돼 사실상 B사만이 충족 가능한 구조였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했다.
B사는 이미 수의계약으로 진행 중인 고위급회의 용역이 오는 8월까지인데, 정상회의 행사 기간(2025년 8월~11월)과 최소 6개월 이상 중복됨에도 불구하고 연속 수주에 성공했다.
A사는 "전체 직원 수가 50여 명에 불과한 B사에게 대형 국가 행사를 중복 발주하는 상황은 이해하기 어렵다"며 외교부 준비기획단과 B사 간 유착 의혹을 제기했다.
이 회사는 탄원서에서 "20년 만에 찾아온 중요 국가행사 선정을 불공정하게 진행해 가뜩이나 어려운 컨벤션 업계가 더욱 어려워지는 것은 물론 대한민국 국가 브랜드의 국제적인 신뢰도까지 하락할 수 있다"며 "국가 행사의 전 과정이 투명하고 공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기본 전제가 특별감사를 요청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이번 감사 요청에는 심사위원별 배점 기준, 입찰 평가의 공정성, B사와 외교부 간 사전 교감 여부 등이 포함됐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