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화폐·공공배달앱 예산 포함
[광주=뉴스핌] 이휘경 기자 = 광주시는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2025년도 제1회 정부 추가경정예산안'에 인공지능(AI) 사업과 지역화폐, 공공배달앱 지원 예산 등이 반영됐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정부 추경예산은 ▲산불 등 재해·재난 대응 ▲통상 및 AI 지원 ▲민생 지원 등 3대 목적에 따라 편성되면서 지역 예산은 사실상 제외되는 분위기였다. 특히 광주 국가AI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한 AI 사업은 '지역사업'이라는 이유로 정부는 예산 편성에 난색을 보였다.
![]() |
광주광역시청 전경. [사진=광주시] |
광주시는 안도걸·조인철·양부남 의원 등 지역 국회의원들과 긴밀히 협력하고, 강기정 시장이 '여의도 집무실'을 가동하며 직접 챙기는 등 선제 대응에 나섰다.
또 국회 예산 심의 초기부터 인공지능산업실장과 국비전략팀을 서울에 상주시켜 국회와 중앙부처를 설득한 결과 이번에 광주 AI 전략사업 예산 153억 원이 최종 반영했다.
이에 따라 1단계 사업으로 구축한 국가AI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하는 고성능 컴퓨팅자원(GPU) 지원사업 등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광주시 관계자는 "AI 예산이 요구액에 비해 충분하지 않아 아쉽지만 정부의 '지역사업 전면 배제' 분위기 속에서도 일부라도 반영된 것은 의미 있는 성과다"고 평가했다.
AI 예산과 함께 광주시·대구시 등 4개 광역시가 요청한 '도시철도 통합 무선망 철도 구축사업비' 178억 원도 반영됐다.
광주시가 선제적으로 정책 효과를 입증하고 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한 지역화폐와 공공 배달앱 예산 650억 원도 포함됐다.
광주시는 경제위기 극복과 지역 소상공인의 실질적 매출 증대를 위해 어려운 재정 여건에도 불구하고, 지역화폐인 '광주상생카드'를 자체 예산을 투입해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번 정부 추경에 지역사랑상품권 예산이 반영됨에 따라 광주상생카드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지난해 말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예산 증액이 무산됐는데 이번 추경에 아쉽지만 일부가 만회돼 다행이다"며 "앞으로도 전략적 국비 확보와 민생중심 정책 추진을 통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hkl812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