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월드 매장 없는 11개 지역서 '찾아가는 서비스'도 진행 예정
유심 교체 인원 총 187만명…다음 주 유심 100만개 입고 계획
'유심 입고 계획·eSIM 발급 현황·찾아가는 서비스 규모' 등도 답변
[서울=뉴스핌] 김영은 인턴기자 = SK텔레콤(SKT)은 "매장에서 상담원 대면 없이, QR코드를 찍어서 유심(USIM) 재설정을 할 수 있도록 검토 중이다"고 16일 밝혔다.
SKT는 이날 서울 중구에서 일일 브리핑을 열고 "유심 재설정 서비스를 셀프로 하고 싶다는 문의사항도 듣고 있다"며 "조금 더 서비스가 안정화가 되면 유심을 셀프 개통하듯이, 그렇게 유심 재설정 서비스도 셀프로 할 수 있게 하면 어떨까라는 취지에서 방안을 준비 중이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은 유심 재설정 서비스 안내를 약 50만명 정도에게 할 계획"이라며 "안내를 너무 많이 해서 대리점에 혼선이 빚어지는 것을 주의하고 있고, 대리점별로 하루에 처리할 수 있는 규모를 추정하는 등 주의를 기울여 진행 중이다"고 덧붙였다.
![]() |
서울 시내 한 티월드 대리점에서 유심 교체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 [사진= 김영은 인턴기자] |
SKT에 따르면 전날 자정 기준 유심 교체 누적 인원은 총 187만명이다. 유심 교체 잔여 예약 대기자는 약 692만명이고, 다음 주에 유심 100만개가 추가 입고될 예정이다. 유심 재설정 서비스를 받은 누적 인원은 총 7만 4000명이다.
SKT는 이날 '찾아가는 서비스'도 예고했다. '찾아가는 서비스'는 T월드 매장이 인근에 없어 유심 교체·재설정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지역 11곳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방문 서비스다. SKT는 "첫 시작을 11곳에서 시작하고, 더 넓혀나갈 예정이다"며 "구체적인 지역과 규모, 활동에 대해서 다음 주 초쯤 정확하게 설명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네트워크 품질관리 강화 방안도 발표했다. 강화 방안으로는 ▲백화점 등 실내 다중 이용 시설 등 점검 ▲지역축제 등 대규모 야외행사 대비 고객 밀집 지역 품질 모니터링 ▲2600개 대리점 대상 현장 품질 점검 및 개선 ▲지역별 트래픽 사용량, 장비별 용량대비 실사용량 분석 강화가 제시됐다.
SKT는 "사이버 침해 사고 이후 다중이용시설 약 4500곳, 야외 활동 인구가 많은 360곳, T월드 2600개 매장 등에서 품질 관리를 철저히 진행하고 있고, 앞으로 좀 더 강화하겠다"며 "특히, 트래픽이 좀 올라갈 가능성이 큰 지역에 대해서도 '지역별 트래픽 사용량' '장비별 용량 대비 실사용량'에 대해서철저히 감시하며 안정 운영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브리핑에서는 '비대면 재설정 서비스 안내 계획' '비대면 이심(eSIM) 교체 현황' '찾아가는 서비스 규모 및 계획' 등에 대한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다음은 이날 브리핑의 주요 일문일답.
![]() |
[서울=뉴스핌] 김영은 인턴기자 = 16일 서울 중구에서 열린 'SKT 데일리 브리핑(SKT Daily Briefing)'에서 질의응답이 진행되고 있다 2025.05.16 yek105@newspim.com |
Q. 유심 교체 및 유심 재설정 서비스 이용 현황은 어떻게 되나.
A. 전날 자정 기준 유심 교체 누적 인원은 총 187만명, 유심 재설정 서비스 누적 인원은 총 7만 4000명이다.
Q. 유심 물량 확보 계획은 어떻게 되나.
A. 오는 17일 약 87만 5000개 정도 들어온다. 다음 주에 100만개 정도 더 추가로 들어오고, 일단 진행은 오늘부터 해서 유심 교체에 대한 안내를 조금 더 늘려나갈 예정이다.
오는 7월까지 발주를 한 상태고, 7월에 예상 450~500만개 정도 유심이 들어올 것이라고 본다.
Q. 유심 재설정 서비스 안내 상황은.
A. 유심 재설정 서비스는 적극적으로 안내를 하려 한다. 15만명에게 했다. 초기에 예약한 고객에 대해서는 유심 교체에 대한 안내를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다만, 유심 재설정 서비스는 유심 재고와 관계없이 진행할 수 있는 부분이기에 조금 뒤에 예약한 고객에게는 먼저 유심 재설정을 권유하는 안내를 병행할 계획이다. 오늘은 유심 재설정 서비스 안내를 약 50만명 정도에게 할 계획이다.
또, 대리점 현장 상황을 고려하고 있다. 안내를 너무 많이 해서 대리점에 혼선이 빚어지는 것을 주의하고 있고 대리점별로 하루에 처리할 수 있는 규모를 추정하는 등 주의를 기울여 진행 중이다.
아울러, 갤럭시S25를 쓰는 고객, 아이폰을 쓰는 고객, 십수년 된 기기를 쓰는 고객 등 단말기 이용 상황 등 고객 한명 한명마다 케이스가 다르다. 여러 케이스별로 서비스 적용에 보완점이 있을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현재 회사에서 '케이스 바이 케이스'를 면밀히 따져보며, 서비스를 보다 안전하게 적용할 방안을 고민 중이다.
Q. 유심 재설정 서비스 이용 편의를 돕기 위한 계획은.
A. 매장에서 QR코드를 찍어서 유심 재설정을 할 수 있는 부분을 준비하고 있다. 이게 준비가 되면 매장에 와서 상담 없이 QR코드를 찍어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유심 재설정 서비스를 셀프로 하고 싶다는 문의사항도 듣고 있는데, 현재 준비 중이다. 그렇지만 현재는 작업을 하다 혹시 문제가 발생하면 직원들이 바로 대응을 할 수 있게 현장에서 진행 중인 상황이고, 조금 더 서비스가 안정화가 되면 유심을 셀프 개통하듯이, 그렇게 유심 재설정 서비스도 셀프로 할 수 있게 하면 어떨까라는 취지에서 방안을 준비 중이다. 차근차근 되는대로 개선방안을 적용해 나가겠다.
Q. 네트워크 품질 관리를시작한 구체적인 배경은 무엇인가.
A. SKT가 사이버 침해 사고 발생 이후, 2차적인 사고에 각별히 주의를 하고 있고, 또 고객이 SKT 이동전화 품질을 쓰는 데 있어, 예전과 차이점이 없게 관리하기 위한 일상적 활동이었다. 이를 더 강화한다는 차원으로 보면 된다.
Q. '찾아가는 서비스' 개시는 언제쯤. 어떤 서비스 진행 예정인가.
A. 오는 19일부터 개시를 계획하고 있다. 이에 맞춰 여러 가지 교육 등을 준비하고 있다. 마무리되면 SKT가 19일 바로 개시할 계획이다.
처음 시작할 때는 도서 상관없이, 특히 T월드 매장이 없어서 직접 T월드로 발걸음하기 어려운 그런 지역을 중심으로 먼저 시작한다. 이후에 점차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서비스로는 유심 교체, 유심 재설정, 실제 스마트폰에 혹시 있을 악성코드 제거 등 콘텐츠 준비를 하고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주 초에 추가로 발표를 하겠다.
Q. '찾아가는 서비스' 구체적 규모는 어떻게 되나.
A. 찾아가는 서비스는 이제 첫 시작할 때 SKT가 AS 차량을 현재 5대 보유 중이고, 이제 업무용 차량이 또 전국에 있다. 그래서 첫 시작은 11개 지역으로 진행하고 차량 활용해 더 넓혀나갈 예정이다.
Q. 이심(eSIM) 발급은 비대면으로 할 수 있나. 이심 수요도 많은가.
A. 이심은 셀프 개통이 가능하도록 프로세스를 간소화해 만들어 뒀다. 그래서 지금 이심 교체가 가능한 고객에게 매일 MMS로 안내를 하고, 받은 분들은 셀프로 개통하도록 진행 중이다.
MMS는 약 100만개 정도를 보냈고, 이심 교체자는 약 2만 8000~9000명 정도로 본다.
그리고 이심 셀프교체는 MMS를 받더라도 얼마든지 나중에 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 숫자는 더 올라갈 것이라고 예상한다.
yek10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