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경제 과학기술

속보

더보기

[VivaTech 2025] ⑩ OurNextPlus "Icon of Sustainable Beauty, Coloring the World"

기사입력 : 2025년06월04일 18:29

최종수정 : 2025년06월06일 19:38

[Sejong=NewsPim] Reporter Kyoungtae Yi = As the world calls for sustainable consumption, the beauty industry cannot escape this trend. However, true innovation beyond simple 'clean beauty' or 'eco-friendly' is rare. In this context, OurNextPlus Co., Ltd., located in Incheon, South Korea, is changing the landscape of the global eco-friendly beauty market by commercializing genuine 'zero plastic, zero waste' solutions.

OurNextPlus's flagship technology, Celluble, is based on PVA-Free biofilm technology that completely excludes conventional water-soluble PVA. This technology utilizes naturally-derived biomass to implement solid cosmetic sheets and eco-friendly packaging that completely dissolves in water, enabling a beauty experience that leaves no microplastics behind.

Celluble is not just a product, but a platform. It's a futuristic solution that moves away from container-centric beauty, focusing on ingredient delivery—the essence of cosmetics—while dramatically reducing carbon footprint and packaging waste.

OurNextPlus has commercialized 'Celluble,' the world's first eco-friendly beauty solution that simultaneously realizes zero plastic and zero waste. [Photo=OurNextPlus] 2025.06.03 biggerthanseoul@newspim.com

OurNextPlus supports various client companies hoping to transition to eco-friendly brands through OEM/ODM services. The company provides zero plastic and zero microplastic packaging materials and solid sheet-type products across the cosmetics, hotel, and aviation industries, with particular expertise in developing brand-customized packaging targeting European and American markets.

The brand 'Deardot' is the best example showcasing OurNextPlus's philosophy. Deardot provides waterless vegan beauty products in water-soluble sachets, achieving the remarkable feat of becoming the first Asian company to win the packaging category at France's 'Cosmetic 360 Awards,' thereby opening wide the doors to the global eco-friendly market.

OurNextPlus participated in VivaTech 2025, Europe's largest technology exhibition, declaring to the world its vision of "the great transformation of eco-friendly beauty."

OurNextPlus's success lies not only in its technological capabilities but in its integrated design approach that combines consumer experience, ESG strategy, and global regulatory compliance. This is a company that designs sustainable 'systems' rather than just cosmetics. It provides consumers with choices that enable ethical consumption without sacrificing luxury, while offering brands a platform that can simultaneously implement sustainability and marketing innovation.

OurNextPlus is not simply a company that makes eco-friendly products. It is an icon of innovation that is rewriting the paradigm of sustainable beauty. The future they are creating will be an answer for sustainable living for both the Earth and humanity, extending beyond beauty.

Additionally, OurNextPlus has been selected for the NVIDIA Inception program and plans to further enhance solid product production efficiency through the latest GPU infrastructure and advanced AI support.

biggerthanseoul@newspim.com 

 

[VivaTech 2025] ⑩ OurNextPlus « Icône de la beauté durable, colorant le monde »

[Sejong=NewsPim] Journaliste Kyoungtae Yi =

À l'heure où le monde prône la consommation durable, l'industrie de la beauté ne peut échapper à cette tendance. Cependant, les véritables innovations qui dépassent la simple "beauté propre" ou "écologique" sont rares. Dans ce contexte, OurNextPlus, située à Incheon en République de Corée, commercialise de véritables solutions "zéro plastique, zéro déchet" et transforme le paysage du marché mondial de la beauté écologique.


La technologie phare d'OurNextPlus, Celluble, repose sur une technologie de biofilm PVA-Free qui exclut complètement le PVA hydrosoluble conventionnel. Cette technologie utilise de la biomasse d'origine naturelle pour créer des feuilles cosmétiques solides et des emballages écologiques entièrement solubles dans l'eau, permettant une expérience beauté sans aucun résidu de microplastique.


Celluble n'est pas simplement un produit, c'est une plateforme. S'éloignant de la beauté centrée sur les contenants traditionnels, c'est une solution futuriste qui se concentre sur l'essence des cosmétiques - la délivrance d'ingrédients - tout en réduisant drastiquement l'empreinte carbone et les déchets d'emballage.

OurNextPlus soutient diverses entreprises clientes souhaitant se convertir aux marques écologiques grâce aux services OEM/ODM. L'entreprise fournit des matériaux d'emballage zéro plastique et zéro microplastique ainsi que des produits solides en feuilles dans les secteurs cosmétique, hôtelier et aéronautique, avec une expertise particulière dans le développement d'emballages personnalisés pour les marques ciblant les marchés européens et américains.


La marque 'Deardot' constitue le meilleur exemple illustrant la philosophie d'OurNextPlus. Deardot propose des produits de beauté végétaliens sans eau dans des sachets hydrosolubles, réalisant l'exploit remarquable de devenir la première entreprise asiatique à remporter la catégorie emballage aux 'Cosmetic 360 Awards' de France, ouvrant ainsi largement les portes du marché écologique mondial.


OurNextPlus a participé à VivaTech 2025, la plus grande exposition technologique d'Europe, déclarant au monde sa vision de "la grande transformation de la beauté écologique."
Le succès d'OurNextPlus réside non seulement dans ses capacités technologiques, mais dans son approche de conception intégrée qui combine l'expérience consommateur, la stratégie ESG et la conformité réglementaire mondiale.

Il s'agit d'une entreprise qui conçoit des 'systèmes' durables plutôt que de simples cosmétiques. Elle offre aux consommateurs des choix permettant une consommation éthique sans sacrifier le luxe, tout en proposant aux marques une plateforme capable de mettre en œuvre simultanément la durabilité et l'innovation marketing.


OurNextPlus n'est pas simplement une entreprise qui fabrique des produits écologiques. C'est une icône d'innovation qui réécrit le paradigme de la beauté durable. L'avenir qu'elle crée sera une réponse pour une vie durable tant pour la Terre que pour l'humanité, s'étendant au-delà de la beauté.


Par ailleurs, OurNextPlus a été sélectionnée pour le programme NVIDIA Inception et prévoit d'améliorer davantage l'efficacité de production de produits solides grâce à la dernière infrastructure GPU et au support IA avancé.

biggerthanseoul@newspim.com 

※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sponsorship from the Korea Institute of Startup &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日 여행객 'K-쌀' 사간다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일본 여행객이 한국을 방문, 한국 쌀을 직접 구매해 들고 나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내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밥맛 좋은 한국 쌀'이 대체제로 급부상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일 <뉴스핌>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직접 구매해 일본으로 들고 간 국산 쌀은 3만3694kg로 집계됐다. 일본은 지난 2018년부터 휴대식물 반출 시 수출국 검역증을 의무화한 나라로, 병해충과 기생식물 등 식물위생 문제에 매우 엄격하다. 특히 쌀처럼 가공되지 않은 곡류는 검역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행객들의 한국산 쌀 열풍은 지속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일본 여행객이 반출한 국산 쌀은 1310kg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상반기에만 무려 25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2024년 1~6월)으로 비교하면 작년 106kg에서 올해 3만3694kg로 약 318배 증가한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여행객들의 '쌀 쇼핑'이 열풍을 불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했다"며 "한국쌀이 일본쌀에 비해 맛과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반출되는 양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을 화물로 탁송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검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된 국산 쌀은 43만1020kg에 달한다. 지난해 화물 검역 실적이 1.2kg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증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흐름이 국산 쌀에 대한 일시적 특수로 끝나지 않고 국내에서 정체된 쌀 소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에서 쌀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으니 한국에 와서라도 쌀을 구매하는 여행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만 일본의 쌀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국 쌀의 가격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국산 쌀의 품질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합격점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중국발 여행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3.03.11 pangbin@newspim.com 정부 역시 이같은 수요에 대응해 일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검역제도 안내·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는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한 사전신청, 수출검역, 식물검역증 발급, 일본 통관까지 최소 3단계 이상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쌀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한국에서 식물검역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일본 관광객이 일본에 돌아가 쌀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면서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오사카 엑스포 현장 방문을 계기로 일본 농림수산성과 예방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그 자리에서 쌀 검역 문제가 논의됐다"며 "한국 정부는 일본 여행객이 애써 한국 쌀을 구매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폐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 2025-07-03 11:10
사진
내란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신청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증인 72명을 추가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3일 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 전 대통령의 9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 [사진=뉴스핌DB] 특검 측은 앞서 1차로 38명의 증인을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재판부에 증인 72명을 추가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오는 10일 열릴 10차 공판에서는 이날 증인신문을 마치지 못한 고 전 처장에 이어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준장), 김영권 방첩사 방첩부대장(대령)을 불러 신문할 예정이다. 정 전 처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전산실 통제와 서버 확보를 지시받은 인물이며 김 부대장은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을 당시 함께 합참 지휘통제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은석 특검이 검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절차가 위법해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법과 상식에 비춰봤을 때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sykim@newspim.com 2025-07-03 2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