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위약금 면제 여파에 번호이동 경쟁 '가열'
KT·LGU+, 공격적 마케팅 속 허위광고 논란
방통위, 이통 3사 소집…실태점검 및 제재 예고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SK텔레콤이 유심 해킹 사태의 후속 조치로 위약금 면제를 단행한 이후, 이동통신 시장이 비정상적인 보조금 경쟁과 불안 마케팅으로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시장 안정을 위해 통신 3사를 소집하고 불법 행위에 대한 점검에 착수했다.
7일,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날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 3사의 마케팅 담당 임원들을 불러 시장 과열 자제를 요청했다. 위약금 면제 발표 이후 주요 대리점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불법 보조금, 허위·과장광고, 소비자 불안 조장 마케팅이 잇따라 확인됐기 때문이다.
앞서 SK텔레콤은 지난 4일, 유심 해킹 피해자들을 고려해 번호이동 고객에 대한 위약금 면제를 전격 발표했다. 이후 KT와 LG유플러스는 플래그십 모델의 번호이동 판매장려금을 70만~90만 원대로 상향했고, 일부 유통현장에서는 출고가 대비 100만 원이 넘는 보조금도 등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 |
사진은 지난 4일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가 서울 중구 을지로 SK텔레콤 본사에서 SK텔레콤 해킹 사고와 관련해 향후 계획을 밝히기 전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DB] |
KT는 유통망 대응 시나리오에 "지금 번호가 우리 아이에게 위험할 수 있다", "SK텔레콤이 위약금 없이 보내주는 이유는 구조신호" 등의 멘트를 포함해 고객 불안을 자극한 것으로 알려졌다. LG유플러스의 일부 대리점은 SK텔레콤 해킹 관련 집단소송 신청 대행을 마케팅에 활용하면서 논란을 빚었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은 KT의 불법 보조금 살포 및 불안 마케팅 행태를 조사해달라는 내용의 신고서를 방통위에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방통위는 실태점검을 바탕으로 불법 행위 적발 시 조사 및 제재에 나설 계획이다.
SK텔레콤 측은 "이번 사이버 침해사고 관련 경쟁사의 법 위반 행위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위약금 면제 발표 직후인 5일 기준, SK텔레콤에서 다른 통신사로 이동한 고객은 1만 660명, 같은 날 SK텔레콤으로 유입된 고객은 KT 3,131명, LG유플러스 3,664명으로, 하루 만에 3,865명 순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dconnect@newspim.com